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30
org.kosen.entty.User@3b9bde04
김가빈(banana777)
- 1
지질 분석 실험을 해야 하는데 ㅠㅠ
논문에 따라서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거나 HPLC를 이용하기도 하던데요
정제와 정량에서도 두가지 방법이 쓰이더라구요;;
두 방법의 차이가 구체적으로 어떤건지가 이해되지 않아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ㅜㅜ
- GC
- HPLC
- column chromatograph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30- 0
>지질 분석 실험을 해야 하는데 ㅠㅠ >논문에 따라서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거나 HPLC를 이용하기도 하던데요 >정제와 정량에서도 두가지 방법이 쓰이더라구요;; >두 방법의 차이가 구체적으로 어떤건지가 이해되지 않아서 >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ㅜㅜ > Column chromatography법은 지질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분석법으로서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분석 tool입니다. 주로 일차적으로 TLC(thin-layer chromatography)을 사용하여 정성분석하며, 지질이 hydrophobic한 특징이 있기 때문에 주로 silica-based TLC를 많이 사용합니다. 따라서 TLC solvent도 지질의 소수성 성질과 비슷한 용매를 사용합니다. 주로 n-hexane, dichlromethane, diethyl ether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acetic acid를 소량 첨가하는 형태로 solvent system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TLC와 함께, silica gel을 column chromatography의 고정상으로 사용하여 glass column에 충진하여 사용하는 flash column chromatography가 있습니다. 이 방식은 column에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N2 gas로 컬럼 위쪽에서 밀어주면서 시료들이 실리카 젤과 이동상 사이의 상호작용의 차이에 의하여 결국 분리가 되는 원리입니다. TLC를 컬럼으로 옮겼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주로 천연물 분리하는 랩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이죠.. 다음으로는 HPLC(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법이 있는데, 일반적인 지방산을 가지고 있는 지질의 경우는 UV를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검출기를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ELSD)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 분석기는 이름에서 주는 것처럼 고압으로 압력을 걸어주면서 컬럼속의 고정상과 이동상과의 분배계수의 차이에 의해서 분리가 되어 지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HPLC 원리는 첨부 자료를 확인바랍니다. 또한 지질중에 tocopherol이나 choleterol같은 지질류는 HPLC-UV detector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지금 까지 설명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관련 자료를 첨부하니 확인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