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30
org.kosen.entty.User@567f5583
박정극(hopeman9)
- 2
in situ methane enrichment 라는 공정을 논문에서 보았습니다.
원문을 구하기도 어렵고 관련 정보도 부족하여 글을 올립니다.
공정에 대한 개요에 대해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메탄 농축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30- 0
>in situ methane enrichment 라는 공정을 논문에서 보았습니다. >원문을 구하기도 어렵고 관련 정보도 부족하여 글을 올립니다. >공정에 대한 개요에 대해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차량용 연료로서 바이오가스를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 가장 큰 비용중에 하나가 연료 품질에 대한 업그레이딩인데, 이런 목적으로 연구된 방법이 in-situ methane enrichment입니다. 슬러지가 digester로 부터 desorption column까지 순환하고 다시 digester까지 순환하게 됩니다. 공기가 Co2를 탈착시키기 위해서 컬럼속으로 유입되어집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메탄으로 가득찬 digester gas가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위해서 pilot-scale digestion과 desorption이 사용되어지고 컬럼이나 탱크 반응조도 상당히 큰 규모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비용 절약을 할 수 있는 in-situ methane enrichment 기술에 대한 여러가지 반응조건들에 대한 연구들이 현재까지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관련 내용을 소개하는 자료를 첨부합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30- 0
세계적인 관심이 CO2를 줄여나가는데 집중되어 있는데,이를 위하여 methane을 이용하자는 것입니다.methane은 미생물의 활동에 의하여서도 생산이 가능하며,해저의 methane hydrate로써도 전환이 가능합니다.이러한 methane을 methane steam reforming이라는 공정을 적용하여 개질하여 반응과정을 통하여 LNG와 거의 동등한 수준의 syngas(수소와 CO가 혼합된 가스)를 생산하게 되면 에너지의 청정화가 이루어지고, 동시에 CO2를 줄일 수 있다는 기술에 의하여 착안된 process입니다.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methane은 steam reforming시키면 CH4+2H2O---->CO2+4H2가 됩니다. 이때 생산된 수소를 이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CO+H2O-->CO2+H2+heat의 반응이 일어나며,이에서 생산된 수소는 CO+3H2--->CH4+H2O, CO2+4H2--->CH4+2H2O로 반응하게 됩니다. 따라서 CH4를 steam reforming시키면 순환하여 다시 CH4를 생산하기 때문에 이를 in situ라는 용어를 plant process에서 사용하며,methane이 재생산되기 때문에 methane enrichment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여기에서 CO+3H2를 가스화하면 청정연료가 되는것이며 이를 syngas(synthetic gas)라고 하며, 이를 이용하여 차량,가정,산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현재의 연료의 대체가 됩니다.또한 여기에서 발생되는 CO2는 점오염원이므로 향후 개발되는 제거 기술에 의하여 비교적 쉽게 제거하여 수중에 매립할 수 있다는 idea입니다. 그러면 결과적으로 청정연료로 대체되고,생산공정에서 나오는 CO2는 포집하여 안전하게 폐기하면 현재의 CO2를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는 결론입니다. 첨부 자료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