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anhydrous solvent와 일반 solvent의 차이

안녕하세요. 문득 궁금해진 사항이 있어 질문을 올립니다. anhydrous solvent에 대한 hydrate 물질의 용해성이 궁금합니다. 만약 용해가 잘 되지 않는다면 그냥 일반 등급의 solvent를 사용하면 용해가 되나요? 요점은 anhydrous solvent와 일반 solvent의 hydrate물질에 대한 용해성 차이입니다.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hydrous
  • solvent
  • hydrat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문득 궁금해진 사항이 있어 질문을 올립니다. >anhydrous solvent에 대한 hydrate 물질의 용해성이 궁금합니다. >만약 용해가 잘 되지 않는다면 >그냥 일반 등급의 solvent를 사용하면 용해가 되나요? >요점은 anhydrous solvent와 일반 solvent의 hydrate물질에 대한 용해성 차이입니다.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hydrate물질은 물분자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궁금증이 생긴 것인데, anhydrous solvent에 hydrate가 아닌 물질을 섞는 것과 hydrate 물질을 섞는 것, 그리고 일반 solvent에 hydrate가 아닌 물질을 섞는 것과 hydrate 물질을 섞는 것. 이 네 가지 중에 어느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요? 어떤 반응을 시키는가에 따라서 답은 달라질 수 있을거 같군요.. 위 답변에서 설명드린바와 같이 "화학반응"에 따라서 절대적으로 anhydrous solvent를 사용해야 되며 또한 반드시 사용할 필요가 없는 반응도 있기 때문입니다. 절대적으로 anhydrous solvent가 필요한 반응은 neucleophilic substitution같은 반응인데, 예를 들어서 ketone(-CO-)이나 ester(-COO-) group에 전자가 풍부한 작용기를 반응시킬때는 반드시 anhydrous solvent를 사용해야 됩니다. 참고로 용해성 관련되서는 녹이고자 하는 물질의 극성도를 확인해 봐야 될 거 같군요. 제가 보기엔 위의 4가지 혼합 형태만 가지고는 정확하게 어떤것이 좋다고 말씀드릴수가 없을거 같습니다..한가지 녹이고자 하는 물질이 물과는 전혀 극성도가 반대를 갖는다면 anhydrous solvent에 hydrate아닌 것을 녹이는 것이 좋아 보이나 정확히 녹이고자 물질이 어떤 형태인지를 먼저 확인해 보야 될 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문득 궁금해진 사항이 있어 질문을 올립니다. >anhydrous solvent에 대한 hydrate 물질의 용해성이 궁금합니다. >만약 용해가 잘 되지 않는다면 >그냥 일반 등급의 solvent를 사용하면 용해가 되나요? >요점은 anhydrous solvent와 일반 solvent의 hydrate물질에 대한 용해성 차이입니다.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hydrate물질은 물분자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궁금증이 생긴 것인데, anhydrous solvent에 hydrate가 아닌 물질을 섞는 것과 hydrate 물질을 섞는 것, 그리고 일반 solvent에 hydrate가 아닌 물질을 섞는 것과 hydrate 물질을 섞는 것. 이 네 가지 중에 어느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요? 어떤 반응을 시키는가에 따라서 답은 달라질 수 있을거 같군요.. 위 답변에서 설명드린바와 같이 "화학반응"에 따라서 절대적으로 anhydrous solvent를 사용해야 되며 또한 반드시 사용할 필요가 없는 반응도 있기 때문입니다. 절대적으로 anhydrous solvent가 필요한 반응은 neucleophilic substitution같은 반응인데, 예를 들어서 ketone(-CO-)이나 ester(-COO-) group에 전자가 풍부한 작용기를 반응시킬때는 반드시 anhydrous solvent를 사용해야 됩니다. 참고로 용해성 관련되서는 녹이고자 하는 물질의 극성도를 확인해 봐야 될 거 같군요. 제가 보기엔 위의 4가지 혼합 형태만 가지고는 정확하게 어떤것이 좋다고 말씀드릴수가 없을거 같습니다..한가지 녹이고자 하는 물질이 물과는 전혀 극성도가 반대를 갖는다면 anhydrous solvent에 hydrate아닌 것을 녹이는 것이 좋아 보이나 정확히 녹이고자 물질이 어떤 형태인지를 먼저 확인해 보야 될 거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일반적인 solvent에는 미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solvent를 정제하여 수분이 완전히 없도록 한 것이 anhydrous solvent입니다.주로 분석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소량의 수분이 있고 없고에 따라 일반적인 용해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나 매우 엄격한 용해성을 요하는 경우는 anhydrous를 사용하여야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solvent에는 미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solvent를 정제하여 수분이 완전히 없도록 한 것이 anhydrous solvent입니다.주로 분석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소량의 수분이 있고 없고에 따라 일반적인 용해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나 매우 엄격한 용해성을 요하는 경우는 anhydrous를 사용하여야 가능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문득 궁금해진 사항이 있어 질문을 올립니다. >anhydrous solvent에 대한 hydrate 물질의 용해성이 궁금합니다. >만약 용해가 잘 되지 않는다면 >그냥 일반 등급의 solvent를 사용하면 용해가 되나요? >요점은 anhydrous solvent와 일반 solvent의 hydrate물질에 대한 용해성 차이입니다.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Anhydrous의 의미는 말 그대로 "물분자가 없는"의 의미입니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특정 화학반응시에 아주 소량의 물이 있으므로 인하여 특정 화학반응을 저해하는 효과를 보입니다. 즉, 물은 아주 강력한 neucleophile(친핵체)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유기합성시에는 친핵성 치환반응을 목적으로 반응을 시킬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 anhydrous 형태의 시약을 사용하게 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문득 궁금해진 사항이 있어 질문을 올립니다. >anhydrous solvent에 대한 hydrate 물질의 용해성이 궁금합니다. >만약 용해가 잘 되지 않는다면 >그냥 일반 등급의 solvent를 사용하면 용해가 되나요? >요점은 anhydrous solvent와 일반 solvent의 hydrate물질에 대한 용해성 차이입니다.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Anhydrous의 의미는 말 그대로 "물분자가 없는"의 의미입니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특정 화학반응시에 아주 소량의 물이 있으므로 인하여 특정 화학반응을 저해하는 효과를 보입니다. 즉, 물은 아주 강력한 neucleophile(친핵체)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유기합성시에는 친핵성 치환반응을 목적으로 반응을 시킬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 anhydrous 형태의 시약을 사용하게 됩니다. 참고하세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여기서 질문이 하나 더 있습니다. hydrate물질은 물분자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궁금증이 생긴 것인데, anhydrous solvent에 hydrate가 아닌 물질을 섞는 것과 hydrate 물질을 섞는 것, 그리고 일반 solvent에 hydrate가 아닌 물질을 섞는 것과 hydrate 물질을 섞는 것. 이 네 가지 중에 어느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