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결로에 따른 곰팡이 문제 가장 좋은 해결방법은 무엇인가요?

준공 완료된 주택(빌라)에서 외기와 접하는 내벽면에 흔히 발생하는 결로 및 이로인한 곰팡이 문제가 자주 제기되는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요? 흔히, 단열재를 내부에 추가적용하는 내단열 방법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어지는데 단열재의 경우도 2~3년이면 단열효과가 떨어진다고 들었습니다. 가장 효과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 결로
  • 내단열
  • 곰팡이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우리나라의 건축 구조상 콘크리트와 벽돌을 사용하고 내부 바닥은 온돌구조로 되어 있어 외기의 온도와 내기 온도차로 인하여 결로가 생기는 현상은 아직까지 제대로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건축시험연구원에서 많은 시험들을 하고 있으나 이의 완전한 대책은 없고 단열을 내부에 하는 것보다 외부에 하는 외부단열이 비교적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단열 과 통풍이 가장 좋은 방안이라는 결론 밖에 없겠습니다.그외 세부적인 사항은 참고 자료를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곰팡이는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벽지는 플라스틱재질인데, 이에 사용하는 풀은 수용성 풀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서 나오는 문제가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처음 시공할 때 풀에 붕산을 (물+에틸알콜)에 녹여서 사용하면 어느정도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결로에 의한 곰팡이는 방지가 어렵습니다.
    우리나라의 건축 구조상 콘크리트와 벽돌을 사용하고 내부 바닥은 온돌구조로 되어 있어 외기의 온도와 내기 온도차로 인하여 결로가 생기는 현상은 아직까지 제대로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건축시험연구원에서 많은 시험들을 하고 있으나 이의 완전한 대책은 없고 단열을 내부에 하는 것보다 외부에 하는 외부단열이 비교적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단열 과 통풍이 가장 좋은 방안이라는 결론 밖에 없겠습니다.그외 세부적인 사항은 참고 자료를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곰팡이는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벽지는 플라스틱재질인데, 이에 사용하는 풀은 수용성 풀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서 나오는 문제가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처음 시공할 때 풀에 붕산을 (물+에틸알콜)에 녹여서 사용하면 어느정도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결로에 의한 곰팡이는 방지가 어렵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준공 완료된 주택(빌라)에서 외기와 접하는 내벽면에 흔히 발생하는 결로 및 이로인한 곰팡이 문제가 자주 제기되는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요? > >흔히, 단열재를 내부에 추가적용하는 내단열 방법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어지는데 단열재의 경우도 2~3년이면 단열효과가 떨어진다고 들었습니다. > >가장 효과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국내 모 회사에서 곰팡이 제거법에 대해서 나름대로 자세히 설명해 놓은 자료가 있습니다. 연구논문 보다는 실제 실용적으로 바로 시행해 볼 수 있는 방법이 낫겠지요.. Link를 클릭해서 확인해 보세요..
    >준공 완료된 주택(빌라)에서 외기와 접하는 내벽면에 흔히 발생하는 결로 및 이로인한 곰팡이 문제가 자주 제기되는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요? > >흔히, 단열재를 내부에 추가적용하는 내단열 방법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어지는데 단열재의 경우도 2~3년이면 단열효과가 떨어진다고 들었습니다. > >가장 효과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국내 모 회사에서 곰팡이 제거법에 대해서 나름대로 자세히 설명해 놓은 자료가 있습니다. 연구논문 보다는 실제 실용적으로 바로 시행해 볼 수 있는 방법이 낫겠지요.. Link를 클릭해서 확인해 보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