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0-23
org.kosen.entty.User@1c331f03
손병국(sylph46)
- 2
3M에서 만든 PET와 PMMA를 교대로 적층해 적외선을 차단하는 필름을 분석해보고 있습니다.
30u정도에 내부가 약 200층 정도라니 한층에 0.15u 정도일것으로 예상하는데요,
층간 두께조절에 어떠한 기술이 숨어 있을 것 같은데 이걸 SEM으로 보려고 하니
배율이 올라가면서 PMMA가 변형이 일어나 당체 보이질 않네요...
어떠한 분석 방법을 쓰면 이러한 적층 고분자 필름을 해석할 수 있을까요? 놀라운 3M...^^;
여러분들의 고견 부탁 드립니다. 즐거운 하루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나노적층
- 고분자
- 적외선차단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13- 2
적층의 film을 직경3mm로 원형 시편을 만들어서 TEM으로 단면의 사진을 찍는 방법이 있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18- 2
>3M에서 만든 PET와 PMMA를 교대로 적층해 적외선을 차단하는 필름을 분석해보고 있습니다. > >30u정도에 내부가 약 200층 정도라니 한층에 0.15u 정도일것으로 예상하는데요, > >층간 두께조절에 어떠한 기술이 숨어 있을 것 같은데 이걸 SEM으로 보려고 하니 > >배율이 올라가면서 PMMA가 변형이 일어나 당체 보이질 않네요... > >어떠한 분석 방법을 쓰면 이러한 적층 고분자 필름을 해석할 수 있을까요? 놀라운 3M...^^; > >여러분들의 고견 부탁 드립니다. 즐거운 하루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늦은 감이 있습니다만, 개인적인 소견입니다. 적층필름의 두께는 x-ray reflectivity라는 측정법을 이용하면 알 수 있을거 같습니다. 한 층의 두께에 비례해서 차단되는 자외선 파장과 관련이 있을것입니다. 각 층을 구성하는 물질의 광학적 성질과 한층의 두께를 분석하게 될 경우, simple한 모델링이 가능할 거 같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