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HPLC 이동상 중에서요,

HPLC 이동상 중에서요, The gradient mobile phase consisted of 50 mmol/ml sodium perchloric solution prepared at pH2.5 with perchloric acid (A) and acetonitrile (MeCN) (B). 위에서 A 에 해당하는 50 mmol/ml sodium perchloric solution prepared at pH2.5 with perchloric acid 가 어찌 만들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perchloric acid 가 시중에 60~70% 짜리가 있는 것으로 아는데, pH 2.5 를 perchloric acid 로 맞추라는 얘기 같은데 맞나요? sodium perchloric solution 은 무엇이며,pH 는 어떤 시약을 사용하여 조절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릴게요..
  • HPLC 이동상
  • sodium perchloric solu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강남구님의 답변

    NaClO4 분말시약을 물에 용해시키고 강산인 HClO4로 pH를 2.5에 맞춰서 원하는 ClO4- 최종농도로 맞춘다는 말로 해석할 수 있네요. >HPLC 이동상 중에서요, > >The gradient mobile phase consisted of 50 mmol/ml sodium perchloric solution prepared at pH2.5 with perchloric acid (A) and acetonitrile (MeCN) (B). > >위에서 A 에 해당하는 50 mmol/ml sodium perchloric solution prepared at pH2.5 with perchloric acid 가 어찌 만들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perchloric acid 가 시중에 60~70% 짜리가 있는 것으로 아는데, >pH 2.5 를 perchloric acid 로 맞추라는 얘기 같은데 맞나요? > >sodium perchloric solution 은 무엇이며,pH 는 어떤 시약을 사용하여 조절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답변 부탁드릴게요..
    NaClO4 분말시약을 물에 용해시키고 강산인 HClO4로 pH를 2.5에 맞춰서 원하는 ClO4- 최종농도로 맞춘다는 말로 해석할 수 있네요. >HPLC 이동상 중에서요, > >The gradient mobile phase consisted of 50 mmol/ml sodium perchloric solution prepared at pH2.5 with perchloric acid (A) and acetonitrile (MeCN) (B). > >위에서 A 에 해당하는 50 mmol/ml sodium perchloric solution prepared at pH2.5 with perchloric acid 가 어찌 만들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perchloric acid 가 시중에 60~70% 짜리가 있는 것으로 아는데, >pH 2.5 를 perchloric acid 로 맞추라는 얘기 같은데 맞나요? > >sodium perchloric solution 은 무엇이며,pH 는 어떤 시약을 사용하여 조절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답변 부탁드릴게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앞서 답변하신 분의 말씀처럼 NaClO4를 물에 녹여 50 mM 농도가 되도록 하고 pH는 HClO4로 맞추라는 뜻입니다. 단 pH를 맞추면서 부피가 늘어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겠죠. 인산염 완충용액 만들 때처럼 하신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 때도 Na2HPO4 같은 인산염을 녹인다음 인산으로 pH를 맞추죠. 간혹 pH를 맞추다가 pH가 너무 낮게 내려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Na염을 사용하셨으면, NaOH로 K염을 사용하셨으면 KOH로 pH를 조절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앞서 답변하신 분의 말씀처럼 NaClO4를 물에 녹여 50 mM 농도가 되도록 하고 pH는 HClO4로 맞추라는 뜻입니다. 단 pH를 맞추면서 부피가 늘어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겠죠. 인산염 완충용액 만들 때처럼 하신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 때도 Na2HPO4 같은 인산염을 녹인다음 인산으로 pH를 맞추죠. 간혹 pH를 맞추다가 pH가 너무 낮게 내려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Na염을 사용하셨으면, NaOH로 K염을 사용하셨으면 KOH로 pH를 조절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