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에탄올 수입시 그 성분과 함량

우리나라에서 에탄올을 수입할 때 에탄올 외에 다른 불순물(?)이 각 나라마다 다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공업용이나 식품용 에탄올을 수입할 때 에탄올 외에 들어있는 화학물질이 무엇이있나요? 그에대한 자세한 자료를 갖고 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수입하는 나라마다 다르니 나라별 에탄올 외 화학물질 함량 또는 성분을 알려주시면 더욱 좋습니다. 아니면 그 비슷한 자료를 찾을 수 있는 책이나 싸이트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에탄올
  • 공업용 에탄올
  • 식용 에탄올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용도에 따라 크게 공업용, 식품용, 연료용 등으로 나뉩니다. 그 밑으로는 엄청 많은 분류가 있구요. pure ethanol, SDA, CDA 같은 규격으로 나누기도 하구요. SDA나 CDA는 미국 규격인데, SDA는 특정용도에 맞춰 첨가제를 넣어 만든 제품의 규격이고 CDA는 음용으로 전용되지 못하도록 할 목적으로 첨가제를 넣어 만든 제품의 규격입니다. 첨가제로는 MIBK, Methanol, IPA, gasolin등 다양합니다. 대표적으로 연료용의 경우 브라질, 미국, 유럽 규격이 있습니다. 수입국에 따른 화학물질 함량을 말씀하시는 것으로 봐선 국가별 규격에 관심이 있으신 것인지 용도별 규격에 관심이 있으신지 판단하기 어렵네요. 화학성분은 크게 에탄올 제조과정이나 보관과정에서 발생 또는 유입될 수 있는 물질과 인위적으로 첨가하는 물질로 나뉘는데... 어느 것에 관심이 있으신지요. 일반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물질로는 물, 알데히드 등의 산화물, 할로겐, 할로겐화물, 에스테르, 에테르류 등이 있습니다. 에탄올에 대해 핸드북이 하나 있어서 그것을 참고해 ?게 답변드렸습니다만.... 혼란스럽게 해드린 것은 아닌지 염려되는 군요. 필요하신 자료가 있으시면 질문주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가능하다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용도에 따라 크게 공업용, 식품용, 연료용 등으로 나뉩니다. 그 밑으로는 엄청 많은 분류가 있구요. pure ethanol, SDA, CDA 같은 규격으로 나누기도 하구요. SDA나 CDA는 미국 규격인데, SDA는 특정용도에 맞춰 첨가제를 넣어 만든 제품의 규격이고 CDA는 음용으로 전용되지 못하도록 할 목적으로 첨가제를 넣어 만든 제품의 규격입니다. 첨가제로는 MIBK, Methanol, IPA, gasolin등 다양합니다. 대표적으로 연료용의 경우 브라질, 미국, 유럽 규격이 있습니다. 수입국에 따른 화학물질 함량을 말씀하시는 것으로 봐선 국가별 규격에 관심이 있으신 것인지 용도별 규격에 관심이 있으신지 판단하기 어렵네요. 화학성분은 크게 에탄올 제조과정이나 보관과정에서 발생 또는 유입될 수 있는 물질과 인위적으로 첨가하는 물질로 나뉘는데... 어느 것에 관심이 있으신지요. 일반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물질로는 물, 알데히드 등의 산화물, 할로겐, 할로겐화물, 에스테르, 에테르류 등이 있습니다. 에탄올에 대해 핸드북이 하나 있어서 그것을 참고해 ?게 답변드렸습니다만.... 혼란스럽게 해드린 것은 아닌지 염려되는 군요. 필요하신 자료가 있으시면 질문주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가능하다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