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0-04
org.kosen.entty.User@32fa05d
조상은(aniel)
- 2
GC-MS에서 모분자를 M+라 나타내는 이유가 뭔가요?
GC 컬럼을 통과한 시료에 에너지를 가해 이온화시키면 fragmentation이 일어나 쭉 mass spectrum이 얻어지게 되는것이 GC-MS의 원리라 알고 있습니다.
이때 x축은 질량대 전하비, y축은 abundance이구요.
특별히 모분자에 +를 붙이는 이유가 있을까요.
이온화 되며 전하를 전자를 잃게되는 건가요?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 GC-MS
- 이온화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0-10-05- 0
이유는 전자만 1개 잃어버리는 이온화 과정을 통해 생성되었기 때문입니다. 전자를 1개 잃게 되면 당연히 + 전하를 띠게 되니 자연히 모분자 이온을 M+로 표기하는 겁니다. 반대로 전자를 하나 얻어 음이온이 되면 M-가 되겠죠. 예상 분자량보다 1만큼 적게 나타나는 경우는 수소 하나를 잃어버린 M-1 양이온이 생성된 경우 입니다. 전자 하나를 잃어버려 생성된 것이 아닙니다. 참고하시길....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11-30- 0
>GC-MS에서 모분자를 M+라 나타내는 이유가 뭔가요? > >GC 컬럼을 통과한 시료에 에너지를 가해 이온화시키면 fragmentation이 일어나 쭉 mass spectrum이 얻어지게 되는것이 GC-MS의 원리라 알고 있습니다. >이때 x축은 질량대 전하비, y축은 abundance이구요. > >특별히 모분자에 +를 붙이는 이유가 있을까요. >이온화 되며 전하를 전자를 잃게되는 건가요?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GC-MS에서 이온화 소스를 어떤 걸 사용하냐에 따라서 M+가 생길수도 [M+H]+가 생길수도, [M+Na]+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M+가 생기는 원인은 윗분이 설명했듯이 이온화 소스(여기서는 electron impact (EI)나 fast atom barmbardment(FAB) mode를 사용한 것으로 보임.)에 의해서 강한 전자 또는 원자의 충돌에 의해서 전자가 하나 떨어져 나가게 되어서 M+를 형성하게 됩니다. Electrospray를 사용하게되면 M+형태는 거의 관찰안되고, 위에서 설명한 +H나 +Na등이 생성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