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18
org.kosen.entty.User@3e7439fd
이상현(indiblue00)
- 2
어제부터 날씨가 풀려서 살만합니다. 코센의 모든 분들 추위에 건강유의하시고요.
실험중에 의문사항이 있는데 잘 안풀려서 문의를 드립니다.
염기성탄산동을 제조하는 실험을 하고 있는데요. 반응온도에 따라서 색상이 다양하게 나옵니다. 시약은 밝은 녹색인데 제가 만들면 하늘색부터 연두색, 어떨때는 탄화되었는지 검은풀색으로 나올때도 있습니다.
염기성탄산동은 구조를 보면 CuCO3`Cu(OH)2`xH2O로 되어있는데
구조가 틀려지면 색상이 변하는지 궁금하고
구조를 파악할려면 어떤 방법을 써야할지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시약과 같이 밝은 녹색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 탄산동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20- 2
>어제부터 날씨가 풀려서 살만합니다. 코센의 모든 분들 추위에 건강유의하시고요. > >실험중에 의문사항이 있는데 잘 안풀려서 문의를 드립니다. >염기성탄산동을 제조하는 실험을 하고 있는데요. 반응온도에 따라서 색상이 다양하게 나옵니다. 시약은 밝은 녹색인데 제가 만들면 하늘색부터 연두색, 어떨때는 탄화되었는지 검은풀색으로 나올때도 있습니다. >염기성탄산동은 구조를 보면 CuCO3`Cu(OH)2`xH2O로 되어있는데 >구조가 틀려지면 색상이 변하는지 궁금하고 >구조를 파악할려면 어떤 방법을 써야할지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시약과 같이 밝은 녹색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구조 확인을 위해서는 elemental analyzer를 통해 원소간 어느 정도 비율로 혼합이 되어 있는지 알아낼 수 있습니다. Cu의 특성상 산화,환원으로 색 변화가 일어나는거 같습니다. 반응중에 산화제나 환원제의 사용을 체크해 보시고 색변화를 원치 않으면 다른 방법으로 선택해서 탄산동 합성을 해 보세요..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18- 0
1st 반응식: Cu+4HNO3---->Cu(NO3)2+2NO2+2H2O Cu 0.5gr에 질산 3ml를 가하여 가스가 빠져나올 때 까지 기다린후 이에 5ml DI water를 가하여 magnetic heating plate에서 미지근하게(30~35C)3~4분 정도 stirring하여 줌. 2nd 반응식: 2Cu(NO3)2+2Na2CO3+H2O--->CuCO3·Cu(OH)2+CO2+4NaNO3 1st에서 얻어진 Cu(NO3)2에 40ml DI water를 넣어준 다음 3gr Na2CO3를 넣어서 저어줌. 이의 침전물이 나오게 되면 색상을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