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sephadex LH-20 컬럼분획

Sephadex LH-20 컬럼을 이용하여 식물 추출물을 분획한 후 8개의 분획물을 얻었습니다. 그 후 각 분획물을 GCMS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분석하였습니다. 그 결과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예를 들어 A,B,C,D)이 컬럼분획에 의해 각 분획물에 분리되어지리라 예상했었는데, A~D 물질이 분획물 별로 농도차이만 날뿐 혼재되어 있었습니다. 논문을 찾아보니 물질의 극성이나 분배계수에 의해 분리정도가 차이나며, 단일 컬럼분획으로는 혼합물에서 단일물질분리는 어렵다고 나와있었습니다. 1)이 말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고 싶고요,,, 2)근본적으로 물질분리가 안되는 이유가 무엇때문인지 알고 싶습니다. 많은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 sephadex LH-20
  • fraction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정홍래님의 답변

    >Sephadex LH-20 컬럼을 이용하여 식물 추출물을 분획한 후 8개의 분획물을 얻었습니다. > >그 후 각 분획물을 GCMS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분석하였습니다. > >그 결과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예를 들어 A,B,C,D)이 컬럼분획에 의해 > >각 분획물에 분리되어지리라 예상했었는데, > >A~D 물질이 분획물 별로 농도차이만 날뿐 혼재되어 있었습니다. >논문을 찾아보니 물질의 극성이나 분배계수에 의해 분리정도가 차이나며, > >단일 컬럼분획으로는 혼합물에서 단일물질분리는 어렵다고 나와있었습니다. > > 1)이 말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고 싶고요,,, > 2)근본적으로 물질분리가 안되는 이유가 무엇때문인지 알고 싶습니다. > >많은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 분획하고자 할때 컬럼충진물, 분획하고자 하는 물질, 분획시 사용되는 용매가 매우 중요합니다 Sephadex LH-20는 dextran에 hydroxypropylated기가 있어 극성인것 같읍니다. 분배계수란 분석물질이 컬럼(여기서는 Sephadex LH-20 )과 분획에 사용되는 용매사이에서 어떻 게 분배되는 정도를 표시 한 값을 말합니다. 만약 a물질이 분배계수가 1이면 a물질은 용매와 컬럼에 각각 0.5씩 분배되며 만약 b물질이 분배계수가 2이면 b물질은 용매와 컬럼에 각각 0.6/0.3씩 분배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b물질은 용매에 분배가 많이 되어 먼저 분획 되어 나오고 a 는 나중에 나옵니다. ------------------------------------------------------------------------ 단일컬럼으로 혼합물의 분리는 분석물질과 컬럼특성, 분획용매에 따라 분리 될 수도 되지 않을 수도 있읍니다. 현재 분획하려는 물질과 분획시 사용하는 용매에 정확한 정보가 없어 답변하기는 곤란하지만 현재사용하는 용매는 맞지 않는 것 같읍니다. 용매의 조성을 바꾸어 보시거나 용매를 바꾸어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Sephadex LH-20 컬럼을 이용하여 식물 추출물을 분획한 후 8개의 분획물을 얻었습니다. > >그 후 각 분획물을 GCMS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분석하였습니다. > >그 결과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예를 들어 A,B,C,D)이 컬럼분획에 의해 > >각 분획물에 분리되어지리라 예상했었는데, > >A~D 물질이 분획물 별로 농도차이만 날뿐 혼재되어 있었습니다. >논문을 찾아보니 물질의 극성이나 분배계수에 의해 분리정도가 차이나며, > >단일 컬럼분획으로는 혼합물에서 단일물질분리는 어렵다고 나와있었습니다. > > 1)이 말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고 싶고요,,, > 2)근본적으로 물질분리가 안되는 이유가 무엇때문인지 알고 싶습니다. > >많은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 분획하고자 할때 컬럼충진물, 분획하고자 하는 물질, 분획시 사용되는 용매가 매우 중요합니다 Sephadex LH-20는 dextran에 hydroxypropylated기가 있어 극성인것 같읍니다. 분배계수란 분석물질이 컬럼(여기서는 Sephadex LH-20 )과 분획에 사용되는 용매사이에서 어떻 게 분배되는 정도를 표시 한 값을 말합니다. 만약 a물질이 분배계수가 1이면 a물질은 용매와 컬럼에 각각 0.5씩 분배되며 만약 b물질이 분배계수가 2이면 b물질은 용매와 컬럼에 각각 0.6/0.3씩 분배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b물질은 용매에 분배가 많이 되어 먼저 분획 되어 나오고 a 는 나중에 나옵니다. ------------------------------------------------------------------------ 단일컬럼으로 혼합물의 분리는 분석물질과 컬럼특성, 분획용매에 따라 분리 될 수도 되지 않을 수도 있읍니다. 현재 분획하려는 물질과 분획시 사용하는 용매에 정확한 정보가 없어 답변하기는 곤란하지만 현재사용하는 용매는 맞지 않는 것 같읍니다. 용매의 조성을 바꾸어 보시거나 용매를 바꾸어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앞서 답변하신 분께서 잘 설명해 주셨습니다. 