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8-27
org.kosen.entty.User@2d44fe1f
이장한(hanymir)
- 1
ELISA나 웨스턴등 실험을할때 보통은 secondary안티바디까지 붙이고난뒤 development하잔아요 1차는 안티젠에 특이성있는걸사용하고 2차안티바디-HRP에 특이성있는것으로사용하고... 그래서 궁금한것이
1. HRP를 붙여서 1차 항체만 안티젠하고 붙인다음에 발색하지않는이유가 뭘까요?
(회사에서 1 차 항체에 HRP를 붙여서 팔면 브로드하게쓸수있는것이 한계가있어서?)
2. 민감도나 정확도에서 1차항체만으로도 만족할수있다면 1차 항체에 HRP를 붙일수 있는 회사나 프로토콜이있으면 알려주세요
- antibod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10-08-30- 0
1. HRP를 붙여서 1차 항체만 안티젠하고 붙인다음에 발색하지않는이유가 뭘까요? (회사에서 1 차 항체에 HRP를 붙여서 팔면 브로드하게쓸수있는것이 한계가있어서?) -> ELISA는 단순히 항원-항체 반응만을 이용하여 1대 1의 결합으로 항원의 양을 측정하는 것 만이 아닌 그 강도를 증폭시킴으로써 감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항원을 plate에 직접 coating함에 따른 변수를 개선하기 위해서 sandwich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만, 직접 1차 항원에 HRP 등을 conjugation하는 것 보다 HRP가 conjugation된 2차 항체를 사용함으로써 신호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 입니다. 최근에는 효소법보다 감도가 향상된 형광 또는 화학발광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직접 1차 항체에 HRP 또는 형광기질을 conjugation하여 실험 (ELISA, immunofluorescence, etc..)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또한, 항체를 ELISA에만 사용하는 것은 아니므로 님께서 언급하신 것처럼 보다 broad한 이용을 위한 것도 이유가 될 수 있겠지요. 2. 민감도나 정확도에서 1차항체만으로도 만족할수있다면 1차 항체에 HRP를 붙일수 있는 회사나 프로토콜이있으면 알려주세요 -> KPL (http://www.kpl.com/catalog/productdetail.cfm?catalog_id=17&Category_ID=452&Product_ID=1091)이나 PIERCE (http://www.piercenet.com/products/browse.cfm?fldID=01030202)를 참고하시면 좋을 듯 싶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