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항원-항체 반응의 원리

안녕하세요. 항원-항체 반응의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몇몇 자료를 찾아보니, 항체의 binding site에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한다라는 내용만 있네요. 어떻게 해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도와주세요^^ 자세한 설명이나 자료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항원
  • 항체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5
  • 답변

    김범수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 >항원-항체 반응의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 >몇몇 자료를 찾아보니, >항체의 binding site에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한다라는 내용만 있네요. > >어떻게 해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도와주세요^^ >자세한 설명이나 자료 부탁 드립니다. 초보자가 이해하기 쉽고 간단하게 설명이 잘되어 있는데 그림파일 복사가 안되네요. 직접 한번 보시기를... http://trhongsay.tistory.com/23 생물체는 외부로부터 병원체등의 이물질이 들어오면 , 그것에 대항하여 몸을 보호하는 방어작용을 나타낸다. 혈액 속에 병원체나 이종의 물질이 들어오면 이것에 대항하는 물질이 만들어지는데 , 이것을 항체라고 하며 , 항체를 만들게 하는 원인이 되는 물질을 항원이라 한다. 항체가 만들어지면 , 이 항체가 항원과 결합하여 항원이 침강하거나 용해되는 등의 반응이 일어나서 항원이 제거되거나 기능이 약화되는데, 이를 항원-항체 반응이라고 한다. 항체의 구조 항체는 4개의 폴리펩타이드로 되어 있는데, 2개의 길다란 H사슬과 2개의 짧은 L사슬이 이황화물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Y자 모양을 하고 있다. 각 사슬의 말단에 있는 변이부는 항원을 찾아 결합하는 부위로 항체마다 다르다. 변이부 아래에는 같은 부류에 속하는 항체끼리는 똑같은 불변부가 있다. 항체생성의 기구 항체형성의 과정에 대해서는 아직도 자세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항체 생산에 관계하는 림프구가 혈액 속에 있어서 이것이 특정 항원에 대항하는 항체를 생성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즉, 항원이 우리 몸에 들어오면 이 특수한 림프구 (B림프구) 는 항원을 식별하여 항원과 결합하고, 이어서 활발히 세포분열을 일으켜 그 수를 늘린다. 그 뒤 늘어난 림프구는 그 항원에 대한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 형질세포로 분화되어 다량의 항체를 생성한다. 항원-항체 반응의 특이성 항체는 특정한 항원하고만 결합하는 특이성이 있는데, 이것을 항원-항체 반응의 특이성이라고 한다.
    >안녕하세요. > >항원-항체 반응의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 >몇몇 자료를 찾아보니, >항체의 binding site에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한다라는 내용만 있네요. > >어떻게 해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도와주세요^^ >자세한 설명이나 자료 부탁 드립니다. 초보자가 이해하기 쉽고 간단하게 설명이 잘되어 있는데 그림파일 복사가 안되네요. 직접 한번 보시기를... http://trhongsay.tistory.com/23 생물체는 외부로부터 병원체등의 이물질이 들어오면 , 그것에 대항하여 몸을 보호하는 방어작용을 나타낸다. 혈액 속에 병원체나 이종의 물질이 들어오면 이것에 대항하는 물질이 만들어지는데 , 이것을 항체라고 하며 , 항체를 만들게 하는 원인이 되는 물질을 항원이라 한다. 항체가 만들어지면 , 이 항체가 항원과 결합하여 항원이 침강하거나 용해되는 등의 반응이 일어나서 항원이 제거되거나 기능이 약화되는데, 이를 항원-항체 반응이라고 한다. 항체의 구조 항체는 4개의 폴리펩타이드로 되어 있는데, 2개의 길다란 H사슬과 2개의 짧은 L사슬이 이황화물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Y자 모양을 하고 있다. 각 사슬의 말단에 있는 변이부는 항원을 찾아 결합하는 부위로 항체마다 다르다. 변이부 아래에는 같은 부류에 속하는 항체끼리는 똑같은 불변부가 있다. 항체생성의 기구 항체형성의 과정에 대해서는 아직도 자세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항체 생산에 관계하는 림프구가 혈액 속에 있어서 이것이 특정 항원에 대항하는 항체를 생성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즉, 항원이 우리 몸에 들어오면 이 특수한 림프구 (B림프구) 는 항원을 식별하여 항원과 결합하고, 이어서 활발히 세포분열을 일으켜 그 수를 늘린다. 그 뒤 늘어난 림프구는 그 항원에 대한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 형질세포로 분화되어 다량의 항체를 생성한다. 항원-항체 반응의 특이성 항체는 특정한 항원하고만 결합하는 특이성이 있는데, 이것을 항원-항체 반응의 특이성이라고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 >항원-항체 반응의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 >몇몇 자료를 찾아보니, >항체의 binding site에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한다라는 내용만 있네요. > >어떻게 해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도와주세요^^ >자세한 설명이나 자료 부탁 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사람에게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이물질의 침입을 막는 대항물질을 만드는 힘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피부를 뚫고 병원균이 진입하려고 할 경우 백혈구가 등장하여 병원균을 죽입니다. 이때, 외부에서 체내로 진입하려는 병원균이 항원이구요, 이 항원에 대응하여 만들어지는 항균물질을 항체라고 합니다. 일단 한번 만들어진 항체는 그 후에도 체내에 남아 같은 항원이 침입하려 할 때마다 반응합니다. 이것이 항체의 memory 능력입니다. 이것을 항원항체 반응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한번 홍역에 걸리면 항체가 생겨 두 번 다시 홍역에 걸리지 않습니다. 예방접종으로 주입한 왁진도 항체를 만들게 됩니다. 이 저항력을 통틀어 [면역]이라고 부릅니다.그러나 이 면역 시스템이 때로는 너무 심하게 발동하여 몸에 좋지 않은 영향을 부르기도 하는데 이런 과도한 항원항체반응을 알레르기라고 합니다. 인간이 원래 가지고 있는 항체반응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뿐 아니라 인체에 없는 화분, 곰팡이, 동물성 단백질 등에 이상반응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아이들은 우유, 육류, 어패류 등에 곧잘 알레르기를 일으킵니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식품을 포함한 외부의 온갖 것들이 알레르기의 원인이 됩니다. 항원항체 반응의 종류는 무수히 많으며 생체 내, 시험관 내에서도 일어난다. 항원과 대응되는 항체와의 결합을 통해 일종의 반응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 반응을 항원항체 반응 혹은 혈청·면역 반응이라고도 부른다. 이러한 반응을 통해 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예를 들면 홍역에 걸린 사람은 몸 속에 홍역균이 항원으로 들어와 홍역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항체에 의해 홍역의 원인인 항원을 소멸시키면 이를 몸 속의 기억세포에서 기억해두어 다시 홍역에 걸리지 않게 된다. 즉, 감염자의 혈청 속에 홍역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생겨 재감염 때는 체내에서 항원항체반응이 일어나 발병을 저지하는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확인하세요
