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파우더 밀도에 대해서!

파우더랑 바인더를 혼합하려고 합니다 파우더상태와 액체상태의 비율을 맞추려고 보니 밀도를 가지고 질량에 대한 부피를 구해야 하는데 각 물질에 대한 밀도는 다르지 않나요? 예를 들어 제가 Sr2siO4의 파우더를 만들었다고 했을때 Sr에 대한 밀도와 Si에 대한 밀도가 다르다면 총 질량을 두 물질의 밀도를 더한값 만큼 나눠주면 되는것인가요?
  • 밀도
  • 부피
  • 질량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최성호님의 답변

    통상적으로 파우더를 구매하실때 따라오는 제품 사양에서 밀도를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좋구요. 아니면 메이커 홈페이지에서 밀도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위경우가 안된다면 XRD 분석시 활용하는 JCPDS카드에서 해당 물질을 찾아 보시면 보통 이론 밀도가 나와 있으니 이를 이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단, Sr2SiO4가 실제 존재할 수 있는 상이어야 합니다. >파우더랑 바인더를 혼합하려고 합니다 >파우더상태와 액체상태의 비율을 맞추려고 보니 밀도를 가지고 질량에 대한 부피를 구해야 하는데 각 물질에 대한 밀도는 다르지 않나요? >예를 들어 제가 Sr2siO4의 파우더를 만들었다고 했을때 Sr에 대한 밀도와 Si에 대한 밀도가 다르다면 총 질량을 두 물질의 밀도를 더한값 만큼 나눠주면 되는것인가요?
    통상적으로 파우더를 구매하실때 따라오는 제품 사양에서 밀도를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좋구요. 아니면 메이커 홈페이지에서 밀도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위경우가 안된다면 XRD 분석시 활용하는 JCPDS카드에서 해당 물질을 찾아 보시면 보통 이론 밀도가 나와 있으니 이를 이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단, Sr2SiO4가 실제 존재할 수 있는 상이어야 합니다. >파우더랑 바인더를 혼합하려고 합니다 >파우더상태와 액체상태의 비율을 맞추려고 보니 밀도를 가지고 질량에 대한 부피를 구해야 하는데 각 물질에 대한 밀도는 다르지 않나요? >예를 들어 제가 Sr2siO4의 파우더를 만들었다고 했을때 Sr에 대한 밀도와 Si에 대한 밀도가 다르다면 총 질량을 두 물질의 밀도를 더한값 만큼 나눠주면 되는것인가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손희정님의 답변

    >파우더랑 바인더를 혼합하려고 합니다 >파우더상태와 액체상태의 비율을 맞추려고 보니 밀도를 가지고 질량에 대한 부피를 구해야 하는데 각 물질에 대한 밀도는 다르지 않나요? >예를 들어 제가 Sr2siO4의 파우더를 만들었다고 했을때 Sr에 대한 밀도와 Si에 대한 밀도가 다르다면 총 질량을 두 물질의 밀도를 더한값 만큼 나눠주면 되는것인가요? ------------------------------------------------------------------------ 두 물질의 밀도를 단순히 더해서 나눈 값으로 밀도를 계산하면 안됩니다. 이유는 새로운 물질의 격자에 따른 부피가 변화가 있기 때문에 기존의 물질과 같을 수 없습니다. 만약,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셨다면 XRD를 이용하여 격자상수와 격자구조를 분석하고 격자구조내에 존재하는 물질의 질량롸 격자상수로 부터 구해진 부피로 밀도를 계산하시면 이론 밀도에 근사한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파우더랑 바인더를 혼합하려고 합니다 >파우더상태와 액체상태의 비율을 맞추려고 보니 밀도를 가지고 질량에 대한 부피를 구해야 하는데 각 물질에 대한 밀도는 다르지 않나요? >예를 들어 제가 Sr2siO4의 파우더를 만들었다고 했을때 Sr에 대한 밀도와 Si에 대한 밀도가 다르다면 총 질량을 두 물질의 밀도를 더한값 만큼 나눠주면 되는것인가요? ------------------------------------------------------------------------ 두 물질의 밀도를 단순히 더해서 나눈 값으로 밀도를 계산하면 안됩니다. 이유는 새로운 물질의 격자에 따른 부피가 변화가 있기 때문에 기존의 물질과 같을 수 없습니다. 만약,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셨다면 XRD를 이용하여 격자상수와 격자구조를 분석하고 격자구조내에 존재하는 물질의 질량롸 격자상수로 부터 구해진 부피로 밀도를 계산하시면 이론 밀도에 근사한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