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07
org.kosen.entty.User@492c0b25
조동제(starks)
- 4
무기체질안료로 쓰이는,
칼슘카보네이트, 탈크(활석), 카올린클레이, 수산화알루미늄, 이산화티탄,
이산화규소, 침강성바륨설페이트 등의
은폐력 수치 또는 은폐력의 상대적크기 비교에 대한 정보가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체질안료
- 은폐력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07- 0
무기 체질안료에 대한 은폐력은 절대적인 비교가 되지 않기 때문에,굴절률(refractive index)로써 대신하고 있습니다.굴절률과 은폐력은 반비례하고 있습니다(굴절률이 크면 은폐력이 적음). 굴절률 CaCO3 : 1.58정도 Talc : 1.55정도 Kaolin clay : 1.56정도 Al(OH)3 : 1.50~1.56 TiO2(rutile) : 2.76 SiO2 : 1.54 BaSO4 : 1.64 그외 굴절률을 찾을려면 http://refractiveindex.info를 접속하시면 그외 물질도 나와있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08- 0
>무기체질안료로 쓰이는, >칼슘카보네이트, 탈크(활석), 카올린클레이, 수산화알루미늄, 이산화티탄, >이산화규소, 침강성바륨설페이트 등의 >은폐력 수치 또는 은폐력의 상대적크기 비교에 대한 정보가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은폐율은 측정이 가능합니다. "율"이기 때문에 "%"로 수치가 나오겠지요. 참고로 CaCO3의 경우 은폐율이 wet일 실험방법에 따라서 약간씩 차이가 나지만 93.9 ~ 95.3% 입니다. Dry상태일 경우, 93.6 ~ 96.9% 입니다. 참고로 URL 확인해 보세요.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09- 0
도료에서 흔히 은폐력을 말하는데, 이는 은폐력 측정지라고 하여서 백색 종이위에 반원형의 흑색이 그려진 종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제조된 도료의 용액을 종이위에 떨어뜨린 후 applicator로써 coating 두께를 조정하여 application하고 난 후 흑색을 어느정도 은폐시켰는지 test하는 것으로 이는 절대적인 수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상대적인 수치에 해당합니다. 즉,도막의 두께, application하는 사람의 숙련도,온도,습도등의 여러 요인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수치입니다.예를 들어 흑색을 분광계로 측정하여 완전히 은폐하였을 때를 100으로 하여 대조군을 비교하는 방법으로써 각각의 체질안료에 해당하는 체질안료 자체의 은폐력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각각의 물질(체질안료)에 대한 은폐력은 나타낼 수 있는 수치가 아니므로 이러한 은폐력은 굴절률로써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방법이외는 없습니다. 더욱이 ink같으면 dry film thickness가 1micron이하이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으로써 은폐력을 측정하기는 대단히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체질안료 자체의 은폐력이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으며, 상대적인 비교로써 굴절률로써 비교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종이위에 ink를 coating하는데 은폐력을 높이기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써 먼저 1st coating으로써 fumed silica가 포함된 투명coating을 한번하고 난 뒤 2nd, 3rd coating을 하게 되면 은폐력이 어느정도 높아질 수 있는 방법입니다. -