기본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서 분리를 할 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사용했는데도 불구하고 모든 분획에 걸쳐 분리 대상 물질이 검출된다는 것은 분리 컬럼의 분리 능력을 초과하는 양을 로딩한(오버로딩) 경우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질문하신 분의 경우 분리 가능한 분석 조건을 사용하신 건지 확실치 않으니 제가 언급한 원인은 가능성 중 하낭입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앞서 답변하신 분께서 잘 설명해 주셨습니다. 기본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서 분리를 할 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사용했는데도 불구하고 모든 분획에 걸쳐 분리 대상 물질이 검출된다는 것은 분리 컬럼의 분리 능력을 초과하는 양을 로딩한(오버로딩) 경우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질문하신 분의 경우 분리 가능한 분석 조건을 사용하신 건지 확실치 않으니 제가 언급한 원인은 가능성 중 하낭입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Sephadex LH-20 컬럼을 이용하여 식물 추출물을 분획한 후 8개의 분획물을 얻었습니다. > >그 후 각 분획물을 GCMS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분석하였습니다. > >그 결과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예를 들어 A,B,C,D)이 컬럼분획에 의해 > >각 분획물에 분리되어지리라 예상했었는데, > >A~D 물질이 분획물 별로 농도차이만 날뿐 혼재되어 있었습니다. > >논문을 찾아보니 물질의 극성이나 분배계수에 의해 분리정도가 차이나며, > >단일 컬럼분획으로는 혼합물에서 단일물질분리는 어렵다고 나와있었습니다. > > 1)이 말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고 싶고요,,, > 2)근본적으로 물질분리가 안되는 이유가 무엇때문인지 알고 싶습니다. > >많은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경험상으로 이런 현상들은 보통 컬럼 선택에 의해서 해결이 될 수 있을거 같군요. 질문자분께서 Sephadex LH-20 컬럼을 사용한 후에 GC-MS로 분석하였는데, 분석 기기 자체를 LC-MS로 바꿔서 분석해 보시는 것도 한가지 방법인거 같습니다. 이럴 경우, LC column중에 Hilic column이라고 있습니다. 보통 친수성 물질들의 분리에 사용되는 컬럼인데, resolution이 매우 좋을 것입니다.
    >Sephadex LH-20 컬럼을 이용하여 식물 추출물을 분획한 후 8개의 분획물을 얻었습니다. > >그 후 각 분획물을 GCMS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분석하였습니다. > >그 결과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예를 들어 A,B,C,D)이 컬럼분획에 의해 > >각 분획물에 분리되어지리라 예상했었는데, > >A~D 물질이 분획물 별로 농도차이만 날뿐 혼재되어 있었습니다. > >논문을 찾아보니 물질의 극성이나 분배계수에 의해 분리정도가 차이나며, > >단일 컬럼분획으로는 혼합물에서 단일물질분리는 어렵다고 나와있었습니다. > > 1)이 말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고 싶고요,,, > 2)근본적으로 물질분리가 안되는 이유가 무엇때문인지 알고 싶습니다. > >많은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경험상으로 이런 현상들은 보통 컬럼 선택에 의해서 해결이 될 수 있을거 같군요. 질문자분께서 Sephadex LH-20 컬럼을 사용한 후에 GC-MS로 분석하였는데, 분석 기기 자체를 LC-MS로 바꿔서 분석해 보시는 것도 한가지 방법인거 같습니다. 이럴 경우, LC column중에 Hilic column이라고 있습니다. 보통 친수성 물질들의 분리에 사용되는 컬럼인데, resolution이 매우 좋을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Sephadex LH-20 컬럼을 이용하여 식물 추출물을 분획한 후 8개의 분획물을 얻었습니다. > >그 후 각 분획물을 GCMS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분석하였습니다. > >그 결과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예를 들어 A,B,C,D)이 컬럼분획에 의해 > >각 분획물에 분리되어지리라 예상했었는데, > >A~D 물질이 분획물 별로 농도차이만 날뿐 혼재되어 있었습니다. > >논문을 찾아보니 물질의 극성이나 분배계수에 의해 분리정도가 차이나며, > >단일 컬럼분획으로는 혼합물에서 단일물질분리는 어렵다고 나와있었습니다. > > 1)이 말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고 싶고요,,, > 2)근본적으로 물질분리가 안되는 이유가 무엇때문인지 알고 싶습니다. > >많은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참고자료
    >Sephadex LH-20 컬럼을 이용하여 식물 추출물을 분획한 후 8개의 분획물을 얻었습니다. > >그 후 각 분획물을 GCMS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분석하였습니다. > >그 결과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예를 들어 A,B,C,D)이 컬럼분획에 의해 > >각 분획물에 분리되어지리라 예상했었는데, > >A~D 물질이 분획물 별로 농도차이만 날뿐 혼재되어 있었습니다. > >논문을 찾아보니 물질의 극성이나 분배계수에 의해 분리정도가 차이나며, > >단일 컬럼분획으로는 혼합물에서 단일물질분리는 어렵다고 나와있었습니다. > > 1)이 말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고 싶고요,,, > 2)근본적으로 물질분리가 안되는 이유가 무엇때문인지 알고 싶습니다. > >많은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참고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