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24
org.kosen.entty.User@2aca696b
하태경(wishkissed)
- 2
매우 쉽고 간단한 질문이지만 검색을 해봐도 뚜렷한 답이 나오지 않아 질문드려요
LC/MS/MS로 HBCD를 분석하는 과정중 용매를 살펴보면 MeOH/acetonitrile/ammoniumacetate 의 비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컬럼은 RP컬럼(Zorbax SB-C18)을 사용하구요
근데 궁금한점은 여기서 ammoniumacetate 가 왜 들어가야하는지 설명좀 해주세요.
(peak tailing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런 정도만 알고있어서요. 확실히 알고싶습니다.)
- LC-MS/MS
- ammoniumacetate
- M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3-25- 2
>매우 쉽고 간단한 질문이지만 검색을 해봐도 뚜렷한 답이 나오지 않아 질문드려요 > >LC/MS/MS로 HBCD를 분석하는 과정중 용매를 살펴보면 MeOH/acetonitrile/ammoniumacetate 의 비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컬럼은 RP컬럼(Zorbax SB-C18)을 사용하구요 > >근데 궁금한점은 여기서 ammoniumacetate 가 왜 들어가야하는지 설명좀 해주세요. >(peak tailing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런 정도만 알고있어서요. 확실히 알고싶습니다.) > NH4Ac는 이동상으로서 버퍼역활을 합니다. 따라서 이동상의 pH를 일정하게 맞춰주기 위해서 이동상 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이죠. 만약 버퍼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시료중 acid나 basic 물질이 protonation된 상태와 deprotonation된 두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chromatogram상에서 peak broadening또는 tailing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런 현상을 방지해 주기 위해 ammonium acetate buffer를 사용하거나 ammonium formate buff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답변
김보승님의 답변
2010-03-24- 0
>매우 쉽고 간단한 질문이지만 검색을 해봐도 뚜렷한 답이 나오지 않아 질문드려요 > >LC/MS/MS로 HBCD를 분석하는 과정중 용매를 살펴보면 MeOH/acetonitrile/ammoniumacetate 의 비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컬럼은 RP컬럼(Zorbax SB-C18)을 사용하구요 > >근데 궁금한점은 여기서 ammoniumacetate 가 왜 들어가야하는지 설명좀 해주세요. >(peak tailing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런 정도만 알고있어서요. 확실히 알고싶습니다.) > peak tailing 맞는데요 자세히 설명하자면 분석하고자하는 시료가 pH를 조절해 주지 않으면 두 가지 상으로 존재할 경우 peak tailing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acetic acid는 물 용매에서 acetic acid와 그것의 proton이 떨어진 acetate 형태로 존재합니다. 때문에 물만을 용매로 할 경우에 tailing이 일어나지요 질문 하신분이 어떤 시료를 분석하시려는지는 모르지만 그런 종류의 물질이지 않나 싶습니다. 그래서 pH 조절의 목적으로 ammoniumacetate를 넣었을 가능성이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