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conductance spectra

도체,반도체 인지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전압에 따른 전도도의 특성이 어떠한 피크 형태로 나타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대략 -5에서 +5 볼트까지 스캔하면서 전도도를 측정한 경우 0볼트를 기준으로 대칭적인 형태의 피크로 나타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 생물전공 학생으로써 너무 어렵습니다.
  • conductance
  • conductance spectra
  • 전도도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잘 아시겠지만 모든 물질은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 할수 있습니다. 전압을 -5V,0V,+5V로 나누어 생각하여 보면 -5V일 때는 양이온성 물질이 음극에 이끌려 오게 됩니다. 따라서 양이온성 물질의 이온 활동도가 높게 나오며 결과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높게 나타나게 되며,0V에서는 어느쪽의 이온도 활동성이 없게 됩니다. 그리고 +5V일 때는 음이온성 물질이 양극으로 이끌려 오게 됩니다. 따라서 음이온성 물질이 이동하는 결과로 전도도가 높게 나와서 -5V와 +5V에서의 현상이 정확히 대칭성을 갖는 다고는 할 수 없으나, 어느 정도의 대칭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잘 아시겠지만 모든 물질은 양이온성 물질과 음이온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 할수 있습니다. 전압을 -5V,0V,+5V로 나누어 생각하여 보면 -5V일 때는 양이온성 물질이 음극에 이끌려 오게 됩니다. 따라서 양이온성 물질의 이온 활동도가 높게 나오며 결과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높게 나타나게 되며,0V에서는 어느쪽의 이온도 활동성이 없게 됩니다. 그리고 +5V일 때는 음이온성 물질이 양극으로 이끌려 오게 됩니다. 따라서 음이온성 물질이 이동하는 결과로 전도도가 높게 나와서 -5V와 +5V에서의 현상이 정확히 대칭성을 갖는 다고는 할 수 없으나, 어느 정도의 대칭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