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What is?

풀리지 않는 문제, 고민하는 문제를 질문하면 답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Oblique angle deposition(OAD)

    Oblique angle deposition(OAD)

    Oblique angle deposition(OAD) 의 장치구성 , 증착 방법 및 증착조건, 증착이 가능한 물질 에 관한 논문 //

    자세히 보기
    • Oblique angle deposition(OAD)
    2010-09-29 김재운(whitechi)

  • 전기화학-

    전기화학-

    전기화학의 원리를 이용한 제품이 뭐가 있을까요. 예를들어 도금이나 측정장비 부식방지 같은 분야에서요. 많이 쓰이면서도 참신한..

    자세히 보기
    • 전기화학
    • 도금
    • 측정장비
    2010-09-28 홍효진(ganary)

  • GC는 왜 적은 분자량만 가능할까요?

    GC는 왜 적은 분자량만 가능할까요?

    GC와 LC 차이점을 찾아보면 이동상이 기체와 액체인것을 제외하고도 GC는 분자량이 작은 물질. LC는 분자량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나오는데요. GC는 왜 분자량이 작은물질에 사용이 적합한가요? 휘발이 유리해서인가요? 아시는 분, 명쾌하게 설명 좀 해주세요~

    자세히 보기
    • GC
    • small Mw
    2010-09-28 조상은(aniel)

  • AmSo4 precipitation이 pH에 영향을 받을까요 ?

    AmSo4 precipitation이 pH에 영향을 받을까요 ?

    protein purification중에 궁금한점이 생겻습니다. AmSo4 precipitation할 때 pH에 영향을 받을까요 ? 혹, 낮은 PH나 높은 pH에서 Amso4가 잘녹거나 잘 녹지 않을까요 ? 궁금합니다 ~

    자세히 보기
    • AmSo4 precipitation
    2010-09-28 성다래(ekfo87)

  • magnesium sulfide 파우더 국내 구입처 ?

    magnesium sulfide 파우더 국내 구입처 ?

    magnesium sulfide [MgS] powder 국내 구입처 알고 계신분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magnesium sulfide
    • mgs
    2010-09-28 최인호(pkhcih)

  • Metal electrode 재료의 adhesion 차이

    Metal electrode 재료의 adhesion 차이

    태양전지의 후면 전극 등에 이용되는 금속재료의 adhesion 차이가 궁금해서 여쭙니다. 스퍼터링된 Al이나 Mo, Cu 등의 glass 기판과의 adhesion 순서가 어떻게 될까요? adhesion에 미치는 영향은 재료의 어떤 점이 클지 고수님들께 부탁 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태양전지
    • 후면전극
    • 스퍼터링
    2010-09-28 임용환(ald2004)

  • 스테인레스 스틸을 친수성 처리하고싶습니다.

    스테인레스 스틸을 친수성 처리하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스테인레스 스틸(SUS304)를 친수성 처리하고싶습니다. 플라즈마 처리 같은 방법 말고, 화학적 용매등을 통한 친수성 처리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스테인레스 스틸
    • 친수성
    2010-09-28 이수민(lsmfdc)

  • H9c2 (2-1) cell line에서 hypoxia 실험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H9c2 (2-1) cell line에서 hypoxia 실험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H9c2 (2-1) cell line에서 hypoxia실험을 진행하려고하는데 미디아에 존재하는 산소 때문에 실험이 잘 안되는것 같습니다. 우선 미디아의 산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hypoxia chamber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처음 세팅 잡을때 어떠한 방법을 사용을하여서 hypoxia condition을 만들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hypoxia
    • 저산소증
    • hypoxia chamber
    2010-09-28 김종현(iyouweki)

  • Urea assay 에 관해서

    Urea assay 에 관해서

    안녕하세요. 실험하다 궁금한 점이 있어 이렇게 글 올립니다. 제가 현재 여러 종류의 stem cell을 이용해 hepatocyte로 분화를 유도한 다음 분화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위해 urea assay를 진행하는데요. 실험결과가 예상과는 다르게 반대로 나와서 글 올립니다. 분화 전, 후 각 세포의 urea 농도를 측정해봤는데 분화 전 상태인 naive한 세포에서 urea 농도가 분화 후보다 높게 나왔습니다. 게다가 더 이상한 건 세포배양에 사용되는...

