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공기의 밀도에 따라 팬에 걸리는 부하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밀폐된 건조기 이고 내부는 고압(4.5bar)공기로 채워져 있으며 공기의 흐름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팬-히터(고온건조)-건조물(고온다습)-냉각코일(냉각되면서 저온건조) - 세퍼레이터(물배출) - 팬 이때 건조물의 수분이 적어져서 건조가 다될수록 오히려 암페어미터에 걸리는 초기에 비해 물이 없는 후반부에는 2배 가까이 전류값이 상승을 합니다. 공기의 밀도차 때문에 그런것 같기는 한데 부하상승의 원인이 어떻게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 모터
  • 부하
  • 전력량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공기의 밀도에 의한 전류의 소모가 높아 지는 것이 아니고, 건조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이 수분이 있는 물질을 초기에 넣으면 수분의 증발에 소모되는 전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수분이 어느정도 배출되고 난뒤에는 고형물질(고체)이 본격적으로 건조되기 위한 열을 받기 때문에 전력의 소모가 높아지는 현상입니다. 실제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벽돌을 넣어서 실험하여 보면 초기는 수분증발--->고체물질인 벽돌의 가열이 이루어 지는 과정으로 소모전력이 높습니다. 이는 물과 벽돌의 비열의 차이로 일어나는현상과 같은 현상입니다.
    공기의 밀도에 의한 전류의 소모가 높아 지는 것이 아니고, 건조기에서 소모되는 전력이 수분이 있는 물질을 초기에 넣으면 수분의 증발에 소모되는 전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수분이 어느정도 배출되고 난뒤에는 고형물질(고체)이 본격적으로 건조되기 위한 열을 받기 때문에 전력의 소모가 높아지는 현상입니다. 실제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벽돌을 넣어서 실험하여 보면 초기는 수분증발--->고체물질인 벽돌의 가열이 이루어 지는 과정으로 소모전력이 높습니다. 이는 물과 벽돌의 비열의 차이로 일어나는현상과 같은 현상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밀폐된 건조기 이고 내부는 고압(4.5bar)공기로 채워져 있으며 공기의 흐름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팬-히터(고온건조)-건조물(고온다습)-냉각코일(냉각되면서 저온건조) - 세퍼레이터(물배출) - 팬 >이때 건조물의 수분이 적어져서 건조가 다될수록 오히려 암페어미터에 걸리는 초기에 비해 물이 없는 후반부에는 2배 가까이 전류값이 상승을 합니다. >공기의 밀도차 때문에 그런것 같기는 한데 부하상승의 원인이 어떻게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냉각코일은 원인 제공이 되지 않을까요? 고압조건에서 저온건조일 조건도 전력소모가 많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저온이라는 것이 실온이 아니라 실온보다 더 낮은 온도일 경우에는 온도 상승에 소모되는 전력 못지 않게 소모되어 지지 않을까 싶군요..
    >밀폐된 건조기 이고 내부는 고압(4.5bar)공기로 채워져 있으며 공기의 흐름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팬-히터(고온건조)-건조물(고온다습)-냉각코일(냉각되면서 저온건조) - 세퍼레이터(물배출) - 팬 >이때 건조물의 수분이 적어져서 건조가 다될수록 오히려 암페어미터에 걸리는 초기에 비해 물이 없는 후반부에는 2배 가까이 전류값이 상승을 합니다. >공기의 밀도차 때문에 그런것 같기는 한데 부하상승의 원인이 어떻게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냉각코일은 원인 제공이 되지 않을까요? 고압조건에서 저온건조일 조건도 전력소모가 많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저온이라는 것이 실온이 아니라 실온보다 더 낮은 온도일 경우에는 온도 상승에 소모되는 전력 못지 않게 소모되어 지지 않을까 싶군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열전달 및 고열에 의한 코일(동)의 저항증가로 판단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흔히 현장에서 "모터가 열받았다"라고 하는데,초기 수분이 많은 건조대상물이 건조되면서 고온의 steam상태의 증기가 fan의 금속날개로 열전달하고, 이의 열이 모터의 축을 통하여 모터내의 코일에 전달되어 온도가 상승함으로 저항이 높아지므로 일정한 전압하에서는 전류의 흐름을 낮아 집니다. 모터가 하는 일은 P=VI인데 제대로의 일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모터의 효율성이 낮아지며, 이러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모터에 무리가 오며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다음으로 수분이 날라간 상태는 건조 공기이므로 fan의 날개가 회전하면서 공기를 식힐 수 있기 때문에 축을 통하여 전달된 모터의 온도가 내려감으로 정상적으로 모터가 작동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의 대책으로 water cooled motor를 사용하면 되나 이는 비용이 많이 들게 되므로 제2의 방안으로 냉각 mesh를 설치하여 fan의 가열되는 부하를 낮추어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현장의 정확한 사정에 의하여 선택함이 좋겠습니다.
    열전달 및 고열에 의한 코일(동)의 저항증가로 판단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흔히 현장에서 "모터가 열받았다"라고 하는데,초기 수분이 많은 건조대상물이 건조되면서 고온의 steam상태의 증기가 fan의 금속날개로 열전달하고, 이의 열이 모터의 축을 통하여 모터내의 코일에 전달되어 온도가 상승함으로 저항이 높아지므로 일정한 전압하에서는 전류의 흐름을 낮아 집니다. 모터가 하는 일은 P=VI인데 제대로의 일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모터의 효율성이 낮아지며, 이러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모터에 무리가 오며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다음으로 수분이 날라간 상태는 건조 공기이므로 fan의 날개가 회전하면서 공기를 식힐 수 있기 때문에 축을 통하여 전달된 모터의 온도가 내려감으로 정상적으로 모터가 작동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의 대책으로 water cooled motor를 사용하면 되나 이는 비용이 많이 들게 되므로 제2의 방안으로 냉각 mesh를 설치하여 fan의 가열되는 부하를 낮추어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현장의 정확한 사정에 의하여 선택함이 좋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