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온도 Ta에서, 주위의 압력에 따른, 액체의 vapor pressure 산출방법은?

온도 Ta로 유지되는 시스템에 있고, 시스템내에는 액체(ex. 알콜)가 있습니다. 시스템의 압력이 상압일때 액체의 증기압을 알고있을때, 시스템의 압력을 상압이하로 낮췄을때(P=Pv, 즉 진공분위기)일때 액체의 증기압을 구하려고합니다. 관련된 조언이나, 자료추천부탁드립니다.
  • 진공
  • 증기압
  • 액체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약간 개념적인 혼동을 하는 듯 합니다. 증기압이란 (즉, 포화증기압) 어떤 액체가 있을 때 액체가 기체로 되면서 기체로 되는 정도와 기체가 액체로 되는 정도가 동적 평형을 이루었을 때의 기체의 압력입니다. 당연히 수표에 온도에 따른 값이 주어져 있고, 기체는 진공 상태를 가정하여 해당 액체만의 기체압을 의미합니다. 상압이라고 가정하는 것이 이상합니다. 상압이라고 한다면 당연히 공기가 기체로 있고 해당 액체가 공기 중에 노출이 되어 액체의 증기압이 어떻게분압으로 되는가를 따집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는 해당 액체의 분압을 구해야 합니다. 수표에 나와있는 증기압이 공기 중에서 어떤 분압을 가지는가를 따져야 합니다. 조금 더 상세하게 따지자면 헨리나 라울의 법칙을 사용하면 해당 액체가 상압에서 가지는 분율을 계산할 수 있고 분압까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온도 Ta로 유지되는 시스템에 있고, >시스템내에는 액체(ex. 알콜)가 있습니다. >시스템의 압력이 상압일때 액체의 증기압을 알고있을때, >시스템의 압력을 상압이하로 낮췄을때(P=Pv, 즉 진공분위기)일때 >액체의 증기압을 구하려고합니다. 관련된 조언이나, 자료추천부탁드립니다.
    약간 개념적인 혼동을 하는 듯 합니다. 증기압이란 (즉, 포화증기압) 어떤 액체가 있을 때 액체가 기체로 되면서 기체로 되는 정도와 기체가 액체로 되는 정도가 동적 평형을 이루었을 때의 기체의 압력입니다. 당연히 수표에 온도에 따른 값이 주어져 있고, 기체는 진공 상태를 가정하여 해당 액체만의 기체압을 의미합니다. 상압이라고 가정하는 것이 이상합니다. 상압이라고 한다면 당연히 공기가 기체로 있고 해당 액체가 공기 중에 노출이 되어 액체의 증기압이 어떻게분압으로 되는가를 따집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는 해당 액체의 분압을 구해야 합니다. 수표에 나와있는 증기압이 공기 중에서 어떤 분압을 가지는가를 따져야 합니다. 조금 더 상세하게 따지자면 헨리나 라울의 법칙을 사용하면 해당 액체가 상압에서 가지는 분율을 계산할 수 있고 분압까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온도 Ta로 유지되는 시스템에 있고, >시스템내에는 액체(ex. 알콜)가 있습니다. >시스템의 압력이 상압일때 액체의 증기압을 알고있을때, >시스템의 압력을 상압이하로 낮췄을때(P=Pv, 즉 진공분위기)일때 >액체의 증기압을 구하려고합니다. 관련된 조언이나, 자료추천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