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미지의 바이러스 분리 동정

말의 뇌염 가검물에서 바이러스 분리를 시도하여, 바이러스를 분리하였습니다. 관련 병원성이 있다고 알려진 다양한 병원성 바이러스에 대한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였음에도 증폭이 되지 않았습니다. 미지의 바이러스를 분리배양하였는데, 도대체 어떤 바이러스인지 확인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요..
  • 바이러스 분리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말의 뇌염 가검물에서 바이러스 분리를 시도하여, 바이러스를 분리하였습니다. > >관련 병원성이 있다고 알려진 다양한 병원성 바이러스에 대한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였음에도 > >증폭이 되지 않았습니다. > >미지의 바이러스를 분리배양하였는데, 도대체 어떤 바이러스인지 확인하는 방법에는 > >어떤 것들이 있는지요.. 우선 universal primer를 만드는 것이 제일 우선적으로 해야될 상황인거 같습니다. Universal primer를 사용했음에도 detection이 안 될 경우에는 매뉴얼로 primer를 제작을 해야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primer중에 매칭되는 gene이 있다면 동정이 가능할거 같군요.. 그 외 기기상에서 ampilication하는 것은 루틴이기때문에 별도로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말의 뇌염 가검물에서 바이러스 분리를 시도하여, 바이러스를 분리하였습니다. > >관련 병원성이 있다고 알려진 다양한 병원성 바이러스에 대한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였음에도 > >증폭이 되지 않았습니다. > >미지의 바이러스를 분리배양하였는데, 도대체 어떤 바이러스인지 확인하는 방법에는 > >어떤 것들이 있는지요.. 우선 universal primer를 만드는 것이 제일 우선적으로 해야될 상황인거 같습니다. Universal primer를 사용했음에도 detection이 안 될 경우에는 매뉴얼로 primer를 제작을 해야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primer중에 매칭되는 gene이 있다면 동정이 가능할거 같군요.. 그 외 기기상에서 ampilication하는 것은 루틴이기때문에 별도로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한명국님의 답변

    어떤 바이러스 종인지를 알려면 먼저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십시요. 세포배양에서 분리되어 증식되므로 semi-purification 한후에 negative staining 해서 보십시요. 그리고 증식에 사용한 세포 종류가 무엇인지, 사용한 세포에서는 어떤 바이러스가 증식하는지 리뷰해 보 십시요. RNA 인지 DNA 바이러스인지 알아야 PCR을 하던 RT-PCR을 할지 결정할 수 있겠죠.
    어떤 바이러스 종인지를 알려면 먼저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십시요. 세포배양에서 분리되어 증식되므로 semi-purification 한후에 negative staining 해서 보십시요. 그리고 증식에 사용한 세포 종류가 무엇인지, 사용한 세포에서는 어떤 바이러스가 증식하는지 리뷰해 보 십시요. RNA 인지 DNA 바이러스인지 알아야 PCR을 하던 RT-PCR을 할지 결정할 수 있겠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말의 뇌염 가검물에서 바이러스 분리를 시도하여, 바이러스를 분리하였습니다. > >관련 병원성이 있다고 알려진 다양한 병원성 바이러스에 대한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였음에도 > >증폭이 되지 않았습니다. > >미지의 바이러스를 분리배양하였는데, 도대체 어떤 바이러스인지 확인하는 방법에는 > >어떤 것들이 있는지요.. 참고자료
    >말의 뇌염 가검물에서 바이러스 분리를 시도하여, 바이러스를 분리하였습니다. > >관련 병원성이 있다고 알려진 다양한 병원성 바이러스에 대한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였음에도 > >증폭이 되지 않았습니다. > >미지의 바이러스를 분리배양하였는데, 도대체 어떤 바이러스인지 확인하는 방법에는 > >어떤 것들이 있는지요.. 참고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