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tio2를 유리와 필름에 코팅시 접착 방식은?

보통 페이스트로 제작한 dssc 논문을 보면 코팅후 열을 가하여 유기물 물질을 제거 시킨다고 하였는데 그렇게 되면 유기 물질인 바인더도 제거 된다는 것인데 그러면 유기 물질 바인더는 tio2와 유리나 필름간의 결합에 이용되지 않는 것인지요? 그렇다면 단순히 tio2와 유리와 필름에 의한 물리적 접착에 의한 것인지요? 또한 유기바인더 끓는점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 시 기판의 오목한 부분에 유입되어 두 물질 을 서로 결합 시키는 투묘작용으로서 접착 시킬 수 있는지요?
  • tio2
  • 코팅
  • 바인더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보통 페이스트로 제작한 dssc 논문을 보면 > >코팅후 열을 가하여 유기물 물질을 제거 시킨다고 하였는데 > >그렇게 되면 유기 물질인 바인더도 제거 된다는 것인데 > >그러면 유기 물질 바인더는 tio2와 유리나 필름간의 결합에 > >이용되지 않는 것인지요? > >그렇다면 단순히 tio2와 유리와 필름에 의한 물리적 접착에 의한 > >것인지요? > >또한 유기바인더 끓는점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 시 기판의 오목한 부분에 유입되어 두 물질 > >을 서로 결합 시키는 투묘작용으로서 접착 시킬 수 있는지요? > 나노크기의 TiO2를 만드는 방법은 보통 티타늄 알콕사이드를 산성분위기 하에서 수화시켜 전도성유리 위에 박막형태로 입히고, 450℃에서 소결하는 과정이 많이 이용된다. 수화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glass표면의 SiOH와 물분작 빠지면서 covalent bond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관련 자료 첨부합니다.
    >보통 페이스트로 제작한 dssc 논문을 보면 > >코팅후 열을 가하여 유기물 물질을 제거 시킨다고 하였는데 > >그렇게 되면 유기 물질인 바인더도 제거 된다는 것인데 > >그러면 유기 물질 바인더는 tio2와 유리나 필름간의 결합에 > >이용되지 않는 것인지요? > >그렇다면 단순히 tio2와 유리와 필름에 의한 물리적 접착에 의한 > >것인지요? > >또한 유기바인더 끓는점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 시 기판의 오목한 부분에 유입되어 두 물질 > >을 서로 결합 시키는 투묘작용으로서 접착 시킬 수 있는지요? > 나노크기의 TiO2를 만드는 방법은 보통 티타늄 알콕사이드를 산성분위기 하에서 수화시켜 전도성유리 위에 박막형태로 입히고, 450℃에서 소결하는 과정이 많이 이용된다. 수화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glass표면의 SiOH와 물분작 빠지면서 covalent bond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관련 자료 첨부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1)유리에 caoting하는 것은 van der waals force에 의하며,film에 coating하는 것은 film을 어느정도 융해시키면서 접착력을 높여주는 방법으로 acetone을 혼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도 결국 van der waals force에 의합니다. 재료가 준비가 되었는지 모르겠으나, 어떻게 하는지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유리를 3%불산 용액에 1시간 담구어 두었다가, 꺼내어서 물+메타놀용액에 세척후 건조 시킵니다. (2)amino silane을 유리에 도포한후 건조 시킵니다. (3)TiO2분말에 Ti(OH)4를 5%혼합하고, 부착력이 나오는 수지(PVA도 좋음)에 전도성 수지를 1:4비율로 혼합된 용액에 앞의 분말을 넣어 paste상태로 만듬. (4)유리에 다시 한번 더 silane을 도포하여 건조시킴. (5)그 위에 도포용 applicator로써 도막을 조절하여 도포하고 건조시킴: 온도는 40~50C (6)유리의 가장자리를 tape로 테두리를 만든후 전선(lead wire)으로 고정시킴. (7)backup용의 자재(lead wire가 부착되어 져야 함)를 약간의 간격을 두고 ?댄후 4면을 완전히 밀봉함. (8)밀봉한 자리에 dye를 주입할 작은 구멍(바늘 구멍보다 조금 크게)을 두고, 공기가 빠질 작은 구멍을 아래쪽에 둠. (9)주입구에서 주사기로 dye용액을 천천히 주입하여 공기가 빠지면서 내부가 완전히 충진되도록 함. 이때 아래쪽으로 dye가 어느정도 흘러나와야 함. (10)양쪽 구멍을 완전히 막고 상태를 점검함. (11)상태가 좋지 않으면(예;기포가 있든지)위의 (9)을 다시 시행함.
