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cAMP assay vs PKA or pCREB activity

세포 내에서 cAMP assay를 kit를 사용해서 측정하였으나 실험할 때마다 값이 많이 흔들립니다. 그래서 cAMP의 down stream인 PKA activity를 측정해서 약물반응에 따른 cAMP증감을 보려고 합니다.. PKA나 pCREB activity는 western blot으로 active form을 잡을려고요.. 물론 western이 정량적인 한계가 있지만 일단, cAMP가 증가하는지 아님 그반대인지 정도라도 확인할려고 하는데 ... 이렇게 실험을 해도 괜찮을까요?? 고수님들의 답변 기다립니다...
  • cAMP
  • PKA
  • pCREB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세포 내에서 cAMP assay를 kit를 사용해서 측정하였으나 실험할 때마다 값이 많이 흔들립니다. 그래서 cAMP의 down stream인 PKA activity를 측정해서 약물반응에 따른 cAMP증감을 보려고 합니다.. >PKA나 pCREB activity는 western blot으로 active form을 잡을려고요.. >물론 western이 정량적인 한계가 있지만 일단, cAMP가 증가하는지 아님 그반대인지 정도라도 확인할려고 하는데 ... >이렇게 실험을 해도 괜찮을까요?? >고수님들의 답변 기다립니다... > > Western blot을 이용해 cAMP의 양을 측정한 사례가 있군요. 자료 첨부하니 참고하세요..
    >세포 내에서 cAMP assay를 kit를 사용해서 측정하였으나 실험할 때마다 값이 많이 흔들립니다. 그래서 cAMP의 down stream인 PKA activity를 측정해서 약물반응에 따른 cAMP증감을 보려고 합니다.. >PKA나 pCREB activity는 western blot으로 active form을 잡을려고요.. >물론 western이 정량적인 한계가 있지만 일단, cAMP가 증가하는지 아님 그반대인지 정도라도 확인할려고 하는데 ... >이렇게 실험을 해도 괜찮을까요?? >고수님들의 답변 기다립니다... > > Western blot을 이용해 cAMP의 양을 측정한 사례가 있군요. 자료 첨부하니 참고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세포 내에서 cAMP assay를 kit를 사용해서 측정하였으나 실험할 때마다 값이 많이 흔들립니다. 그래서 cAMP의 down stream인 PKA activity를 측정해서 약물반응에 따른 cAMP증감을 보려고 합니다.. >PKA나 pCREB activity는 western blot으로 active form을 잡을려고요.. >물론 western이 정량적인 한계가 있지만 일단, cAMP가 증가하는지 아님 그반대인지 정도라도 확인할려고 하는데 ... >이렇게 실험을 해도 괜찮을까요?? >고수님들의 답변 기다립니다... > > 첨부자료
    >세포 내에서 cAMP assay를 kit를 사용해서 측정하였으나 실험할 때마다 값이 많이 흔들립니다. 그래서 cAMP의 down stream인 PKA activity를 측정해서 약물반응에 따른 cAMP증감을 보려고 합니다.. >PKA나 pCREB activity는 western blot으로 active form을 잡을려고요.. >물론 western이 정량적인 한계가 있지만 일단, cAMP가 증가하는지 아님 그반대인지 정도라도 확인할려고 하는데 ... >이렇게 실험을 해도 괜찮을까요?? >고수님들의 답변 기다립니다... > > 첨부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