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06
org.kosen.entty.User@2a4d0600
이미진(myjc7)
- 3
HPLC 에서 diastereomer 분리가 가능할까요??
column은 C30 이고, chiral column 은 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RT가 7.8 min, 8.9 min 이렇게 나오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HPLC
- diastereome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0-07-06- 0
chiral column이 아닌 일반적인 phase의 컬럼을 사용하는 HPLC 에서 diastereomer 분리가 가능한지가 궁금하신거군요. 원칙적으로 가능합니다. 실제로 분리되어 나타나는 경우를 많이 경험했습니다. enantiomer의 경우 chiral column에서만 분리되지만, diastereomer는 일반컬럼에서도 분리가 일어납니다. 라세믹 혼합물에서 한가지 광학이성질체만 분리해낼 때 사용하는 diasteromeric resolution도 diastereomer의 성질을 이용한 겁니다. enantiomer는 광학적 성질 이외에 다른 물리화학적 성질이 같지만 diastereomer는 다르게 나타나죠. 예컨데 용해도 같은 성질이 다릅니다. 때문에 용해도 차이를 이용해 분리가 가능하죠. HPLC도 partition이 일어날 때 diastereomer 사이에 partition이 일어나는 정도의 차이가 있게 됩니다. 이것 때문에 분리되어 나타나는 겁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7-07- 0
>HPLC 에서 diastereomer 분리가 가능할까요?? > >column은 C30 이고, chiral column 은 보유하고있지않습니다. > >RT가 7.8 min, 8.9 min 이렇게 나오네요,, > >답변 부탁드립니다. > > 우선 chiral column을 사용하는 것이 제일 쉽고 일반적인 방법입니다만, 만약 보유하고 있지 않으시다면 몇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윗 분의 답변처럼 일반적인 hydrocarbon chain column에서 분리되는 것은 흔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만약 reference가 없다면 분리 조건을 setup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가 있습니다. 우선, 분석물질이 어떤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precolumn derivatization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이 방법은 분석물질의 작용기를 확인해서 기존에 알려진 reference를 참고해서 derivation시켜서 분리시키는 방법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작용기가 유도체화를 시킬 수 있는 site가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럴 경우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됩니다. 두번째로 HPLC mobile phase에 chiral-shifting agent를 첨가해서 분리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좀 더 쉽게 실험을 진행하려면 기존 reference를 참고해 보시는 것이 best입니다.조윤환(brmdolee) 2010-07-07NMR에선 chiral-shift agent를 사용합니다만 HPLC에서 사용한다는 것은 처음 듣기 때문에 도움을 청합니다. 예가 있다면 소개 부탁합니다. 저도 chiral chromatography에 관심이 많아서요
이상후(sprout30) 2010-07-07대표적인 것이 CD가 있죠. Mobile phase additive로 사용합니다. 물론 additive로 사용할 경우에는 양이 M농도 수준으로 첨가해야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이 외에도 분석 물질에 따라서 alkaloids compounds 등을 사용하기도 하죠..Chem Rev같은 review paper나 일반적인 article에서 종종 보고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조윤환(brmdolee) 2010-07-07beta-CD를 이용한 분리기법은 알고 있었습니다만, chiral shifting agent라고 한다는 것은 오늘 처음 알았네요. 한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0-07-07- 0
첨부파일
non-chiral column을 이용할 경우 분리가 어렵다는 의견을 피력하신 분의 말씀에 동의하기 어렵군요. 제 경험으론 chiral column이 아니더라도 C18이나 normal phase column으로도 diasteromer를 성공적으로 분리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어려운 일이아니었어요. 사실 reference가 없는 상태에서 분리조건을 셋업한다면 chiral column이나 non-chiral column이나 어렵기는 마찬가지 입니다. chiral column이라고 더 쉬운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전처리컬럼을 이용한 유도체화를 언급하시는 것으로 봐서 아마도 enantiomer의 경우와 혼동을 하신게 아닌가 싶습니다. 여러 사례를 경험했습니다만, 제가 소속된 기업의 신제품 개발과 관련된 정보의 노출 가능성 때문에 검색엔진으로 몇 가지 사례를 찾아 첨부해 보았습니다. HPLC와 diasteromer 두 가지 키워드 넣고 엔터치면 쉽게 찾을 수 있는 정보입니다. 첨부문건의 내용 중 중요한 부분에 표시를 해두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non-chiral column으로 enantiomer를 분리하는 작업이라면 어렵다거나 불가능하다고 답변을 드리겠지만 diasteromer는 가능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네요. 1. Anal Biochem. 2000 Jul 1;282(2):245-9.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sphingomyelin diastereomer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2. Australian Journal of Chemistry 56(12) 1193 - 1200 doi:10.1071/CH03072 HPLC Separation of Diastereomeric Metal Complexes of the Form Δ,Λ-[Ru(diimine)2(S)-aminoaci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