답변
김범수님의 답변
2010-01-13- 0
>무기체질안료로 쓰이는, >칼슘카보네이트, 탈크(활석), 카올린클레이, 수산화알루미늄, 이산화티탄, >이산화규소, 침강성바륨설페이트 등의 >은폐력 수치 또는 은폐력의 상대적크기 비교에 대한 정보가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도료에 있어서의 안료의 역할은 ○ 도막에 색채와 은폐력(불투명성)을 부여하고 ○ 내구력,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며 ○ 도료에 유동성을 주어 도장하는데 적당한 점도를 갖게하는 것이다. 때에 따라서는 도막 에 무광효과를 부여하는 성분으로도 사용된다. 도료용 안료는 다음과 같은 성능이 요구된다. ○ 은폐력, 착색력이 좋을 것. ○ 분산성이 좋을 것. ○ 독성이 없을 것. ○ 내광성, 내후성, 내수성, 내용제성이 좋을 것 등이다. 또 도료의 사용목적에 따라서는 ○ 내약품성, 내열성 등의 특성이 요구되기도 한다. 안료는 그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몇가지로 나누어진다. ○ 착색안료: 은폐력, 착색력을 가진 안료, 색상을 부여하며 유기안료와 무기안료가 있다. ○ 체질안료: 은폐력, 착색력은 없으나 도막에 살오름성, 기계적 성질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 적으로 하는 안료. ○ 방청안료: 도막의 방청성을 목적으로 하는 안료. ○ 특수안전: 발광안료나 금속분안료와 같이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안료. 백색안료 1.백색티탄 이산화티탄(Tio2)의 결정으로 상품으로서의 이산화티탄은 대부분 내쵸킹성, 분산성, 은폐력, 흡유량 등을 개선하기 위해 Al2O3, Sio2, ZnO 등의 수화물과 Ti, Al, Zr, Zn 등의 인산염으로 처리한 것이다. 결정형태에 따라 아나타제( Anatase)형과 루틸(Rutie)형의 2종류가 있다. 아나타제형은 백색도는 높으나 은폐력, 내쵸킹성이 나쁘고 루틸 형은 약간의 황미는 있으나 은폐력, 착색력이 좋고 내후성도 좋다. 아나타제형과 루틸형 백색티탄의 물성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백색티탄의 종류에 따른 물성비교 종류 아나타제형 루 틸 형 구분 결 정 성 정방정형(예추석형) 정방정형(금홍석형) 비 중 3.9 4.2 경 도 (모오스) 5.5∼6 6∼7 굴 절 율 2.52 2.71 자 색 석 우수 약간 뒤진다. 입 도 0.15∼0.25μ 0.25∼0.4μ 내 약 품 성 대 대 이산화티탄(%) 96이상 90이상 2.아연화(ZnO) 산화아연의 미세한 분말로 백색안료 중 가장 자외선을 잘 흡수하나, 은폐력은 백색티탄의 1/3-1/4정도이다. 착색력은 연백의 약 2배이다. 보일유, 유성바니쉬, 유용성페놀수지 바니쉬, 알키드수지 바니쉬 등의 유지계의 전색제와 조합하면 건조가 좋고 점착성이 없는 도막을 얻을 수 있는 반면 겔화가 촉진되거나 실내에서 폭로시킨 도막에 균열이 생기기 쉬운 결점이 있다. 또 침상결정의 아연화를 사용한 도료가 무정형의 아연화를 사용한 도료가 무정형의 아연화를 사용한 도료보다 쵸킹성이 좋고 균열도 잘 생기지 않는다. 3.리토폰(Lithopone) 황연아연(ZnS)과 황산바륨(BaSO4)의 혼합물로 황연아연의 함유량은 약 15-50%(표준품은 30%)로 제조되고 있다. 중성으로 산가가 높은 유 바니쉬와도 반응하지 않으므로 안전하다. 아연화와 같은 건조 촉진작용은 없다. 황화물이므로 황연, 연백 등을 함유하고 있는 도료와의 혼합은 피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하도용 또는 내부용 도료에 주로 사용된다. 방청안료 철재등의 금속도장에 있어서는 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하도도료가 사용되는데 이때에는 전색제보다 안료의 성질에 의해 방청이 좌우된다. 이 경우에 방청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안료가 바로 방청안료이다. 