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SOFC 전극 임피던스

첨부파일


SOFC 관련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전해질에 전극을 입혀 계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도중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첨부파일로 전극 임피던스 측정결과의 개략을 첨부하였습니다. 측정은 3 electrode 법으로 전해질에 reference 전극을 도입하여 연료극과 전해질 사이의 계면 임피던스 결과를 나타낸 개략입니다. nyquist plot 의 두 반원이 중첩하는 부분(고주파의 반원과 저주파의 반원)에서 일반적으로 보아왔던 모양과 사뭇 다른 타원형의 plot 이 생기는데, 어떤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관련논문을 여러편 찾아봤음에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찾을수가 없어 전문가분들의 고견을 여쭙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 SOFC
  • 임피던스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측정시에 주파수를 변경하였는데 이에 따라 plot의 크기가 달라진 것으로 나옵니다. 정확한 data가 없는 관계로 이에대한 해석은 어려우나(주파수,전류 등) 그라프상으로 보기는 첨부 자료와 같은 형태로 추측됩니다. 동일한 주파수에 의하여 측정이 완전히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우나 극점이 없는 plot로써 즉,적분기가 없는 plot로써 안정된 상태로 나온 것입니다. 그라프를 90도 회전을 하여 보시기 바랍니다.작은 고리는 해석상에 주파수가 switching 됨에 따른 고리로 나온 것입니다. 이와 유사한 plot를 첨부합니다.이는 동일 주파수로 test를 완결한 상태의 plot입니다. SOFC같으면 주파수를 낮은 쪽으로 선택함이 좋겠습니다.
    측정시에 주파수를 변경하였는데 이에 따라 plot의 크기가 달라진 것으로 나옵니다. 정확한 data가 없는 관계로 이에대한 해석은 어려우나(주파수,전류 등) 그라프상으로 보기는 첨부 자료와 같은 형태로 추측됩니다. 동일한 주파수에 의하여 측정이 완전히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우나 극점이 없는 plot로써 즉,적분기가 없는 plot로써 안정된 상태로 나온 것입니다. 그라프를 90도 회전을 하여 보시기 바랍니다.작은 고리는 해석상에 주파수가 switching 됨에 따른 고리로 나온 것입니다. 이와 유사한 plot를 첨부합니다.이는 동일 주파수로 test를 완결한 상태의 plot입니다. SOFC같으면 주파수를 낮은 쪽으로 선택함이 좋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최성호님의 답변

    통상 SOFC를 RC회로로 보기 때문에 첨부와 같은 결과는 저도 수없이 측정했지만 처음 보네요. 첨부 파일을 확인하시고 reference electrode의 배치와 구성, 선연결을 재 확인해 보시고, amplitude와 주파수의 범위를 재 설정 해보세요. 특히 주파수 스캔시 값을 읽어 드리는 속도를 조절함으로 써 라인을 좀더 깨끗하게 얻을 수 있을 것 같은데 이런 점도 고려해 보시구요. 도움이 될 지 모르겠습니다. >SOFC 관련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전해질에 전극을 입혀 계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도중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첨부파일로 전극 임피던스 측정결과의 개략을 첨부하였습니다. >측정은 3 electrode 법으로 전해질에 reference 전극을 도입하여 연료극과 전해질 사이의 계면 임피던스 결과를 나타낸 개략입니다. > >nyquist plot 의 두 반원이 중첩하는 부분(고주파의 반원과 저주파의 반원)에서 일반적으로 보아왔던 모양과 사뭇 다른 타원형의 plot 이 생기는데, 어떤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관련논문을 여러편 찾아봤음에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찾을수가 없어 전문가분들의 고견을 여쭙고자 합니다. > >감사합니다. > > > > > > > >
    통상 SOFC를 RC회로로 보기 때문에 첨부와 같은 결과는 저도 수없이 측정했지만 처음 보네요. 첨부 파일을 확인하시고 reference electrode의 배치와 구성, 선연결을 재 확인해 보시고, amplitude와 주파수의 범위를 재 설정 해보세요. 특히 주파수 스캔시 값을 읽어 드리는 속도를 조절함으로 써 라인을 좀더 깨끗하게 얻을 수 있을 것 같은데 이런 점도 고려해 보시구요. 도움이 될 지 모르겠습니다. >SOFC 관련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전해질에 전극을 입혀 계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도중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첨부파일로 전극 임피던스 측정결과의 개략을 첨부하였습니다. >측정은 3 electrode 법으로 전해질에 reference 전극을 도입하여 연료극과 전해질 사이의 계면 임피던스 결과를 나타낸 개략입니다. > >nyquist plot 의 두 반원이 중첩하는 부분(고주파의 반원과 저주파의 반원)에서 일반적으로 보아왔던 모양과 사뭇 다른 타원형의 plot 이 생기는데, 어떤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관련논문을 여러편 찾아봤음에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찾을수가 없어 전문가분들의 고견을 여쭙고자 합니다. > >감사합니다. > > > > > > > >