    >안녕하세요. > >항원-항체 반응의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 >몇몇 자료를 찾아보니, >항체의 binding site에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한다라는 내용만 있네요. > >어떻게 해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도와주세요^^ >자세한 설명이나 자료 부탁 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사람에게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이물질의 침입을 막는 대항물질을 만드는 힘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피부를 뚫고 병원균이 진입하려고 할 경우 백혈구가 등장하여 병원균을 죽입니다. 이때, 외부에서 체내로 진입하려는 병원균이 항원이구요, 이 항원에 대응하여 만들어지는 항균물질을 항체라고 합니다. 일단 한번 만들어진 항체는 그 후에도 체내에 남아 같은 항원이 침입하려 할 때마다 반응합니다. 이것이 항체의 memory 능력입니다. 이것을 항원항체 반응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한번 홍역에 걸리면 항체가 생겨 두 번 다시 홍역에 걸리지 않습니다. 예방접종으로 주입한 왁진도 항체를 만들게 됩니다. 이 저항력을 통틀어 [면역]이라고 부릅니다.그러나 이 면역 시스템이 때로는 너무 심하게 발동하여 몸에 좋지 않은 영향을 부르기도 하는데 이런 과도한 항원항체반응을 알레르기라고 합니다. 인간이 원래 가지고 있는 항체반응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뿐 아니라 인체에 없는 화분, 곰팡이, 동물성 단백질 등에 이상반응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아이들은 우유, 육류, 어패류 등에 곧잘 알레르기를 일으킵니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식품을 포함한 외부의 온갖 것들이 알레르기의 원인이 됩니다. 항원항체 반응의 종류는 무수히 많으며 생체 내, 시험관 내에서도 일어난다. 항원과 대응되는 항체와의 결합을 통해 일종의 반응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 반응을 항원항체 반응 혹은 혈청·면역 반응이라고도 부른다. 이러한 반응을 통해 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예를 들면 홍역에 걸린 사람은 몸 속에 홍역균이 항원으로 들어와 홍역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항체에 의해 홍역의 원인인 항원을 소멸시키면 이를 몸 속의 기억세포에서 기억해두어 다시 홍역에 걸리지 않게 된다. 즉, 감염자의 혈청 속에 홍역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생겨 재감염 때는 체내에서 항원항체반응이 일어나 발병을 저지하는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확인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DELETED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 >항원-항체 반응의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 >몇몇 자료를 찾아보니, >항체의 binding site에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한다라는 내용만 있네요. > >어떻게 해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도와주세요^^ >자세한 설명이나 자료 부탁 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RE: 자료하나 첨부합니다.
    >안녕하세요. > >항원-항체 반응의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 >몇몇 자료를 찾아보니, >항체의 binding site에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한다라는 내용만 있네요. > >어떻게 해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도와주세요^^ >자세한 설명이나 자료 부탁 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RE: 자료하나 첨부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신동욱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 >항원-항체 반응의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 >몇몇 자료를 찾아보니, >항체의 binding site에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한다라는 내용만 있네요. > >어떻게 해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도와주세요^^ >자세한 설명이나 자료 부탁 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바이러스 같은 항원이 들어오게 되면, 우리의 면역체계에서 그 항원에 대해 특이적으로 항체를 만들게 됩니다. 항체는 크게 Y 자 형태로, Y의 팔에 해당되는 부분이 Fab region이라고 하며, 이 부분이 특정 항원등에 결합을 합니다. 이 Fab region은 genetic recombination을 하여, 다양한 항원에 대한 특정 결합 부위를 생성합니다 (Tonegawa : 노벨상 수상 내용)
    >안녕하세요. > >항원-항체 반응의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 >몇몇 자료를 찾아보니, >항체의 binding site에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한다라는 내용만 있네요. > >어떻게 해서 특정 항원을 binding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도와주세요^^ >자세한 설명이나 자료 부탁 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바이러스 같은 항원이 들어오게 되면, 우리의 면역체계에서 그 항원에 대해 특이적으로 항체를 만들게 됩니다. 항체는 크게 Y 자 형태로, Y의 팔에 해당되는 부분이 Fab region이라고 하며, 이 부분이 특정 항원등에 결합을 합니다. 이 Fab region은 genetic recombination을 하여, 다양한 항원에 대한 특정 결합 부위를 생성합니다 (Tonegawa : 노벨상 수상 내용)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 >항원-항체 반응의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강의 자료를 참고로 첨부합니다.
    >안녕하세요. > >항원-항체 반응의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강의 자료를 참고로 첨부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