    자세히 보기
    • Urea assay
    • hepatocyte
    • Differentiation

  • buffer와 un-buffer의 차이

    buffer와 un-buffer의 차이

    용액의 조건에서 말인데요, buffered media와 un-buffered media의 차이를 알고싶어요.

    자세히 보기
    • buffer
    2010-09-27 홍희정(gift1020)

  • KOH농도별(%) 전기전도도 측정 데이타 있으신 분 알려주세요.

    KOH농도별(%) 전기전도도 측정 데이타 있으신 분 알려주세요.

    KOH 농도별(%)로 전기전도도 값이 어떻게 되는지 자료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자세히 보기
    • 전기전도도
    • KOH농도
    2010-09-27 이대령(migiwoju)

  • microviscosity 측정방법...

    microviscosity 측정방법...

    안녕하세요 편광을 이용한 microviscosity 질문인데요 친수성물질을 microviscosity 측정이 가능한 dye의 종류와 측정방법 자료 부탁드립니다. (관련 논문 포함해서)

    자세히 보기
    • microviscosity
    • polarization
    • hydrophilic
    2010-09-27 서희진(mjang35)

  • germ cell culture

    germ cell culture

    안녕하세요 국내에 혹시 germ cell culture를 시도해 보셨거나 성공하신분의 사례를 알고 계시면 도움을 얻고자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저도 약식으로나마 viability check까지는 했는데 transfection을 하는 게 최종목표인지라 이래저래 논문도 찾아 보고 글도 올려보지만 딱히 결과가 나와있지 않아 여기까지 왔습니다. 저는 mouse spermatocytes culture가 목표입니다. 도움되는 논문이나 코멘트 무엇이라도 감사히 받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 germ cell
    • culture
    • transfection

  • APCmin mice를 이용한 실험에서

    APCmin mice를 이용한 실험에서

    APCmin mice를 이용하여 대장암에서 Wnt 신호경로의 조절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런데 혹시 APCmin mice의 피하에 cancer를 주입하여 xenograft를 시행하여도 괜찮은 것인지 xenograft 후에 실험을 하여 이를 western blotting으로 확인하여도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APCmin mice

  • Glancing angle deposition(GAD) or Oblique angle deposition(OAD)

    Glancing angle deposition(GAD) or Oblique angle deposition(OAD)

    Glancing angle deposition(GAD) or Oblique angle deposition(OAD) 의 장치구성 , 증착 방법 및 증착조건, 증착이 가능한 물질 에 관한 논문 // 부탁드립니다~ ^^

    자세히 보기
    • Glancing angle deposition
    • Oblique angle deposition
    2010-09-27 김재운(whitechi)

  • 3D Microfabrication에 관해 자료를 찾습니다

    3D Microfabrication에 관해 자료를 찾습니다

    이번에 액적을 이용한 3차원 구형체 어레이 제작기술을 분석하는데요 3D structure softlithography기술에 대해서 자료좀 찾거나 알려주세요~~

    자세히 보기
    • softlithpgraphy
    2010-09-24 박용(woojass)

  • 미생물의 flagella 염색 경험 있으신 분..

    미생물의 flagella 염색 경험 있으신 분..

    미생물의 flagella 염색을 하였는데요, 이것이 과연 제대로 된 실험인지 알고 싶습니다.. 사진 파일 첨부하고요, 보시면 알겠지만, 이상한 실모양의 염색된 것이 많이 존재하고요, 이것들이 cell로 추정되는 것과 붙어 있거나 떨어져 있거나 하네요, 뭐, 실험과정에서 flagella가 떨어져 나갔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요, 무엇보다 제가 의문을 가지는 것은 cell로 추정되는 것이 진짜 cell이 맞느냐 입니다. 시약 성분에 crystal violet이 들어있기 때문에 cell ...