방청안료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광명단( 연단.Pb3O4) 사산화연( Pb3O4)을 주성분으로 하는 적색안료로 약간의 리사지(PbO)가 함유되어 있어 화학적으로는 활성이며, 방청력이 매우 우수하다. 비중이 8.8-8.9로 매우 무겁고, 입자 의 크기는 0.5-24이다. 공기중에 방치하면 부분적으로 희게되는데 이것은 공기중의 수분 및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연백으로 되기 때문이다. 단독 또는 징크크로메이트와 병용해서 사용한다. 광명단 중의 PbO의 함량이 많아지면 염의 생성이 현저해지고 튼튼한 도막을 만들어 내습, 내수성이 좋아지나 저장성이 나빠 진다. 금속연을 가열하여 일산화연을 만들고 다시 산화시켜 만든다. 또는 연백을 반사로에서 연소시켜 만드는데 이것을 오렌지연이라고 한다. 염기성 크롬산 연 일산화연(PbO)을 핵으로 하여 그 주위를 염기성크롬산연으로 둘러싼 구조를 갖는 연한 귤색의 방청안료이다. 알카리성을 나타내며 건성유와 반응하여 금속비누를 만들어 녹을 방지한다. 도료는 저 장성이 좋아 장기저장이 가능하다. 징크 크로메이트(아연 황) 염기성 크롬산 아연( K2O ·4ZnO·4CrO3·3H2O)을 주성분으로 하는 황색의 방청 안료이다. 수용분 6-8%를 갖고 있으며 물에 용출되어 금속면에 크롬산이온을 공급하 여방청피막이 된다. 단독 또는 철적과 같이 쓰며, 주로 합성수지바니쉬와 혼합하여 속건성 프라이머로 사용한다. 특히 경금속의 하도에 적합하다. 3H2O)을 주성분으로 하는 황색의 방청 안료이다. 수용분 6-8%를 갖고 있으며 물에 용출되어 금속면에 크롬산이온을 공급하 여방청피막이 된다. 단독 또는 철적과 같이 쓰며, 주로 합성수지바니쉬와 혼합하여 속건성 프라이머로 사용한다. 특히 경금속의 하도에 적합하다. 아연말(Zinc dust) 금속아연(Zn)의 미세한 분말로 무독하며 비중 7.6, 입자의 크기는 5-10μ이다. 은폐력은 크나 착색력은 작다. 아연말은 전색제 중의 지방산과 반응하여 금속비누가 되어 강인한 도막을 만들며 유해 가스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 자외선을 잘 흡수하여 도막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에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커서 전해작용의 주성분이 철의 표면을 보호하여 철재의 방청에 특히 효과가 있다. 아연말의 함유량에 따라 징크더스트페인트(아연말 배합율 20-60%), 징크릿치페인트 (60%↑)로 나누어진다. 기타 그외 아산화연( Pb2O ),시아나이트연( PbCN2),인산칼슘 등도 방청안료로서 사용된다 녹색안료 1.크롬그린(Chrome green) 황연과 감청을 섞어놓은 짙은 녹색의 안료로 은폐력, 착색력이 크고 내광성도 좋으나, 황 연의 내산성이 나쁜것과 감청의 내알카리성이 나쁜 것이 그대로 크롬 그린의 결점이다. 크롬그린을 배합한 도료를 공기중에 방치하면 황연이 공기중의 SO₂물과 반응하여 백색의 황산연이 되고 그 때문에 청색으로 변하는 경우가 있다. 2.프탈로시아닌 그린(Phthalocyanine green) 보통 시아닌그린이라고 하며, 착색력이 크고 내광성, 내열성, 내수성, 내용매성이 우수한 선명한 녹색의 프탈로시아닌계의 유기안료이다. 동 프탈로시아닌의 벤젠핵에 염소를 다량 치환시킨 것으로 염소의 일부 혹은 전부를 옥소로 치환시킨 것도 있다. 락카, 유성도료, 에멀젼도료 및 소부도료의 안료로 사용된다. 황색안료 황연(Chrome yellow) 크롬산 연( PbCrO4)이 주성분으로 녹색에 가까운 황색(황연 10G)에서 적미가 있는 황 색(황연 5R)까지 있다. 비교적 가격이 싸고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황색안료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색 상에 따라 성질이 조금씩 다르나 착색력, 은폐력이 좋은 안료이다. 내약품성은 약하며, 특히 황화합물에 의해 흑변하기 쉽다. <황연의 종류별 색상 및 특성> 황연 화학식(대략) 색 상 결정형 내알카리성 내열성 내광성 10G PbCrO4·PbSO4 녹미의 황색 사방 변색 100-130℃ 10G,5G에 비해 크다. 5G 2PbCrO4·PbSO4 황색 사방 변색 110-150℃ G PbCrO4 오렌지미의 황색 단방 150-180℃ R PbCrO4·Pb(OH)2 황미의 오렌지색 정방 비교적강 150-180℃ 5R PbCrO4·2Pb(OH)2 오렌지색 정방 비교적강 150-180℃ 철황(FeO·OH) 산화철적 제조(습식법)시 중간공정에서 나오는 황갈색의 안료로 내광성, 내약품성이 우수하나 착색력은 약하다. 