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TCO물질에서 나타나는 XRD 피크와 투과도에 관한 질문입니다.

XRD피크는 intensity가 뾰족하게 나올수록 결정성이 좋다고 알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결정질일때 투과도가 더 좋은가 아니면 비결정질일때 투과도가 더 좋은가 하는 것입니다.
  • TCO
  • XRD
  • 투과도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XRD피크는 intensity가 뾰족하게 나올수록 결정성이 좋다고 알고 있습니다. > >제가 궁금한것은 결정질일때 투과도가 더 좋은가 아니면 > >비결정질일때 투과도가 더 좋은가 하는 것입니다. > > XRD는 투과도라기 보다는 결정에 의한 회절(diffraction)현상에 의해서 결정 또는 비결정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즉, 회절에 기여하는 결정의 수가 적게 되면 Debye-Ring이 반점 상태로 되므로, 시료의 재현성 측정시 회절 X선 강도의 변동이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결정 분석일 때는 상대적으로 peak가 특징적이며서 sharp하게 나오는 반면, 비결정질일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peak가 많이 측정되면서 강도도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XRD피크는 intensity가 뾰족하게 나올수록 결정성이 좋다고 알고 있습니다. > >제가 궁금한것은 결정질일때 투과도가 더 좋은가 아니면 > >비결정질일때 투과도가 더 좋은가 하는 것입니다. > > XRD는 투과도라기 보다는 결정에 의한 회절(diffraction)현상에 의해서 결정 또는 비결정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즉, 회절에 기여하는 결정의 수가 적게 되면 Debye-Ring이 반점 상태로 되므로, 시료의 재현성 측정시 회절 X선 강도의 변동이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결정 분석일 때는 상대적으로 peak가 특징적이며서 sharp하게 나오는 반면, 비결정질일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peak가 많이 측정되면서 강도도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TOC 소재의 경우 투과도가 중요 하므로 궁금해하시나 봅니다. TOC 소재에 국한해서는 말씀드리기 어렵네요. 하지만 일반적으로 물질이 비정질이 되면 투과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고분자에서도 그런 경우가 있구요. 또 XRD의 경우 무정형(비정질)에 가까울수록 피크가 뾰족하게 서지 않고 강도가 약해집니다. 따라서 XRD 피크의 강도가 약해지면서 두리뭉실해지면 비정질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TOC 소재의 경우 투과도가 중요 하므로 궁금해하시나 봅니다. TOC 소재에 국한해서는 말씀드리기 어렵네요. 하지만 일반적으로 물질이 비정질이 되면 투과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고분자에서도 그런 경우가 있구요. 또 XRD의 경우 무정형(비정질)에 가까울수록 피크가 뾰족하게 서지 않고 강도가 약해집니다. 따라서 XRD 피크의 강도가 약해지면서 두리뭉실해지면 비정질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