    자세히 보기
    • 편모
    • flagella

  • 논문 요청

    논문 요청

    Genome-wide analysis reveals mechanisms modulating autophagy in normal brain aging and in Alzheimer's disease. Lipinski MM, Zheng B, Lu T, Yan Z, Py BF, Ng A, Xavier RJ, Li C, Yankner BA, Scherzer CR, Yuan J. Proc Natl Acad Sci U S A. 2010 Aug 10;107(32):14164-9. Epub 2010 ...

    자세히 보기
    • autophagy
    • modulating
    • Alzheimer's disease
    2010-09-20 갈지영(windmar)

  • GC DETECTOR [PDD]

    GC DETECTOR [PDD]

    GC DETECTOR 종류중 PDD (Pulse Discharge Detector)에 관한 자료좀 부탁 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GC
    • DETECTOR
    • PDD

  • Pd nanoparticle의 XRD 분석의뢰

    Pd nanoparticle의 XRD 분석의뢰

    첨부해 드리는 파일의 Pd nanoparticle의 데이터 분석의뢰 드립니다. 샘플은 총 4개로서 Pd의 입자크기를 control한 것인데 추가적으로 carbon도 함께 첨부해 드립니다. 입자의 크기는 Pd/C-0 > Pd/C-40 > Pd/C-80의 순서입니다. (TEM상으로는 이렇게 보입니다.) 사실 TEM상의 입자크기와 XRD상의 입자크기 계산을 통해 비교해 본 결과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이러한 XRD의 결과로 부터 다음의 질문을 드립니다. 1. carbon샘플의 theta가 ...

    자세히 보기
    • XRD
    • Pd nanoparticle
    2010-09-17 제이니(janie)

전체 17555개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공지

논문요청 관련 게시글 안내
자세히보기
  • Oblique angle deposition(OAD)

    Oblique angle deposition(OAD)

    Oblique angle deposition(OAD) 의 장치구성 , 증착 방법 및 증착조건, 증착이 가능한 물질 에 관한 논문 //

    자세히 보기
    • Oblique angle deposition(OAD)
    2010-09-29 김재운(whitechi)

  • 전기화학-

    전기화학-

    전기화학의 원리를 이용한 제품이 뭐가 있을까요. 예를들어 도금이나 측정장비 부식방지 같은 분야에서요. 많이 쓰이면서도 참신한..

    자세히 보기
    • 전기화학
    • 도금
    • 측정장비
    2010-09-28 홍효진(ganary)

  • GC는 왜 적은 분자량만 가능할까요?

    GC는 왜 적은 분자량만 가능할까요?

    GC와 LC 차이점을 찾아보면 이동상이 기체와 액체인것을 제외하고도 GC는 분자량이 작은 물질. LC는 분자량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나오는데요. GC는 왜 분자량이 작은물질에 사용이 적합한가요? 휘발이 유리해서인가요? 아시는 분, 명쾌하게 설명 좀 해주세요~

    자세히 보기
    • GC
    • small Mw
    2010-09-28 조상은(aniel)

  • AmSo4 precipitation이 pH에 영향을 받을까요 ?

