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인산화된 단백질이면 모두 active form이라고 할수 있나요?

인산화된 단백질이라고 모두 active form이라고 할 수 있나요?
  • phosphorylation
  • 생화학
  • 인산화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7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인산화된 단백질이라고 모두 active form이라고 할 수 있나요? **************************************************************** 단백질의 세포막 내측과 외측은 전위차가 존재하며, 이를 세포막전위(cellular potential)이라고 하는데,내측는 OH- radical의 (-)전하를 가지며, 외측은 H+의 (+) 전하를 가지며 이의 차이는 수10mV에 달함.이에 에너지를 주어 전위차를 자극하게 되면 단백질의 세포질의 주성분인 물이 이온 전도를 행하는 전해질로써 펩티드결합에 의한 전자전달 구조는 전자의 tunneling이 가능하여 전자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자가 인과 결합하게 되면 active form으로 이루어 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의 sorce of energy는 ATP가 되겠습니다. ATP는 전자 전달후 ADP로 변환하게 되어 Active를 상실하게 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즉 외부 energy에 의하여 ON/OFF된다고 생물 전기화학에서는 밝히고 있습니다.
    >인산화된 단백질이라고 모두 active form이라고 할 수 있나요? **************************************************************** 단백질의 세포막 내측과 외측은 전위차가 존재하며, 이를 세포막전위(cellular potential)이라고 하는데,내측는 OH- radical의 (-)전하를 가지며, 외측은 H+의 (+) 전하를 가지며 이의 차이는 수10mV에 달함.이에 에너지를 주어 전위차를 자극하게 되면 단백질의 세포질의 주성분인 물이 이온 전도를 행하는 전해질로써 펩티드결합에 의한 전자전달 구조는 전자의 tunneling이 가능하여 전자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자가 인과 결합하게 되면 active form으로 이루어 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의 sorce of energy는 ATP가 되겠습니다. ATP는 전자 전달후 ADP로 변환하게 되어 Active를 상실하게 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즉 외부 energy에 의하여 ON/OFF된다고 생물 전기화학에서는 밝히고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제가 알기론 모두 active form은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 phosphorylation이 단백질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시그널로 작용하기도 하고 비활성화하는 시그널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on/off 기작은 phosphorylation에 의한 단백질의 conformational change 때문이라는 것은 잘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깊이 있는 답변드리지 못한 점 죄송합니다.
    제가 알기론 모두 active form은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 phosphorylation이 단백질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시그널로 작용하기도 하고 비활성화하는 시그널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on/off 기작은 phosphorylation에 의한 단백질의 conformational change 때문이라는 것은 잘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깊이 있는 답변드리지 못한 점 죄송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DELETED님의 답변

    >인산화된 단백질이라고 모두 active form이라고 할 수 있나요? Re: phosphorylation 이 되었다고 모두 active form은 아닙니다. 단백질 마다 phosphorylation 이 되었을 때 다른 단백질로 부터의 작용에 따라 각각 active form 이 될 수도 있고 반대로 degradation 될 수도 있습니다.
    >인산화된 단백질이라고 모두 active form이라고 할 수 있나요? Re: phosphorylation 이 되었다고 모두 active form은 아닙니다. 단백질 마다 phosphorylation 이 되었을 때 다른 단백질로 부터의 작용에 따라 각각 active form 이 될 수도 있고 반대로 degradation 될 수도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옥민호님의 답변

    >인산화된 단백질이라고 모두 active form이라고 할 수 있나요? 단백질 마다 틀립니다. 그 단백질의 특성을 개개별로 살펴 보아야 합니다. 예를들면, eNOS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라는 단백질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Ser-1177 residue 가 phosphorylation 되어야 하며, 동시에 Thr (번호는 잘 기억이..ㅡㅡ;) residue 가 dephosphorylation 되어야 합니다. 즉 최적의 조건으로 구조적 변화가 이루어 져야 활성화 되었다고 말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드물게 Hydroxylation 외 되거나 de-hydroxylation 이 되어야 활성을 나타내는 HIF-1 (Hypoxia inducible factor-1) 등도 있습니다. 따라서 인산화=단백질 활성 이라는 단순한 적용은 곤란하며, 전적으로 단백질의 특성 및 구조에 의존하여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여야 합니다.
    >인산화된 단백질이라고 모두 active form이라고 할 수 있나요? 단백질 마다 틀립니다. 그 단백질의 특성을 개개별로 살펴 보아야 합니다. 예를들면, eNOS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라는 단백질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Ser-1177 residue 가 phosphorylation 되어야 하며, 동시에 Thr (번호는 잘 기억이..ㅡㅡ;) residue 가 dephosphorylation 되어야 합니다. 즉 최적의 조건으로 구조적 변화가 이루어 져야 활성화 되었다고 말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드물게 Hydroxylation 외 되거나 de-hydroxylation 이 되어야 활성을 나타내는 HIF-1 (Hypoxia inducible factor-1) 등도 있습니다. 따라서 인산화=단백질 활성 이라는 단순한 적용은 곤란하며, 전적으로 단백질의 특성 및 구조에 의존하여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여야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인산화된 단백질이라고 모두 active form이라고 할 수 있나요? 일반적인 개념으로는 윗 분들이 답변하신 대로 phosphorylation이 active한 것과 직접 dependent하지 않는다고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첨부하는 review는 protein의 phosphorylation과 dephosphorylation의 관계에 대해서 cellular level에서 요약 설명한 자료입니다. 전체적으로 개념 정리하는데 도움이 되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인산화된 단백질이라고 모두 active form이라고 할 수 있나요? 일반적인 개념으로는 윗 분들이 답변하신 대로 phosphorylation이 active한 것과 직접 dependent하지 않는다고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첨부하는 review는 protein의 phosphorylation과 dephosphorylation의 관계에 대해서 cellular level에서 요약 설명한 자료입니다. 전체적으로 개념 정리하는데 도움이 되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신동욱님의 답변

    >인산화된 단백질이라고 모두 active form이라고 할 수 있나요? 인산화된 단백질이라고 모두 active form이 되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보통 kinase들을 phosphorylation 되면, active form이 되는 경우가 있어서 그렇게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대표적인 예로서, 비만 연구에서 많이 이용되는 ACC (acetyl-CoA carboxylase)가 phosphorylation되면 inactive 상태가 된답니다.
    >인산화된 단백질이라고 모두 active form이라고 할 수 있나요? 인산화된 단백질이라고 모두 active form이 되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보통 kinase들을 phosphorylation 되면, active form이 되는 경우가 있어서 그렇게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대표적인 예로서, 비만 연구에서 많이 이용되는 ACC (acetyl-CoA carboxylase)가 phosphorylation되면 inactive 상태가 된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인산화된 단백질이라고 모두 active form이라고 할 수 있나요? 사이트 참조.. 또한 다음 자료를 참고하세요. Ubiquitinand Ubiquitin-like Protein Tags(http://165.132.32.25/~biology/board/lib/down.php?boardid=board_jkc&no=99)
    >인산화된 단백질이라고 모두 active form이라고 할 수 있나요? 사이트 참조.. 또한 다음 자료를 참고하세요. Ubiquitinand Ubiquitin-like Protein Tags(http://165.132.32.25/~biology/board/lib/down.php?boardid=board_jkc&no=99)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