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입자크기 측정 및 응집도 측정에 관한 문의

안녕하세요 nano powder의 입자측정 technique에 대한 문의를 드립니다. nm scale의 세라믹 분말을 대상으로 입도 profile을 알고 싶으나, 입자간 van der waals force에 의한 응집이 심하게 발생합니다. PSA와 같은 장비는 시료의 분산상태에 따라 결과의 편차가 심하며, SEM이나 TEM을 이용하여 입자의 morphology와 함께 size를 분석하려고 하니, 전체적인 시료의 특성을 보여주는지 조금 의심이 갑니다. 입자의 응집도 및 응집된 입자까지 고려한 새로운 입도분석방법이나 장비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방법이 있으시면 도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 particle
  • size
  • aggrag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백종환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nano powder의 입자측정 technique에 대한 문의를 드립니다. >nm scale의 세라믹 분말을 대상으로 입도 profile을 알고 싶으나, 입자간 van der waals force에 의한 응집이 심하게 발생합니다. >PSA와 같은 장비는 시료의 분산상태에 따라 결과의 편차가 심하며, SEM이나 TEM을 이용하여 입자의 morphology와 함께 size를 분석하려고 하니, 전체적인 시료의 특성을 보여주는지 조금 의심이 갑니다. 입자의 응집도 및 응집된 입자까지 고려한 새로운 입도분석방법이나 장비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방법이 있으시면 도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십니까!!! 말씀하신 것처럼 나노 입자들은 응집이 쉽게 일어나 실재 농도에서 심한 경우 마이크론 Size까지 커진 상태에서 거동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그리고 입도 분석기는 Photon Correlation Spectroscopy 또는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를 이용하지만 이 경우에도 적절한 분산제를 사용하여 분산을 먼저 잘 시키고 또한 그 분산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입도분석이든 SEM, TEM 사진을 찍든 정확한 결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산안정성을 희석없이 실재 농도에서 평가하는 방법은 Multiple Light Scattering Method가 있으며 장비명으로는 Turbiscan이라는 분석기가 있습니다. 여기서 Multiple의 개념은 실재 농도이므로 시료에 광을 조사하면 여러개의 입자와 산란이 일어나기 때문이며, 입도 분석법의 경우는 Single Light Scattering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다중산란방식을 이용하여 일정 용기내에 담긴 시료의 전체 높이를 Scanning하여 산란과의 Profile을 측정하고 분산안정성에는 시간 개념이 필요하므로 시간에 따라 다시 반복해서 Scaning을 하게 되면 분산되어 있던 입자들이 응집이 일어나는지 아니면 침전되는지 또는 이러한 현상들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는지를 알 수 있으며 다양한 Kinetics 및 수치로서 결과를 얻을 수 도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www.leanontech.co.kr에 접속하시거나 010-3776-7483으로 연락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nano powder의 입자측정 technique에 대한 문의를 드립니다. >nm scale의 세라믹 분말을 대상으로 입도 profile을 알고 싶으나, 입자간 van der waals force에 의한 응집이 심하게 발생합니다. >PSA와 같은 장비는 시료의 분산상태에 따라 결과의 편차가 심하며, SEM이나 TEM을 이용하여 입자의 morphology와 함께 size를 분석하려고 하니, 전체적인 시료의 특성을 보여주는지 조금 의심이 갑니다. 입자의 응집도 및 응집된 입자까지 고려한 새로운 입도분석방법이나 장비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방법이 있으시면 도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십니까!!! 말씀하신 것처럼 나노 입자들은 응집이 쉽게 일어나 실재 농도에서 심한 경우 마이크론 Size까지 커진 상태에서 거동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그리고 입도 분석기는 Photon Correlation Spectroscopy 또는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를 이용하지만 이 경우에도 적절한 분산제를 사용하여 분산을 먼저 잘 시키고 또한 그 분산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입도분석이든 SEM, TEM 사진을 찍든 정확한 결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산안정성을 희석없이 실재 농도에서 평가하는 방법은 Multiple Light Scattering Method가 있으며 장비명으로는 Turbiscan이라는 분석기가 있습니다. 여기서 Multiple의 개념은 실재 농도이므로 시료에 광을 조사하면 여러개의 입자와 산란이 일어나기 때문이며, 입도 분석법의 경우는 Single Light Scattering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다중산란방식을 이용하여 일정 용기내에 담긴 시료의 전체 높이를 Scanning하여 산란과의 Profile을 측정하고 분산안정성에는 시간 개념이 필요하므로 시간에 따라 다시 반복해서 Scaning을 하게 되면 분산되어 있던 입자들이 응집이 일어나는지 아니면 침전되는지 또는 이러한 현상들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는지를 알 수 있으며 다양한 Kinetics 및 수치로서 결과를 얻을 수 도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www.leanontech.co.kr에 접속하시거나 010-3776-7483으로 연락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변성천님의 답변

    분산하는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듯 싶네요 SEM 찍은후 이미지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이 있는것 같네요. 하지만, 이것도 부분 특성을 나타내지 전체적인 특성을 나타내지 않죠. 분산하는 방법을 고려하여 입도분포측정기(Zeta-PSA)를 이용하는 것이 나을듯 싶네요. 분산하는 방법은 커뮤니티 -> 카페 -> nano.micro coating 에 가시면 CNT분산 방법이라는 자료가 있습니다. 이것을 응용해 보면 좋지 않을까 하네요. >안녕하세요 >nano powder의 입자측정 technique에 대한 문의를 드립니다. >nm scale의 세라믹 분말을 대상으로 입도 profile을 알고 싶으나, 입자간 van der waals force에 의한 응집이 심하게 발생합니다. >PSA와 같은 장비는 시료의 분산상태에 따라 결과의 편차가 심하며, SEM이나 TEM을 이용하여 입자의 morphology와 함께 size를 분석하려고 하니, 전체적인 시료의 특성을 보여주는지 조금 의심이 갑니다. 입자의 응집도 및 응집된 입자까지 고려한 새로운 입도분석방법이나 장비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방법이 있으시면 도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
    분산하는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듯 싶네요 SEM 찍은후 이미지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이 있는것 같네요. 하지만, 이것도 부분 특성을 나타내지 전체적인 특성을 나타내지 않죠. 분산하는 방법을 고려하여 입도분포측정기(Zeta-PSA)를 이용하는 것이 나을듯 싶네요. 분산하는 방법은 커뮤니티 -> 카페 -> nano.micro coating 에 가시면 CNT분산 방법이라는 자료가 있습니다. 이것을 응용해 보면 좋지 않을까 하네요. >안녕하세요 >nano powder의 입자측정 technique에 대한 문의를 드립니다. >nm scale의 세라믹 분말을 대상으로 입도 profile을 알고 싶으나, 입자간 van der waals force에 의한 응집이 심하게 발생합니다. >PSA와 같은 장비는 시료의 분산상태에 따라 결과의 편차가 심하며, SEM이나 TEM을 이용하여 입자의 morphology와 함께 size를 분석하려고 하니, 전체적인 시료의 특성을 보여주는지 조금 의심이 갑니다. 입자의 응집도 및 응집된 입자까지 고려한 새로운 입도분석방법이나 장비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방법이 있으시면 도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zeta potential을 제어해서 static하게 분산을 시킬수가 없는 상황이라서요.
    게다가 steric한 방법으로도 분산이 워낙안되는 녀석이라 고민이 많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