    AmSo4 precipitation이 pH에 영향을 받을까요 ?

    protein purification중에 궁금한점이 생겻습니다. AmSo4 precipitation할 때 pH에 영향을 받을까요 ? 혹, 낮은 PH나 높은 pH에서 Amso4가 잘녹거나 잘 녹지 않을까요 ? 궁금합니다 ~

    자세히 보기
    • AmSo4 precipitation
    2010-09-28 성다래(ekfo87)

  • magnesium sulfide 파우더 국내 구입처 ?

    magnesium sulfide 파우더 국내 구입처 ?

    magnesium sulfide [MgS] powder 국내 구입처 알고 계신분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magnesium sulfide
    • mgs
    2010-09-28 최인호(pkhcih)

  • Metal electrode 재료의 adhesion 차이

    Metal electrode 재료의 adhesion 차이

    태양전지의 후면 전극 등에 이용되는 금속재료의 adhesion 차이가 궁금해서 여쭙니다. 스퍼터링된 Al이나 Mo, Cu 등의 glass 기판과의 adhesion 순서가 어떻게 될까요? adhesion에 미치는 영향은 재료의 어떤 점이 클지 고수님들께 부탁 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태양전지
    • 후면전극
    • 스퍼터링
    2010-09-28 임용환(ald2004)

  • 스테인레스 스틸을 친수성 처리하고싶습니다.

    스테인레스 스틸을 친수성 처리하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스테인레스 스틸(SUS304)를 친수성 처리하고싶습니다. 플라즈마 처리 같은 방법 말고, 화학적 용매등을 통한 친수성 처리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스테인레스 스틸
    • 친수성
    2010-09-28 이수민(lsmfdc)

  • H9c2 (2-1) cell line에서 hypoxia 실험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H9c2 (2-1) cell line에서 hypoxia 실험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H9c2 (2-1) cell line에서 hypoxia실험을 진행하려고하는데 미디아에 존재하는 산소 때문에 실험이 잘 안되는것 같습니다. 우선 미디아의 산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hypoxia chamber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처음 세팅 잡을때 어떠한 방법을 사용을하여서 hypoxia condition을 만들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히 보기
    • hypoxia
    • 저산소증
    • hypoxia chamber
    2010-09-28 김종현(iyouweki)

  • Urea assay 에 관해서

    Urea assay 에 관해서

    안녕하세요. 실험하다 궁금한 점이 있어 이렇게 글 올립니다. 제가 현재 여러 종류의 stem cell을 이용해 hepatocyte로 분화를 유도한 다음 분화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위해 urea assay를 진행하는데요. 실험결과가 예상과는 다르게 반대로 나와서 글 올립니다. 분화 전, 후 각 세포의 urea 농도를 측정해봤는데 분화 전 상태인 naive한 세포에서 urea 농도가 분화 후보다 높게 나왔습니다. 게다가 더 이상한 건 세포배양에 사용되는...

    자세히 보기
    • Urea assay
    • hepatocyte
    • Differentiation

  • buffer와 un-buffer의 차이

    buffer와 un-buffer의 차이

    용액의 조건에서 말인데요, buffered media와 un-buffered media의 차이를 알고싶어요.

    자세히 보기
    • buffer
    2010-09-27 홍희정(gift1020)

  • KOH농도별(%) 전기전도도 측정 데이타 있으신 분 알려주세요.

    KOH농도별(%) 전기전도도 측정 데이타 있으신 분 알려주세요.

    KOH 농도별(%)로 전기전도도 값이 어떻게 되는지 자료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자세히 보기
    • 전기전도도
    • KOH농도
    2010-09-27 이대령(migiwoju)

  • microviscosity 측정방법...

    microviscosity 측정방법...

    안녕하세요 편광을 이용한 microviscosity 질문인데요 친수성물질을 microviscosity 측정이 가능한 dye의 종류와 측정방법 자료 부탁드립니다. (관련 논문 포함해서)

    자세히 보기
    • microviscosity
    • polarization
    • hydrophilic
    2010-09-27 서희진(mjang35)

  • germ cell culture

    germ cell culture

    안녕하세요 국내에 혹시 germ cell culture를 시도해 보셨거나 성공하신분의 사례를 알고 계시면 도움을 얻고자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저도 약식으로나마 viability check까지는 했는데 transfection을 하는 게 최종목표인지라 이래저래 논문도 찾아 보고 글도 올려보지만 딱히 결과가 나와있지 않아 여기까지 왔습니다. 저는 mouse spermatocytes culture가 목표입니다. 도움되는 논문이나 코멘트 무엇이라도 감사히 받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 germ cell
    • culture
    • transfection

