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TGA, DSC 분석 부탁드립니다.

첨부파일


석탄을 SDT 모델로 측정한 그래프 입니다. 제가 해석을 몰라 무게 감소률 밖에 볼수가 없습니다. 어떻게 해석해야되고 그래프를 어떻게 봐야되는지? 궁금합니다. X축이 시간으로 했을때는 360도 부근에 뒤로휘는게 없다가 x축을 온도로 했을때는 다른현상이 보이는 이유가 무엇인지? 열분석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특히 해석을 어떻게 해야되는지가 제일 궁금하네요.. 행복하세요~
  • DSC
  • TGA
  • 석탄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진남님의 답변

    음, 본인이 고민을 하시면 답을 아실 수 있으리라 봅니다만... 첫째로, X축을 시간으로 할 때랑, 온도로 할 때 Heat flow 피크가 휘는 것은 온도가 직선으로 승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 근처에서 온도가 올라갔다가 내려오지요. 즉, 동일한 현상이 다르게 표현되는 것입니다. 둘째로, DTA peak가 두 개인 것은 시료에 연소가 잘 되는 물질과, 연소가 잘 안되는 물질 두 가지가 섞여 있는 것으로 해석 가능합니다. 연소 잘 되는 것이 소량 있는데, 먼저 연소하고 이후에 나머지 것이 연소하는 것이지요. 세째로, 100 oC 부근의 초기 무게 감소는 수분 증발이고, 마지막에 남은 것은 무기물 회분으로 생각됩니다. * 데이타가 깔끔하지는 않은데, 만약 더 예쁜 데이타를 얻고 싶다면 시료 양을 가능한 한 적게 하여 재실험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데이타를 사용한다면 X축을 시간으로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만약 질소분위기 하에서 동일한 실험을 한다면, 새로운 정보를 더 얻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석탄을 SDT 모델로 측정한 그래프 입니다. >제가 해석을 몰라 무게 감소률 밖에 볼수가 없습니다. >어떻게 해석해야되고 그래프를 어떻게 봐야되는지? 궁금합니다. >X축이 시간으로 했을때는 360도 부근에 뒤로휘는게 없다가 >x축을 온도로 했을때는 다른현상이 보이는 이유가 무엇인지? >열분석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특히 해석을 어떻게 해야되는지가 제일 궁금하네요.. >행복하세요~
    음, 본인이 고민을 하시면 답을 아실 수 있으리라 봅니다만... 첫째로, X축을 시간으로 할 때랑, 온도로 할 때 Heat flow 피크가 휘는 것은 온도가 직선으로 승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 근처에서 온도가 올라갔다가 내려오지요. 즉, 동일한 현상이 다르게 표현되는 것입니다. 둘째로, DTA peak가 두 개인 것은 시료에 연소가 잘 되는 물질과, 연소가 잘 안되는 물질 두 가지가 섞여 있는 것으로 해석 가능합니다. 연소 잘 되는 것이 소량 있는데, 먼저 연소하고 이후에 나머지 것이 연소하는 것이지요. 세째로, 100 oC 부근의 초기 무게 감소는 수분 증발이고, 마지막에 남은 것은 무기물 회분으로 생각됩니다. * 데이타가 깔끔하지는 않은데, 만약 더 예쁜 데이타를 얻고 싶다면 시료 양을 가능한 한 적게 하여 재실험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데이타를 사용한다면 X축을 시간으로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만약 질소분위기 하에서 동일한 실험을 한다면, 새로운 정보를 더 얻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석탄을 SDT 모델로 측정한 그래프 입니다. >제가 해석을 몰라 무게 감소률 밖에 볼수가 없습니다. >어떻게 해석해야되고 그래프를 어떻게 봐야되는지? 궁금합니다. >X축이 시간으로 했을때는 360도 부근에 뒤로휘는게 없다가 >x축을 온도로 했을때는 다른현상이 보이는 이유가 무엇인지? >열분석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특히 해석을 어떻게 해야되는지가 제일 궁금하네요.. >행복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