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2-08
org.kosen.entty.User@15d50c0a
진영삼(wizyoungsam)
- 3
TiO2 파우더를 이용해서 ethyl celluose, terpineol, ethanol 가지고 paste를 제조한 후 오븐에서 100도로 dry 시킨 후 퍼니스를 이용해서 400도에서 소성하고 있는데요
100도에서 dry 시켰을땐 잘 흡착 되는거 같더니 퍼니스로 400도에서 소성시키면 흡착이 잘안되고 파우더 상태로 그냥 글래스위에 붙어있는거 같아요 .. 그래서 IPA로 살짝 문데기만해도 없어져 버리고..
paste가 문제인지 소성 과정에서 문제가 생긴건지 잘 모르겠는데 왜 이런 건지 혹시 알려주실수 있나요..
그리고 TiO2 파우더 상태에서 600도에서 소성한후 rutile결정구조의 TiO2 파우더를 가지고 스크린프린팅으로 하면 스크린프린팅 과정후에 별다른 열처리 과정없이도 TiO2 박막이 Rutile결정상을 가지나요 ?
아니면 다시 결정성장을 위한 열처리 과정이 필요한가요 ?
- TiO2
- paste
- dss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9-12-09- 0
태양전지용으로 TiO2를 사용하는 것 같은데 온도를 왜 올리는지 모르겠습니다. 용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온도를 올리면 증발하여 버리고 가루만 붙어있는 상태이므로 약간 손만 대어도 벗겨져 버립니다. 전도성 수지와 하고자 하는 TiO2를 혼합하여 유리에 coating하는 것으로 완료함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유리는 반드시 전처리를 하여야 합니다(첨부 glass etching solution참조) 그리고 anatase를 600도로 올리면 rutile로 변환되며, 더이상의 열처리는 필요없습니다. -
답변
안상범님의 답변
2009-12-10- 0
>TiO2 파우더를 이용해서 ethyl celluose, terpineol, ethanol 가지고 paste를 제조한 후 오븐에서 100도로 dry 시킨 후 퍼니스를 이용해서 400도에서 소성하고 있는데요 >100도에서 dry 시켰을땐 잘 흡착 되는거 같더니 퍼니스로 400도에서 소성시키면 흡착이 잘안되고 파우더 상태로 그냥 글래스위에 붙어있는거 같아요 .. 그래서 IPA로 살짝 문데기만해도 없어져 버리고.. >paste가 문제인지 소성 과정에서 문제가 생긴건지 잘 모르겠는데 왜 이런 건지 혹시 알려주실수 있나요.. > >그리고 TiO2 파우더 상태에서 600도에서 소성한후 rutile결정구조의 TiO2 파우더를 가지고 스크린프린팅으로 하면 스크린프린팅 과정후에 별다른 열처리 과정없이도 TiO2 박막이 Rutile결정상을 가지나요 ? >아니면 다시 결정성장을 위한 열처리 과정이 필요한가요 ? > 페이스트에서 유기용매와 고분자는 코팅을 한 후 형태 유지를 시킨 후 제거하여 무기물만 남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열처리 온도가 너무 낮은 것 같네요 제 경험상 에틸셀룰로우스의 경우 400도에서 남아있는 부분이 있으므로 좀더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하시기 바랍니다. 나중에 남아있는 잔류유기물질이 최종기판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됩니다. 에틸셀룰로오스가 다우의 제품을 쓰신다면 STD45을 추천합니다. 다른 그레이드보다 분자량분포가 정확하며 최종 페이스트상의 점도변화도 적습니다. (다우쪽 기술담당자가 말하길 STD4, 10보다 점도차가 적어서 프린팅시 일정한 두께와 형태를 가질 수 있다고 하네요) 그리고 TiO2의 결정성장을 위해 열처리는 필요없을 것 같습니다.진영삼(wizyoungsam) 2009-12-10네 답변 감사합니다 ^^ TiO2의 결정성장을 위한 열처리가 필요 없다면 만약에 박막 입히기전에 800도에서 열처리하여 rutile결정성장을 시킨 후 박막을 입힌후 다른 소성공정없이도 루타일의 박막이 형성되는건가요 ?
안상범(koreazzang) 2009-12-11가능합니다. 그러나 박막형성 후 소성한 TiO2입자의 잔류유기물이 남아있는 경우, 효율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니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25- 0
>TiO2 파우더를 이용해서 ethyl celluose, terpineol, ethanol 가지고 paste를 제조한 후 오븐에서 100도로 dry 시킨 후 퍼니스를 이용해서 400도에서 소성하고 있는데요 >100도에서 dry 시켰을땐 잘 흡착 되는거 같더니 퍼니스로 400도에서 소성시키면 흡착이 잘안되고 파우더 상태로 그냥 글래스위에 붙어있는거 같아요 .. 그래서 IPA로 살짝 문데기만해도 없어져 버리고.. >paste가 문제인지 소성 과정에서 문제가 생긴건지 잘 모르겠는데 왜 이런 건지 혹시 알려주실수 있나요.. > >그리고 TiO2 파우더 상태에서 600도에서 소성한후 rutile결정구조의 TiO2 파우더를 가지고 스크린프린팅으로 하면 스크린프린팅 과정후에 별다른 열처리 과정없이도 TiO2 박막이 Rutile결정상을 가지나요 ? >아니면 다시 결정성장을 위한 열처리 과정이 필요한가요 ? >
답변 감사합니다~ 태양전지용 TiO2는 anatase로의 결정성장 시키기 위하여 열처리를 해야되구요. TiO2를 FTO글래스위에 코팅하고자 하는데 첨부해주신 파일 보니 HF가지고 표면처리를 해주는거던데 그러면 FTO가 에칭 될꺼같네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