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07
org.kosen.entty.User@43e61530
조동제(starks)
- 2
잉크 첨가제인 무기 체질안료의 예로써,
TiO2, CaCO3, SiO2, SiO2MgO(활석,탈크), BaSO4 등의 에너지 밴드갭 수치
좀 알수 없을까요?
TiO2의 경우는 아래에서 어느분이 감사하게도 3.2eV라고 알려주셨구요, 감사합니다.
알고싶어하는 이유는 형광잉크의 첨가제로 사용시
상대적인 수치의 감소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입니다.
감사합니다.
- 무기물
- 에너지밴드갭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07- 0
첨부파일
TiO2 및 SiO2는 단일 반도체 산화물이므로 에너지 밴드갭이 나오나(SiO2 : 약8.9eV) 그외 CaCO3 및 BaSO4등은 에너지 밴드관점에서 복합물이므로 bandgap이 나오지를 않습니다. 이는 구조에 기인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CaCO3는 Ca+C+O로써 Ca와 C라는 원소가 2개가 있기 때문에 어느곳의 전자가 어디로 천이되어야 되는지에 대하여 경로 설정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따라서 이러한 물질은 반도체 물질이라고 하지않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08- 0
>잉크 첨가제인 무기 체질안료의 예로써, >TiO2, CaCO3, SiO2, SiO2MgO(활석,탈크), BaSO4 등의 에너지 밴드갭 수치 >좀 알수 없을까요? >TiO2의 경우는 아래에서 어느분이 감사하게도 3.2eV라고 알려주셨구요, 감사합니다. > >알고싶어하는 이유는 형광잉크의 첨가제로 사용시 >상대적인 수치의 감소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입니다. >감사합니다. CaCO3의 경우도 reflection electron energy-loss spectroscopy (REEL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electron-stimulated desorption (ESD)을 이용하면 band gap energy를 구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실험적으로 계산된 값은 6+0.35 & 6-0.35 eV입니다. 실험적으로 값을 보여준 논문은, D.R. Baer, D.L. Blanchard, Appl. Surf. Sci. 72 (1993) 295.을 참고하시고, 첨부해드리는 논문에도 명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