    답변 감사드립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SOFC 관련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전해질에 전극을 입혀 계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도중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첨부파일로 전극 임피던스 측정결과의 개략을 첨부하였습니다. >측정은 3 electrode 법으로 전해질에 reference 전극을 도입하여 연료극과 전해질 사이의 계면 임피던스 결과를 나타낸 개략입니다. > >nyquist plot 의 두 반원이 중첩하는 부분(고주파의 반원과 저주파의 반원)에서 일반적으로 보아왔던 모양과 사뭇 다른 타원형의 plot 이 생기는데, 어떤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관련논문을 여러편 찾아봤음에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찾을수가 없어 전문가분들의 고견을 여쭙고자 합니다. > >감사합니다. 사이트 보고서 참고하세요. 내용은: 1.저온형 연료전지 구성 부품의 기능 2.저온형 연료전지 특성 및 지배인자( Nyquist plot 분석) 3.저온형 연료전지 응용 및 시장 > > > > > > > >
    >SOFC 관련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전해질에 전극을 입혀 계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도중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첨부파일로 전극 임피던스 측정결과의 개략을 첨부하였습니다. >측정은 3 electrode 법으로 전해질에 reference 전극을 도입하여 연료극과 전해질 사이의 계면 임피던스 결과를 나타낸 개략입니다. > >nyquist plot 의 두 반원이 중첩하는 부분(고주파의 반원과 저주파의 반원)에서 일반적으로 보아왔던 모양과 사뭇 다른 타원형의 plot 이 생기는데, 어떤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관련논문을 여러편 찾아봤음에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찾을수가 없어 전문가분들의 고견을 여쭙고자 합니다. > >감사합니다. 사이트 보고서 참고하세요. 내용은: 1.저온형 연료전지 구성 부품의 기능 2.저온형 연료전지 특성 및 지배인자( Nyquist plot 분석) 3.저온형 연료전지 응용 및 시장 > > > > > > > >

    답변 감사드립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SOFC 관련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전해질에 전극을 입혀 계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도중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첨부파일로 전극 임피던스 측정결과의 개략을 첨부하였습니다. >측정은 3 electrode 법으로 전해질에 reference 전극을 도입하여 연료극과 전해질 사이의 계면 임피던스 결과를 나타낸 개략입니다. > >nyquist plot 의 두 반원이 중첩하는 부분(고주파의 반원과 저주파의 반원)에서 일반적으로 보아왔던 모양과 사뭇 다른 타원형의 plot 이 생기는데, 어떤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관련논문을 여러편 찾아봤음에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찾을수가 없어 전문가분들의 고견을 여쭙고자 합니다. > >감사합니다. > > > 관련 자료 첨부합니다.
    >SOFC 관련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전해질에 전극을 입혀 계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도중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첨부파일로 전극 임피던스 측정결과의 개략을 첨부하였습니다. >측정은 3 electrode 법으로 전해질에 reference 전극을 도입하여 연료극과 전해질 사이의 계면 임피던스 결과를 나타낸 개략입니다. > >nyquist plot 의 두 반원이 중첩하는 부분(고주파의 반원과 저주파의 반원)에서 일반적으로 보아왔던 모양과 사뭇 다른 타원형의 plot 이 생기는데, 어떤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관련논문을 여러편 찾아봤음에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찾을수가 없어 전문가분들의 고견을 여쭙고자 합니다. > >감사합니다. > > > 관련 자료 첨부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두번째 관련 파일은 열리지 않는데, 혹시 다시 첨부해주실수 있으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