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8-30
org.kosen.entty.User@7e46230c
이장한(hanymir)
- 2
갑자기 궁금해진사항인데요 DMEM이나 RPMI등 동물세포용 배지에는 glucose, glutamine등등의 물질들이 들어있는데요.
졸업한지 좀되다보니 생각이 잘안나 더군요
glucose는 carbon source로 pyruvate가 생성되서 TCA통해 ATP얻어지는데 사용되는건 알겠는데요... 질문하려다 엉뚱해지네..
그래서 질문은요. glutamine이 N source로 동물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주길래 대부분의 배지 조성에 들어가 있는걸까요? 세포내에서의 역할이 궁금하네요
- glutamine
- mammalian cel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10-08-31- 2
첨부한 자료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갑자기 궁금해진사항인데요 DMEM이나 RPMI등 동물세포용 배지에는 glucose, glutamine등등의 물질들이 들어있는데요. > >졸업한지 좀되다보니 생각이 잘안나 더군요 >glucose는 carbon source로 pyruvate가 생성되서 TCA통해 ATP얻어지는데 사용되는건 알겠는데요... 질문하려다 엉뚱해지네.. > >그래서 질문은요. glutamine이 N source로 동물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주길래 대부분의 배지 조성에 들어가 있는걸까요? 세포내에서의 역할이 궁금하네요 -
답변
박동현님의 답변
2010-09-02- 0
pyrimidine과 purine 모두 전구체를 만드는데 필요했던걸로 기억합니다. >갑자기 궁금해진사항인데요 DMEM이나 RPMI등 동물세포용 배지에는 glucose, glutamine등등의 물질들이 들어있는데요. > >졸업한지 좀되다보니 생각이 잘안나 더군요 >glucose는 carbon source로 pyruvate가 생성되서 TCA통해 ATP얻어지는데 사용되는건 알겠는데요... 질문하려다 엉뚱해지네.. > >그래서 질문은요. glutamine이 N source로 동물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주길래 대부분의 배지 조성에 들어가 있는걸까요? 세포내에서의 역할이 궁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