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12
org.kosen.entty.User@7ccd7ea6
최유성(usung22)
- 3
일반적으로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과 점도의 상관 관계를 표현할때 Mark?Houwink
equation을 사용하여 표기하고 이때k와 a을 구하여 특성화 시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때 k와 a가 갖는 물리적인 의미는 무엇인가요?
고분자 사슬의 모폴로지와 연관 지어서 설명할 수 있는지요?
- MHS EQU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12- 0
Mark?Houwink equation은 고분자의 rheology에 관한 사항으로 고분자가 short-chain에서 long-chain polymer로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관계식입니다. 유변학에서 유변성이 좋다 나쁘다 하는 것은 고분자에서 유동성이 얼마나 좋으냐 나쁘냐 하는 것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식 [η]= KM^a로 나타내어 지는데,이식을 log[η]=logK+alogM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a는 logM에 대한 기울기로써 어느정도 기울기가 나오느냐 하는 것을 말합니다. a=0.5 : 고분자가 flexible하다 이때의 solvent는 ideal solvent이다. a가 0.5에서 0.8범위이면 고분자가 유연성은 있으나,solvent가 이상적이지 않다. a가 0.8이상이면 고분자의 점도가 매우 높아 stiff하다. 그리고 K는 그라프의 절편으로써 그라프를 무한대로 그릴 수 없기 때문에 측정범위에 의하여 절편을 결정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M-H equation을 그리기 위하여서는 측정을 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측정 수단으로써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하여야 합니다. GPC를 하지 않으면 그라프를 그려낼 수가 없습니다. 관련 자료 및 URL을 참고 바랍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12- 0
>일반적으로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과 점도의 상관 관계를 표현할때 Mark?Houwink > >equation을 사용하여 표기하고 이때k와 a을 구하여 특성화 시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 >이때 k와 a가 갖는 물리적인 의미는 무엇인가요? > >고분자 사슬의 모폴로지와 연관 지어서 설명할 수 있는지요? > > Mark?Houwink equation은 intrinsic viscosity([η])와 molecular weight(M)사이의 관련성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η] = KM(a) 이 방정식으로 부터 어떤 polymer의 molecular weight이 intrinsic viscosity에 관한 데이타로 부터 정해질 수 있습니다. 이 방정식의 parameter인 a, K값은 특별한 polymer-solvent system에 따라 다른데, solvent를 고려할때, a = 0.5라는 것은 theta solvent를 의미하고, a = 0.8은 good solvent를 나타냅니다. Polymer중에, flexibility가 높은 것들(most flexible)의 경우, a는 0.5이상 0.8미만이고, semi-flexible한 polymer의 경우는, a가 0.8이상입니다. K 값은 실험자가 테스트하는 fraction이 분자량 분포가 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log term을 이용하여 변형될 수도 있는데, η에 대한 값의 log과 Mw에 대한 값의 log로 그래프가 그려질 수 있겠죠. 일차직선식에서 slope가 a가 되고 y 절편이 K가 됩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2010-01-15- 0
>일반적으로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과 점도의 상관 관계를 표현할때 Mark?Houwink > >equation을 사용하여 표기하고 이때k와 a을 구하여 특성화 시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 >이때 k와 a가 갖는 물리적인 의미는 무엇인가요? > >고분자 사슬의 모폴로지와 연관 지어서 설명할 수 있는지요? > > 관련사이트를 소개합니다. K는 분자의 특성과 용매, 온도에. 의존하는 값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