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0-14
org.kosen.entty.User@7850a3b
한태원(korea498)
- 1
Ammonium thiocyanate를 사용해서 항산화 실험을 하고자 하는데 처음하는거라 어떻게 실험을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관련 논문을 찾아서 몇개 보긴 했지만 실험방법이 제각각이어서..
좀 자세히 나와있는 논문이나, 실험방법좀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시약 제조 방법 및 원리 등)
- Ammonium thiocyanate
- linoleic acid
- 항산화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09-10-15- 2
잘아시겠지만, 한가지 테마에 대해서 다양한 실험 방법이 존재합니다. 항산화 실험의 경우에도 비슷한 원리를 이용한 것들에서부터 전혀 다른 원리를 채용하고 또한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는 실험법들이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 자신의 연구 방향에 알맞는 접근법 (실험법)을 찾아내는 것은 연구를 디자인하는 초기 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Ammmonium thiocyanate를 이용한 항산화 실험이라고 언급하셨는데, 다른 말로 "ferric thiocyanate assay"로 불리는 실험법으로 불포화 지방산인 linoleic acid에 의해서 생성되는 lipid hydroperoxide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써, linoleic acid의 산화에 의해 생성된 radical에 의해 ferrous ion이 ferric ion으로 바뀌며, 이때 ferric ion과 thiocyanate가 반응하여 붉은색을 띠는 ferrous thiocyanate를 형성하는데, 이를 정량함으로써 lipid peroxidation을 상대적으로 정량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실험 대상 (시료)의 존재에 의해서 위의 산화 과정 (radical의 생성)이 억제된다면, 즉, 항산화 능력이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단, 시료중의 ferrous ion의 존재에 의해서 실험 결과에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생체에는 다양한 지방산이 존재하며 대표적인 지방산으로는 oleic acid이며, linoleic acid와는 다른 성질을 보입니다. 즉, 위의 ferric thiocyanate assay의 경우도 다양한 실험법 중에 하나일 뿐 정확한 항산화 능력을 수치화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논문에서 복수의 항산화능 시험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식품 소재들을 이용한 항산화 실험의 경우에는 실제로 생체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항산화 시험법들을 병행하여 실험 결과를 제시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검색하셔서 얻으신 시험법들도 공인된 저널에 개제된 것이라면 참고문헌으로 이용하시는 데 무리가 없을 듯 싶습니다. 논리에서 벗어나지 범우라면 실험법은 언제든 modification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될수록 최근의 논문을 인용하셔서 실험법을 적용하시는 것이 간단하며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 수 있습니다. >Ammonium thiocyanate를 사용해서 항산화 실험을 하고자 하는데 처음하는거라 어떻게 실험을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 >관련 논문을 찾아서 몇개 보긴 했지만 실험방법이 제각각이어서.. > >좀 자세히 나와있는 논문이나, 실험방법좀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시약 제조 방법 및 원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