    (1)유리에 caoting하는 것은 van der waals force에 의하며,film에 coating하는 것은 film을 어느정도 융해시키면서 접착력을 높여주는 방법으로 acetone을 혼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도 결국 van der waals force에 의합니다. 재료가 준비가 되었는지 모르겠으나, 어떻게 하는지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1)유리를 3%불산 용액에 1시간 담구어 두었다가, 꺼내어서 물+메타놀용액에 세척후 건조 시킵니다. (2)amino silane을 유리에 도포한후 건조 시킵니다. (3)TiO2분말에 Ti(OH)4를 5%혼합하고, 부착력이 나오는 수지(PVA도 좋음)에 전도성 수지를 1:4비율로 혼합된 용액에 앞의 분말을 넣어 paste상태로 만듬. (4)유리에 다시 한번 더 silane을 도포하여 건조시킴. (5)그 위에 도포용 applicator로써 도막을 조절하여 도포하고 건조시킴: 온도는 40~50C (6)유리의 가장자리를 tape로 테두리를 만든후 전선(lead wire)으로 고정시킴. (7)backup용의 자재(lead wire가 부착되어 져야 함)를 약간의 간격을 두고 ?댄후 4면을 완전히 밀봉함. (8)밀봉한 자리에 dye를 주입할 작은 구멍(바늘 구멍보다 조금 크게)을 두고, 공기가 빠질 작은 구멍을 아래쪽에 둠. (9)주입구에서 주사기로 dye용액을 천천히 주입하여 공기가 빠지면서 내부가 완전히 충진되도록 함. 이때 아래쪽으로 dye가 어느정도 흘러나와야 함. (10)양쪽 구멍을 완전히 막고 상태를 점검함. (11)상태가 좋지 않으면(예;기포가 있든지)위의 (9)을 다시 시행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보통 페이스트로 제작한 dssc 논문을 보면 > >코팅후 열을 가하여 유기물 물질을 제거 시킨다고 하였는데 > >그렇게 되면 유기 물질인 바인더도 제거 된다는 것인데 > >그러면 유기 물질 바인더는 tio2와 유리나 필름간의 결합에 > >이용되지 않는 것인지요? >첨부자료 >그렇다면 단순히 tio2와 유리와 필름에 의한 물리적 접착에 의한 > >것인지요? > >또한 유기바인더 끓는점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 시 기판의 오목한 부분에 유입되어 두 물질 > >을 서로 결합 시키는 투묘작용으로서 접착 시킬 수 있는지요? >
    >보통 페이스트로 제작한 dssc 논문을 보면 > >코팅후 열을 가하여 유기물 물질을 제거 시킨다고 하였는데 > >그렇게 되면 유기 물질인 바인더도 제거 된다는 것인데 > >그러면 유기 물질 바인더는 tio2와 유리나 필름간의 결합에 > >이용되지 않는 것인지요? >첨부자료 >그렇다면 단순히 tio2와 유리와 필름에 의한 물리적 접착에 의한 > >것인지요? > >또한 유기바인더 끓는점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 시 기판의 오목한 부분에 유입되어 두 물질 > >을 서로 결합 시키는 투묘작용으로서 접착 시킬 수 있는지요?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