지식나눔

plasma 와 serum

약물 독성연구에서 serum보다 plasma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까닭이 무엇인지요?
  • plasma
  • serum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모든 약리 독성 연구에서 serum 보다 plasma를 대상으로 하지는 않습니다. 아시다시피, 혈액의 응고 과정을 거친후 혈구를 제거한 것이 serum, 항응고제를 처리하여 분리한 것이 plsama 입니다. 대부분 혈액의 생화학적 특성을 측정해보면, serum과 plasma가 유사한 수치를 보이며, 몇몇 논문을 살펴보면 serum과 plasma의 구별이 없는 경우도 종종 등장합니다. 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serum과 plasma는 차이가 있으며, 몇몇 성분들 특히, 약물의 동태를 파악할 경우에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래된 자료이긴 하지만, 첨부한 논문을 참고로 하시면 좀더 자세한 부분에서 serum과 plaama의 차이에 관하여 도움이 되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약물 독성연구에서 >serum보다 plasma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까닭이 무엇인지요?
    모든 약리 독성 연구에서 serum 보다 plasma를 대상으로 하지는 않습니다. 아시다시피, 혈액의 응고 과정을 거친후 혈구를 제거한 것이 serum, 항응고제를 처리하여 분리한 것이 plsama 입니다. 대부분 혈액의 생화학적 특성을 측정해보면, serum과 plasma가 유사한 수치를 보이며, 몇몇 논문을 살펴보면 serum과 plasma의 구별이 없는 경우도 종종 등장합니다. 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serum과 plasma는 차이가 있으며, 몇몇 성분들 특히, 약물의 동태를 파악할 경우에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래된 자료이긴 하지만, 첨부한 논문을 참고로 하시면 좀더 자세한 부분에서 serum과 plaama의 차이에 관하여 도움이 되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약물 독성연구에서 >serum보다 plasma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까닭이 무엇인지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강효찬님의 답변

    좋은 답변이라 생각됩니다. 첨부하신 자료가 좋아서 오히려 제가 고맙다고 말씀드려야 할듯 합니다. 임상병리학을 전공한 사람으로 사족을 단다면 혈청과 혈청의 검사결과치는 유사한 수치를 보인다고는 하지만, 차이가 나는 것은 사실입니다. 약리독성 분야에 대해서는 약리학에 대한 지식이 얇아서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만, 임상병리학 입장에서는 분명 차이가 있는 것만은 사실입니다. 혈장을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항응고제가 첨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측정치가 혈청에 비해서 조금 낮게 측정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큰 차이는 없다고 하지만.....
    좋은 답변이라 생각됩니다. 첨부하신 자료가 좋아서 오히려 제가 고맙다고 말씀드려야 할듯 합니다. 임상병리학을 전공한 사람으로 사족을 단다면 혈청과 혈청의 검사결과치는 유사한 수치를 보인다고는 하지만, 차이가 나는 것은 사실입니다. 약리독성 분야에 대해서는 약리학에 대한 지식이 얇아서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만, 임상병리학 입장에서는 분명 차이가 있는 것만은 사실입니다. 혈장을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항응고제가 첨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측정치가 혈청에 비해서 조금 낮게 측정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큰 차이는 없다고 하지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