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06
org.kosen.entty.User@668ba8d8
이경우(mounta)
- 3
환경 (예를 들면, 소화기)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의 다양성 연구에 사용하는 여러 방법들 (예를들면, 배양, 16S rDNA PCR-cloning, DGGE/TGGE, T-RELP, FISH 등)의 특징, 장단점을 정리한 연구논문이나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이쪽 분야에는 처음이라 쉽게 이해가 되지 않네요.
- diversity
- microbiota
- molecular method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06- 3
>환경 (예를 들면, 소화기)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의 다양성 연구에 사용하는 여러 방법들 (예를들면, 배양, 16S rDNA PCR-cloning, DGGE/TGGE, T-RELP, FISH 등)의 특징, 장단점을 정리한 연구논문이나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이쪽 분야에는 처음이라 쉽게 이해가 되지 않네요. 몇가지 자료를 첨부하니 참고해 보세요. -
답변
박수제님의 답변
2010-01-06- 3
>환경 (예를 들면, 소화기)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의 다양성 연구에 사용하는 여러 방법들 (예를들면, 배양, 16S rDNA PCR-cloning, DGGE/TGGE, T-RELP, FISH 등)의 특징, 장단점을 정리한 연구논문이나 자료를 찾고 있습니다. >이쪽 분야에는 처음이라 쉽게 이해가 되지 않네요.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의 다양성을 확인하는 방법들은... 말씀하시는 것 외에도 상당량의 분석법이 있습니다. 위에서 거론하신 것은 tool이며 이것의 특징이나 장단점을 정리한 review paper가 예전에는 많이 나왔으나, 최근에는 새로운 tool의 개발(metagenomics, microarray, pyrosequecing)등도 있어서.. 이런 모든 부분을 단기간에 살펴보시는 것은 좀 어려움이 있을 것 같습니다. 제가 추천해드리고 싶은 방법은 microbial diversity, microbial ecology, microbial community 등으로 googling을 하시거나 pubmed에서 살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06- 2
장내 미생물에 관하여 발표된 자료를 첨부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