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cell culture시 hela cell이용

cell culture할때요 주로 hela cell을 사용하는 이유가 뭔가요?
  • cell culture
  • hela cel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정재현님의 답변

    >cell culture할때요 >주로 hela cell을 사용하는 이유가 뭔가요? ^^ 일단 질문이 상당히 재미있습니다. 실험 용도에 맞기 때문에 HeLa Cell 을 사용하는 것이겠지요 (Human cancer cell)? ^^ 그러나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것 처럼, 오늘날 전세계 암 연구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암세포가 헬라세포(HeLa Cell)인 것은 맞습니다. HeLa 세포는 실험 배지의 영양과 온도만 적절하게 유지된다면 무한정 분열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들 수 있겠습니다. 사실 사람을 포함한 척추동물의 세포는 아무리 왕성한 분열능력을 가진 종류라 할지라도 50회 이상 분열하면 죽는 것과 대조적이죠. 사실 이 세포는 자궁경부암 세포인데요, 1951년 미국 볼티모어에 사는 헨리에타 랙스Henrietta Lacks란 여성이 말기 자궁경부암 진단 후 8개월만에 죽고, 그녀의 몸에서 떼어낸 암세포는 인근 존스홉킨스 병원 연구진에게 전달되었습니다. 그들은 그녀의 암세포를 이용해 시험관에서 암세포를 영구적으로 배양하는 데 성공했고 이렇게 HeLa Cell이 탄생하였습니다. ^^
    >cell culture할때요 >주로 hela cell을 사용하는 이유가 뭔가요? ^^ 일단 질문이 상당히 재미있습니다. 실험 용도에 맞기 때문에 HeLa Cell 을 사용하는 것이겠지요 (Human cancer cell)? ^^ 그러나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것 처럼, 오늘날 전세계 암 연구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암세포가 헬라세포(HeLa Cell)인 것은 맞습니다. HeLa 세포는 실험 배지의 영양과 온도만 적절하게 유지된다면 무한정 분열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들 수 있겠습니다. 사실 사람을 포함한 척추동물의 세포는 아무리 왕성한 분열능력을 가진 종류라 할지라도 50회 이상 분열하면 죽는 것과 대조적이죠. 사실 이 세포는 자궁경부암 세포인데요, 1951년 미국 볼티모어에 사는 헨리에타 랙스Henrietta Lacks란 여성이 말기 자궁경부암 진단 후 8개월만에 죽고, 그녀의 몸에서 떼어낸 암세포는 인근 존스홉킨스 병원 연구진에게 전달되었습니다. 그들은 그녀의 암세포를 이용해 시험관에서 암세포를 영구적으로 배양하는 데 성공했고 이렇게 HeLa Cell이 탄생하였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신동욱님의 답변

    >cell culture할때요 >주로 hela cell을 사용하는 이유가 뭔가요? 아시다시피 대표적인 암세포입니다. 무엇보다, cell handling이 원활한 편에 해당되는 세포이구요. 주로 암을 연구하는 분들이 손쉽게 다룰 수 있고, 각종 단백질/RNA/DNA라든가 분리등이 섬유아세포처럼 원활하기 때문에 사용을 하는 세포입니다. 분열 또한 활발해서 원하는 양의 실험을 하는 데 안성맞춤의 세포라고 할 수 있습니다.
    >cell culture할때요 >주로 hela cell을 사용하는 이유가 뭔가요? 아시다시피 대표적인 암세포입니다. 무엇보다, cell handling이 원활한 편에 해당되는 세포이구요. 주로 암을 연구하는 분들이 손쉽게 다룰 수 있고, 각종 단백질/RNA/DNA라든가 분리등이 섬유아세포처럼 원활하기 때문에 사용을 하는 세포입니다. 분열 또한 활발해서 원하는 양의 실험을 하는 데 안성맞춤의 세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