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0-12
org.kosen.entty.User@73f74b96
박영관(yeonggp)
- 2
최근 RNAi, miRNA등 짧은 RNA 단편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한 논문들이 무수히 발표되고 있지요.
궁금한 것은, 짧은 RNA 단편을 세포에서 안전하게 발현시키기 위하여 RNA-DNA 이중가닥 뉴클레오티드를 하이브리드 벡터를 만들고, 이 벡터를 세포에 트랜스팩션 시킨후 타킷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된 것을 확인한 논문이 있을지요?
가능한 오래된 논문이 있었으면 제가 일하는데 도움이 되겠습니다.
- 하이브리드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09-10-13- 0
RNAi에 대한 개념은 상당히 오래 전부터 연구되어 왔습니다만, 21세기에 접어들면서 siRNA, RISC 등의 기초적인 개념이 확실하게 되고, 최근에는 치료제로써의 응용에 이르기까지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에 작성된 리뷰 한편과 2002년 PNAS에 발표된 논문을 2편 첨부합니다. 참고가 되시길 바랍니다. >최근 RNAi, miRNA등 짧은 RNA 단편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한 논문들이 무수히 발표되고 있지요. > >궁금한 것은, 짧은 RNA 단편을 세포에서 안전하게 발현시키기 위하여 RNA-DNA 이중가닥 뉴클레오티드를 하이브리드 벡터를 만들고, 이 벡터를 세포에 트랜스팩션 시킨후 타킷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된 것을 확인한 논문이 있을지요? > >가능한 오래된 논문이 있었으면 제가 일하는데 도움이 되겠습니다. > > > > -
답변
DELETED님의 답변
2010-01-08- 0
>최근 RNAi, miRNA등 짧은 RNA 단편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한 논문들이 무수히 발표되고 있지요. > >궁금한 것은, 짧은 RNA 단편을 세포에서 안전하게 발현시키기 위하여 RNA-DNA 이중가닥 뉴클레오티드를 하이브리드 벡터를 만들고, 이 벡터를 세포에 트랜스팩션 시킨후 타킷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된 것을 확인한 논문이 있을지요? > >가능한 오래된 논문이 있었으면 제가 일하는데 도움이 되겠습니다. > > > Re: 참고 논문 첨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