  • APCmin mice를 이용한 실험에서

    APCmin mice를 이용한 실험에서

    APCmin mice를 이용하여 대장암에서 Wnt 신호경로의 조절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런데 혹시 APCmin mice의 피하에 cancer를 주입하여 xenograft를 시행하여도 괜찮은 것인지 xenograft 후에 실험을 하여 이를 western blotting으로 확인하여도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보기
    • APCmin mice

  • Glancing angle deposition(GAD) or Oblique angle deposition(OAD)

    Glancing angle deposition(GAD) or Oblique angle deposition(OAD)

    Glancing angle deposition(GAD) or Oblique angle deposition(OAD) 의 장치구성 , 증착 방법 및 증착조건, 증착이 가능한 물질 에 관한 논문 // 부탁드립니다~ ^^

    자세히 보기
    • Glancing angle deposition
    • Oblique angle deposition
    2010-09-27 김재운(whitechi)

  • 3D Microfabrication에 관해 자료를 찾습니다

    3D Microfabrication에 관해 자료를 찾습니다

    이번에 액적을 이용한 3차원 구형체 어레이 제작기술을 분석하는데요 3D structure softlithography기술에 대해서 자료좀 찾거나 알려주세요~~

    자세히 보기
    • softlithpgraphy
    2010-09-24 박용(woojass)

  • 미생물의 flagella 염색 경험 있으신 분..

    미생물의 flagella 염색 경험 있으신 분..

    미생물의 flagella 염색을 하였는데요, 이것이 과연 제대로 된 실험인지 알고 싶습니다.. 사진 파일 첨부하고요, 보시면 알겠지만, 이상한 실모양의 염색된 것이 많이 존재하고요, 이것들이 cell로 추정되는 것과 붙어 있거나 떨어져 있거나 하네요, 뭐, 실험과정에서 flagella가 떨어져 나갔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요, 무엇보다 제가 의문을 가지는 것은 cell로 추정되는 것이 진짜 cell이 맞느냐 입니다. 시약 성분에 crystal violet이 들어있기 때문에 cell ...

    자세히 보기
    • 편모
    • flagella

  • 논문 요청

    논문 요청

    Genome-wide analysis reveals mechanisms modulating autophagy in normal brain aging and in Alzheimer's disease. Lipinski MM, Zheng B, Lu T, Yan Z, Py BF, Ng A, Xavier RJ, Li C, Yankner BA, Scherzer CR, Yuan J. Proc Natl Acad Sci U S A. 2010 Aug 10;107(32):14164-9. Epub 2010 ...

    자세히 보기
    • autophagy
    • modulating
    • Alzheimer's disease
    2010-09-20 갈지영(windmar)

  • GC DETECTOR [PDD]

    GC DETECTOR [PDD]

    GC DETECTOR 종류중 PDD (Pulse Discharge Detector)에 관한 자료좀 부탁 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 GC
    • DETECTOR
    • PDD

  • Pd nanoparticle의 XRD 분석의뢰

    Pd nanoparticle의 XRD 분석의뢰

    첨부해 드리는 파일의 Pd nanoparticle의 데이터 분석의뢰 드립니다. 샘플은 총 4개로서 Pd의 입자크기를 control한 것인데 추가적으로 carbon도 함께 첨부해 드립니다. 입자의 크기는 Pd/C-0 > Pd/C-40 > Pd/C-80의 순서입니다. (TEM상으로는 이렇게 보입니다.) 사실 TEM상의 입자크기와 XRD상의 입자크기 계산을 통해 비교해 본 결과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이러한 XRD의 결과로 부터 다음의 질문을 드립니다. 1. carbon샘플의 theta가 ...

    자세히 보기
    • XRD
    • Pd nanoparticle
    2010-09-17 제이니(janie)

베스트 답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