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2-10
org.kosen.entty.User@23ca616c
권재경(secret36)
- 3
발포성 고분자 복합소재의 연구 동향이나 여러가지 기타 자료를
얻고 싶습니다.
급한 자료를 만들어야 해서요....부탁드리겠습니다..
자료요청에 올릴려고 했지만 금새 뒤로 밀려서나서 여기에 올렸습니다.
부탁 드리겠습니다.
- 발포성 고분자
- 목질 섬유
- 복합소재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06- 0
>발포성 고분자 복합소재의 연구 동향이나 여러가지 기타 자료를 >얻고 싶습니다. > >급한 자료를 만들어야 해서요....부탁드리겠습니다.. >자료요청에 올릴려고 했지만 금새 뒤로 밀려서나서 여기에 올렸습니다. > >부탁 드리겠습니다. 참고하세요,, -------------------- 후방 환기 커튼월용 단열재로 사용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KISTI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09-11-18 현재 고층 빌딩 끝까지 확장될 수 있는 후방 환기 커튼월(curtain facades)은 발포성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단열을 시킬 수 있다. 이 혁신적인 제품은 BASF의 Neopor로 만들어진 단열재료 덕분에 가능하게 되었다. 스위스 단열재료 제조회사인 Swisspor는 특허를 받은 외관 시스템 swisspor Lambda Vento에서 후방 환기 커튼 외관용으로 Neopor를 사용한다. Neopor 로 만들어진 단열 패널 시스템은 베를린에 있는 독일 건축기술 연구원(the German Institute for Construction Technology)에 의해 승인을 받았으며 기존 시스템에 비해 상당히 우수한 단열성능(R = 0.031 or 0.032 W/m*K)과 물이 침투되지 않는 특성을 보이며 기존의 노후한 건물의 보수 혹은 새로운 건축물에 사용될 수 있다. 열교현상(heat bridges)이 거의 없고 조립이 용이하여 공간을 절약 밀집되고 공간을 절약하는 구조는 각 층에 화염 방지 혹은 방화벽으로 화재방지를 위해 고층 빌딩 끝(22.5 meters)까지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석면으로 된, 후방 환기 커튼 외장월과 비교할 때 Swisspor 시스템은 습기에 강하고 따라서 치수 안정성, 노화안정성을 가지며 잘 썩지 않는다. Neopor 단열패널은 둥글며 장부물림(tongue and groove: 함판이나 OSB가 바닥 덮개로 사용되는 경우에 장선과 장선 사이의 빈 공간에서 상부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판재의 한쪽 긴 측면에는 홈을 파고 다른 쪽 긴 측면에는 턱을 만들어 끼워 맞출 수 있도록 제조된 형태)으로 되어 있고 일정한 간격으로 부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해 스페이서 볼트로 조여있다. 이러한 구조는 열교현상 없이 효율적인 구조를 형성하게 해준다. 단열 패널, 공기 층을 가진 나무 부 구조물 및 외측 크래딩(다른 금속을 입힌 형태)로 구성된, 다중층의 외벽 구조는 빠르고 안전하고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두께가 200 밀리미터까지 가능한 단열패널은 먼지나 폐기물의 발생 없이 열선에 의해 재단될 수 있으며 공정처리될 수 있다. 이들은 단열재료 홀더 없이 부구조물에 확실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른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는 코튼월이 제거가 필요할 때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부품들은 재활용되거나 재사용될 수 있다. 이 커튼월 구조는 개인적인 용도 혹은 미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는 크래딩, 예를 들면 영구 월 패널 및 다른 코팅이 된 석고 지지판과 같은 많은 디자인이 가능하다. 독일에서 이 시스템은 베를린에서 11월 24-25일에 열리는 "zukunft haus 2009" ("미래주택 2009") 전시회에서 BASF 전시관에 처음으로 소개될 예정이다.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재료 Neopor는 기존의 하얀색 단열재인 Styropor의 첨단제품이다. BASF는 폴리스티렌으로부터 검은색으로 된 발포 스티렌 구를 제조한다. 제조공정에서 구를 폼 형태로 만들고 은회색으로 변화시켜 다양한 분야-특히, 건축의 단열에 응용될 수 있게 성형한다. Neopor가 만든 단열재료는 열 방사를 반영하고 따라서 열손실을 줄이는 소형 거울과 같은 역할을 하는 그래파이트 입자들이 골고루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은회색이다. 따라서 단열효과는 20% 이상 향상되며 이는 난방가격을 절약하게 하며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건물의 가치를 향상시키게 된다. -
답변
이선영님의 답변
2010-02-02- 0
>발포성 고분자 복합소재의 연구 동향이나 여러가지 기타 자료를 >얻고 싶습니다. > >급한 자료를 만들어야 해서요....부탁드리겠습니다.. >자료요청에 올릴려고 했지만 금새 뒤로 밀려서나서 여기에 올렸습니다. > >부탁 드리겠습니다. 폴리프로필렌 발포에 관한 연구논문이 있네요. 졸업논문명: 분자량 및 유변특성에 따른 폴리프로필렌의 발포체 변화에 관한 연구 (홍다윗, 충남대 고분자학과) 1. 폴리프로필렌의 분자량, 유변물성특성과 전자선 가교가 발포성에 미치는 영향, 구두발표, 고분자학회,2000.10 2. 폴리프로핀렌의 연속압출발포공정에서 분자량과 유변물성이 미치는 영향, 포스터, 고분자학회,2000.10 3. 가교도와 공정조건에 따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 구조변화, 폴리머2000.7 4. 폴리프로필렌의 압출발포 특성에 관한 연구,폴리머,2000 5. Foam structures of polypropylene by crosslinking and operating condition in batch process, Foamplas 2000 6. 가교도와 다양한 발포공정조건이 Polypropylene발포체 구조에 미치는 영향.포스터.1999.4 참고하세요 ^^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2-03- 0
>발포성 고분자 복합소재의 연구 동향이나 여러가지 기타 자료를 >얻고 싶습니다. > >급한 자료를 만들어야 해서요....부탁드리겠습니다.. >자료요청에 올릴려고 했지만 금새 뒤로 밀려서나서 여기에 올렸습니다. > >부탁 드리겠습니다. 첨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