약 250℃에서 탈수시키면 철적으로 변화한다. 주로 합성수지에멀젼도료에 사용된다. 각종 유기안료 First yellow(또는 Hansa yellow)는 내광성이 우수하고 내수성, 내알카리성, 내산성이 좋 으나 내용제성은 매우 나쁘다. Chrome yellow(황연)는 내광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수성이 우수하고 착색력도 좋다. Benzidine yellow는 First yellow에 비해 내용제성, 착색력은 좋으나 내광성이 나쁜 결점이 있다. 황색안료 황연(Chrome yellow) 크롬산 연( PbCrO4)이 주성분으로 녹색에 가까운 황색(황연 10G)에서 적미가 있는 황 색(황연 5R)까지 있다. 비교적 가격이 싸고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황색안료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색 상에 따라 성질이 조금씩 다르나 착색력, 은폐력이 좋은 안료이다. 내약품성은 약하며, 특히 황화합물에 의해 흑변하기 쉽다. <황연의 종류별 색상 및 특성> 황연 화학식(대략) 색 상 결정형 내알카리성 내열성 내광성 10G PbCrO4·PbSO4 녹미의 황색 사방 변색 100-130℃ 10G,5G에 비해 크다. 5G 2PbCrO4·PbSO4 황색 사방 변색 110-150℃ G PbCrO4 오렌지미의 황색 단방 150-180℃ R PbCrO4·Pb(OH)2 황미의 오렌지색 정방 비교적강 150-180℃ 5R PbCrO4·2Pb(OH)2 오렌지색 정방 비교적강 150-180℃ 철황(FeO·OH) 산화철적 제조(습식법)시 중간공정에서 나오는 황갈색의 안료로 내광성, 내약품성이 우수하나 착색력은 약하다. 약 250℃에서 탈수시키면 철적으로 변화한다. 주로 합성수지에멀젼도료에 사용된다. 각종 유기안료 First yellow(또는 Hansa yellow)는 내광성이 우수하고 내수성, 내알카리성, 내산성이 좋 으나 내용제성은 매우 나쁘다. Chrome yellow(황연)는 내광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수성이 우수하고 착색력도 좋다. Benzidine yellow는 First yellow에 비해 내용제성, 착색력은 좋으나 내광성이 나쁜 결점이 있다. 금속분안료 알루미늄안료 은분이라고도 하며 금속알루미늄의 엷은 판을 비늘조각처럼 분쇄한 것이다. 건식법으로 만들어진 분말형의 은분과 습식법으로 만들어진 알루미늄페이스트가 있는데 페이스트형 은 혼합하기가 쉬워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1)리-핑(Leafing)형 바니쉬와 섞어서 도장하면 알루미늄분이 표면에 떠올라서 알루미늄의 독특한 속광 을 낸다.이것은 은분의 비늘조각 표면의 스테아린산 피막 때문이며,이 현상 때문에 공기중의 유해가스, 일광, 습기 등이 도막에 침투하는 것을방지한다. 기름탱크, 난방 용의 라지에이타 등의 표면도장에 많이 사용된다. 2)논-리핑(Non-leafing)형 이것은 바니쉬에 섞어서 도장하면 알루미늄분이 가라앉아서 은은한 알루미늄광을 낸다. 현재 전자제품의 케이스로 사용되는 프라스틱 사출품의 고급도장에 많이 쓰이며 함마톤에나멜 등에도 사용된다. 입자가 큰 것을 사용하면 메타릭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동분 금분이라고도 하며 동과 아연의 합금을 분말로 만든 것이다. 합금의 성분에 따라 색상이 달라진다. 리핑성은 알루미늄안료보다 적은편이며 바니쉬의 산가에 따라 변색하는 수가 있다. 금분의 합금성분에 따른 색상 색상 구리(Cu)% 아연(Zn)% 철(Fe)% 동 황 색 98.93 0.73 0.2 황 색 90 9.6 0.07 암 황 색 84.5 15.30 0.16 담 황 색 82.32 16.69 0 청 황 색 70 30 - 청색안료 1.군청(Ultra marine blue) 조성이 복잡하고 아직 확인되어 있지 않다. 