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04
org.kosen.entty.User@f517219
양지영(terre34)
- 3
GC/MS 분석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논문에서 biochemical을 GC/MS로 분석할 때
internal standard로 sorbitol을 쓰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는 sorbitol의 어떤 점 때문인지,
그리고 GC/MS에서 사용되는 다른 internal standard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sorbitol
- GC/M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04- 2
>GC/MS 분석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 >논문에서 biochemical을 GC/MS로 분석할 때 >internal standard로 sorbitol을 쓰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는 sorbitol의 어떤 점 때문인지, >그리고 GC/MS에서 사용되는 다른 internal standard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Mass spectrometry로 생체 물질을 분석할때, internal standard를 사용하는 것은 분석의 정확성과 정밀도, 나아가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을 보다 더 정확하게 정량하고자 하기 위함 입니다. 원칙적으로 IS를 사용할 때는, 사용하는 IS가 endogenous한 물질이 아닌것을 선택해야 되는것이 원칙입니다. 또한 분석 대상 물질과 이화학적 성질이 비슷해야 되구요. 또한 분석물질과 비슷한 retention time을 가져야 됩니다. 제 생각으로는 sorbitol을 사용하는 이유는 sugar alcohol(glucitol, mannitol, xylitol 등..)을 분석하려는 목적에서 사용한 거 같습니다. Sugar alcohol을 분석시에 사용하는 IS로는 mannitol이나, methyl a-glucose같은 물질도 사용하기도 합니다. 부가적으로, 질문자 분께서 어떤 논문을 보셨는지 확인이 필요할거 같군요. 왜냐하면, human 검체인지, 아니면 식물 유래 성분 분석인지에 따라서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있을 거 같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0-01-04- 0
어떤 경우를 말씀하시는지는 모르겠으나 탄수화물 계통을 분석할 때를 말씀하시는듯 합니다. 우선 internal standard에 대해선 이미 'What is?"에 다른 분들이 많이 질문을 올리셨기 때문에 검색만 하셔도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거라 생각해 생략합니다. 탄수화물(즉, 당) 분석에 있어서 솔비톨은 좋은 내부표준물질일 걸로 생각합니다. 값이 싸고, 비교적 고순도의 물질을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이죠. 게다가 구조적으로도 여타의 탄수화물과 유사성이 높아서 내부표준물질로서 갖추어야할 조건을 거의 완벽하게 갖춘 셈입니다. 구조적 유사성이 높다는 것은 물리화학적 성질도 유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예를 들어 용해도나 GC/MS 분석에서의 분자적 거동도 그러할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솔비톨이 내부표준물질로 자주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 솔비톨은 체내 대사속도가 비교적 느린 물질로 알려져 있으므로 biochemical 분석시 발생할 수 있는 화학적 변화도 적을 것 같네요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2-01- 0
>GC/MS 분석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 >논문에서 biochemical을 GC/MS로 분석할 때 >internal standard로 sorbitol을 쓰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는 sorbitol의 어떤 점 때문인지, >그리고 GC/MS에서 사용되는 다른 internal standard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첨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