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05
org.kosen.entty.User@45fc4132
민병걸(minbgj1108)
- 4
CD107a와 CD107b
이 둘에 대해서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둘의 차이점두요..ㅠㅠ
- CD107
- CD107a
- CD107b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06- 0
>CD107a와 CD107b >이 둘에 대해서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둘의 차이점두요..ㅠㅠ CD107a와 CD107b는 lysosomal-associated membrane proteins(LAMP)의 다른 이름으로서 각각 LAMP1과 LAMP2라고도 합니다. 이 단백질들은 membrane glycoproteins의 일종이며, carbohydrate를 ligand로 갖는 selectins의 형태로 보여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단백질이 tumor cell metastasis에도 역활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세포내 position에 관련해서는, lysosomes의 limiting membranes과 late endosomes이 lysosome associated membrane proteins (LAMPs) 또는 lysosomal integral membrane proteins (LIMPs)라 불리우는 integral membrane proteins의 특이한 형태를 이루고 있습니다. CD107a와 CD107b는 세포의 일반적으로 산재해서 발현되고 양도 상대적으로 풍부한 편입니다. Mice실험으로 이런 단백질들의 기능 연구가 잘 보고 되어 있는데, LAMP-1이 결여된 mice나 cell은 어떠한 표현형이 없지만, LAMP-2가 결여된 mice 같은 경우는 심장, 근육, 췌장 및 간을 포함한 일부 조직에서 autophagic compartments가 축적되는 현상이 보여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Human에서는 LAMP-2 gene의 mutation이 Danon disease를 유발하기도 하고, heart 와 skeletal muscle에서 autophagic compartments가 축적되어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ref. 1. Tanaka Y, Guhde G, Suter A, Eskelinen E-L, Hartmann D, L?llmann-Rauch R, Janssen PML, Blanz J, von Figura K, and Saftig P: Accumulation of autophagic vacuoles and cardiomyopathy in LAMP-2 deficient mice. Nature 2000; 406: 902-906. 2. Eskelinen E-L, Tanaka Y, and Saftig P: At the acidic edge: Emerging functions for lysosomal membrane proteins. Trends Cell Biol. 2003 13: 137-145.) -
답변
이상영님의 답변
2010-01-06- 0
>CD107a와 CD107b >이 둘에 대해서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둘의 차이점두요..ㅠㅠ 혈소판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는 다음과같은 것이 있습니다. 혈소판이 활성화되면 -과립이 OCS에 융합(fusion)하면서 과립내 물질인 - thromboglobulin, thrombospondin이 분비되는데 이를 측정하면 혈소판 활성이 진행된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혈소판 dense 과립내 serotonin과 -과립내 platelet factor 3, vWF,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등을 측정할 수 있다. 혈소판이 활성화되면 혈소판내 -과립 막단백인 P-selectin(CD62)과 리소좀 관련 막단백들(LAMP-1(CD107a), LAMP-2(CD107b), LAMP-3(CD63))이 혈소판 표면 위에 나타나는데 이를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할수 있습니다. 실험관내에서 혈소판을 활성유도물질(agonist)로 자극하면 이미 활성화가 진행된 혈소판은 정상 혈소판에 비해 활성화 반응이 적게 일어나는데 이를 이용하여 residual 혈소판 활성도를 추정할 수 있다. 혈소판이 활성화될 때 세포막에서 떨어져서 혈소판 microparticle을 분비하는데 이를 유세포분석기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출처-혈소판생리 -
답변
신동욱님의 답변
2010-01-06- 0
>CD107a와 CD107b >이 둘에 대해서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둘의 차이점두요..ㅠㅠ 이 두 CD (Cluster of Differentiation)은 glycoprotein 으로서, LAMP 계열의 isoform을 일컫는 또 다른 표현입니다. LAMP는 Lysome associated membrane protein의 약자로서, 세포내 리소좀이라는 endocytosis 및 단백질 sorting에 관여하는 세포소기관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LAMP1의 경우, 보통 리소좀을 detection하기 위한 대표적인 biomarker로서 사용을 합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2-03- 0
>CD107a와 CD107b >이 둘에 대해서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둘의 차이점두요..ㅠㅠ 첨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