색상은 제조여건에 따라 달라지며 규산분이 많고 알루미나분이 적으면 적미가 난다. 무기안료로 내광성, 내열성, 내알카리성 및 내황화수소성이 우수하나 산에는 약하다. 유성도료, 수성도료, 내알카리성을 필요로 하는 도료에 착색제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군청 을 많이 함유한 도료는 광택이 잘 나지 않는다. 2.감청(Miloriblue) Fe4[Fe(CN)6]3·NH2O의 구조를 갖고 있으며 색상은 순청색에서 적미가 있는 것, 브론즈광택이 있는 것 등 여러종류가 있다. 브론즈현상은 감청의 농도가 높을 때 생기고 담 색은 생기지 않는다. 착색력이 크고 내광성이 짙은 청색의 것은 좋으나 엷은 청색의 것은 나쁘다. 산에 강하고 알카리, 열에는 약해 150℃이하에서도 분해되어 적갈색으로 변한다. 락카, 유성도료의 착색안료로 사용되며, 고온소부도료, 알카리성도료 및 내알카리성을 필 요로 하는 도료에는 사용하지 못한다. 유성도료에서는 건조가 늦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황 색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색상이 분리되기 쉽다. 3.프탈로시아닌 블루(Phthalocyanine blue) 프탈로시아닌 계의 유기안료는 색상은 선명한 청색이다. 착색력이 커서 감청의 수배, 군청의 20배 이상이다. 내광성, 내열성, 내산성, 내알카리성, 내수성이 우수하며 많은 용매에 녹지 않으나 결정성(용제불안전성)인 것은 벤젠계, 아세톤계의 용매에 녹아 결정이 생겨 변색하거나 착색력이 저하된다. 이것을 개량한 것이 비결정성 안정형이다. 적색안료 1)철적( Fe2O3) 암적색에서 황미가 나는 밝은 적색까지 여러 색상이 있는데, 이것은 제조시의 소성조 건에 의해 결정된다. 인도의 벵가라지방에서 산출되는 산화제2철을 안료로 사용하는 이유로 벵가라라고도 일컬어진다. 매우 안정한 안료로 착색력, 은폐력이 크나, 비중이 커서 침전되기 쉽다.값이 싸고 내후성이 우수하여 각종도료에 많이 사용된다. 2)몰리브덴 레드(Molybdenium Red) 크롬산 연( PbCrO4), 몰리브덴산 연( PbMoO4)과 소량의 황산연( PbSO4)를 함유 하고 있는 적색안료이다. 착색력, 은폐력이 크고 내광성도 좋으나 햇빛에 의해 흑변하는 경향이 있다.내알카리성이 약해 이것을 필요로하는 도료에는 부적당하다. 3)각종 유기안료 일반적으로 적색안료를 포함한 유기안료는 무기안료에 비해 내구성 등에서 떨어지나 최근에는 많이 개량되고 있다. 특히 선명도는 무기안료에 비해 월등히 좋다. 종류도 많으나 적색의 경우 Toluidine Red, Watchung Red등이 내후성이 좋다. 흑색안료 1)카본블랙(Carbon black) 탄소의 초미립자로, 색, 은폐력, 착색력, 내구력이 뛰어나므로 일반적인 흑색안료로 사용된다. 표면적이 커서 가스, 수분 등을 잘 흡착하며 입자경이 작을수록 흡유량은 커지고 분산성은 나빠진다. 도료용으로는 입자경이 10∼30μ정도의 것이 좋다. 2)철흑(Fe3O4) 산화철흑이라고도 하며 내열성, 내광성이 좋으므로 내열도료 등에 많이 사용된다. 비중이 크고 착색력, 은폐력은 카본블랙보다 못하다. 산에는 약하고 알카리에는 강하다. 특수안료 아산화동(Cu2O) 비중 5.37의 적색안료로 은폐력이 크지만, 내광성이 약하고 흑변하는 경향이 있다. 독성이 있어 선저도료의 원료로 사용되며, 배 밑바닥에 굴, 조개, 해초 등의 생물이 부착하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산화수은과 병용하며 방오효과의 지속성이 좋다. 황색산화수은 아산화동과 혼합하여 선저도료에 사용된다. 독성은 강하나 단독으로서는 방오력에 선택성이 있다. 산화안티몬( Sb2O3) 백색안료로 염화파라핀과 병용하여 주로 방화도료용 안료로 사용된다. 기타특수안료 ① 형광안료 눈에 잘 띄는 선명한 형광색을 내지만 내광성이 좋지 않다. ② 발광안료 약한 방사선을 내는 성분이 있어서 밤에 빛을 받지 않아도 선명하게 보인다. ③ 축광안료 밤에 광선을 비추었다가 불을 끄면 몇시간동안 발광하는 안료이다. ④ 시온안료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안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