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친수성, 소수성 표면 확인 실험

냉각기에 쓰이는 알루미늄에 친수성 물질이 코팅되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희가 물방울을 떨어뜨려봤을때, 쉽사리 퍼지지 않아서 친수성인지 소수성인지 알아보려 하는데, 아직 실험하는데 미숙해서 그런지 힘듭니다 ;; 그래서 여기에 도움을 요청하게 됐는데, 답변 부탁드립니다^^
  • 친수성
  • 소수성
  • 표면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냉각기에 쓰이는 알루미늄에 친수성 물질이 코팅되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희가 물방울을 떨어뜨려봤을때, 쉽사리 퍼지지 않아서 >친수성인지 소수성인지 알아보려 하는데, > >아직 실험하는데 미숙해서 그런지 힘듭니다 ;; > >그래서 여기에 도움을 요청하게 됐는데, >답변 부탁드립니다^^ 표면친수성 측정법을 몇가지 소개해 드립니다. 1. 정량의 순수(純水)를 물질표면에 떨어뜨려 물방울 접촉각을 보는 방법 장점 : 친수를 정량화 할 수 있음 단점 : 시험기가 고가임 2. 친수성시약에 의한 고체표면장력 측정으로 친수성 시약을 면봉 등으로 피시험물에 발라 그 퍼짐을 보는 방법 (단위 Dyne/Cm ) 장점 : 시약이 저가임 단점 : 시험자 개인개인 마다 판정결과에 차가 생김 3. Cloth Cut 시험 시험물에 아크릴 락카 (Acrylic Lacquer)를 바르고 건조시킨 뒤 Checker Board Pattern을 잘라넣고 Cellophane 테이프를 벗겨 내어 락카의 잔류량을 측정하는 방법 장점 : 친수성이 아니고 접착성을 볼 수가 있다. 단점 : 개질효과가 현저하지 않으면 차가 생기지 않음. 4. 인장력 시험 시험편에 소정의 면적분만 접착제를 도포하고 동 크기의 소재 또는 다른소재를 접착하여 건조후, 양끝에서 잡아당긴다. 그때의 수치의 대소에 의하여 판정하는 방법 장점 : 수치로서 정확한 판정이 가능 단점 : 첩착력 강한 물질의 경우 소재표면의 판정이 어려움.
    >냉각기에 쓰이는 알루미늄에 친수성 물질이 코팅되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희가 물방울을 떨어뜨려봤을때, 쉽사리 퍼지지 않아서 >친수성인지 소수성인지 알아보려 하는데, > >아직 실험하는데 미숙해서 그런지 힘듭니다 ;; > >그래서 여기에 도움을 요청하게 됐는데, >답변 부탁드립니다^^ 표면친수성 측정법을 몇가지 소개해 드립니다. 1. 정량의 순수(純水)를 물질표면에 떨어뜨려 물방울 접촉각을 보는 방법 장점 : 친수를 정량화 할 수 있음 단점 : 시험기가 고가임 2. 친수성시약에 의한 고체표면장력 측정으로 친수성 시약을 면봉 등으로 피시험물에 발라 그 퍼짐을 보는 방법 (단위 Dyne/Cm ) 장점 : 시약이 저가임 단점 : 시험자 개인개인 마다 판정결과에 차가 생김 3. Cloth Cut 시험 시험물에 아크릴 락카 (Acrylic Lacquer)를 바르고 건조시킨 뒤 Checker Board Pattern을 잘라넣고 Cellophane 테이프를 벗겨 내어 락카의 잔류량을 측정하는 방법 장점 : 친수성이 아니고 접착성을 볼 수가 있다. 단점 : 개질효과가 현저하지 않으면 차가 생기지 않음. 4. 인장력 시험 시험편에 소정의 면적분만 접착제를 도포하고 동 크기의 소재 또는 다른소재를 접착하여 건조후, 양끝에서 잡아당긴다. 그때의 수치의 대소에 의하여 판정하는 방법 장점 : 수치로서 정확한 판정이 가능 단점 : 첩착력 강한 물질의 경우 소재표면의 판정이 어려움.
    권정희(buny89) 2010-03-31

    평소에 알고 싶었던 내용인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