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break된 DNA의 농도 계산-제발 도와주세요

경우1이 맞는건지 경우2가 맞는건지 이론적으로 아보가드로의 수를 적용해서 설명해주세요.ㅜ0ㅜ 경우1. 20mer의 single strand DNA를 break 시켰을때 10mer의 농도는 2배가 된다 20mer -------------------- 200 nM 10mer ---------- ---------- 400 nM 경우2. 20mer의 single strand DNA를 break 시켰을때 10mer의 농도변화는 없다 20mer -------------------- 200 nM 10mer ---------- ---------- 200 nM 저는 경우2라고 생각했는데 박사님이 아니라고 아보가드로의 수로 계산해서 달라고 하셔서요...ㅡㅡ;;; break되는 개수 만큼 몰수가 증가한다고 봐야하나요? 그러면 20mer가 1mer로 전부 break되면 1mer의 농도는 2000 nM이 되나요?? 제 생각에는 break가 되더라도 농도는 변화가 없을 것 같은데.. 아닌가요??ㅜ0ㅜ
  • DNA
  • 농도
  • 아보가드로의 수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박동현님의 답변

    1개를 반으로 자르면 두개가 되죠 예를 들어 20mer 200nM이라면 분자 갯수는 200X(10^-9)X(6.022X10^23) 가 되겠죠 각각을 두개로 나누면 분자 갯수는 당연히 두배가 되죠 2X200X(10^-9)X(6.022X10^23) 당연히 농도도 두배가 됩니다. 도움이 되시길... >경우1이 맞는건지 경우2가 맞는건지 이론적으로 아보가드로의 수를 적용해서 설명해주세요.ㅜ0ㅜ > >경우1. 20mer의 single strand DNA를 break 시켰을때 10mer의 농도는 2배가 된다 > >20mer -------------------- 200 nM >10mer ---------- ---------- 400 nM > >경우2. 20mer의 single strand DNA를 break 시켰을때 10mer의 농도변화는 없다 > >20mer -------------------- 200 nM >10mer ---------- ---------- 200 nM > >저는 경우2라고 생각했는데 박사님이 아니라고 아보가드로의 수로 계산해서 달라고 하셔서요...ㅡㅡ;;; > >break되는 개수 만큼 몰수가 증가한다고 봐야하나요? >그러면 20mer가 1mer로 전부 break되면 1mer의 농도는 2000 nM이 되나요?? > >제 생각에는 break가 되더라도 농도는 변화가 없을 것 같은데.. 아닌가요??ㅜ0ㅜ
    1개를 반으로 자르면 두개가 되죠 예를 들어 20mer 200nM이라면 분자 갯수는 200X(10^-9)X(6.022X10^23) 가 되겠죠 각각을 두개로 나누면 분자 갯수는 당연히 두배가 되죠 2X200X(10^-9)X(6.022X10^23) 당연히 농도도 두배가 됩니다. 도움이 되시길... >경우1이 맞는건지 경우2가 맞는건지 이론적으로 아보가드로의 수를 적용해서 설명해주세요.ㅜ0ㅜ > >경우1. 20mer의 single strand DNA를 break 시켰을때 10mer의 농도는 2배가 된다 > >20mer -------------------- 200 nM >10mer ---------- ---------- 400 nM > >경우2. 20mer의 single strand DNA를 break 시켰을때 10mer의 농도변화는 없다 > >20mer -------------------- 200 nM >10mer ---------- ---------- 200 nM > >저는 경우2라고 생각했는데 박사님이 아니라고 아보가드로의 수로 계산해서 달라고 하셔서요...ㅡㅡ;;; > >break되는 개수 만큼 몰수가 증가한다고 봐야하나요? >그러면 20mer가 1mer로 전부 break되면 1mer의 농도는 2000 nM이 되나요?? > >제 생각에는 break가 되더라도 농도는 변화가 없을 것 같은데.. 아닌가요??ㅜ0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미지님의 답변

    물론 분자의 의미로 본다고 하면 농도가 2배로 되는 것이 맞습니다. single strand DNA 그러니까 20mer / 10 mer 이것을 각각 한 분자로 보는 것이 맞나요?
    물론 분자의 의미로 본다고 하면 농도가 2배로 되는 것이 맞습니다. single strand DNA 그러니까 20mer / 10 mer 이것을 각각 한 분자로 보는 것이 맞나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경우1이 맞는건지 경우2가 맞는건지 이론적으로 아보가드로의 수를 적용해서 설명해주세요.ㅜ0ㅜ > >경우1. 20mer의 single strand DNA를 break 시켰을때 10mer의 농도는 2배가 된다 > >20mer -------------------- 200 nM >10mer ---------- ---------- 400 nM > >경우2. 20mer의 single strand DNA를 break 시켰을때 10mer의 농도변화는 없다 > >20mer -------------------- 200 nM >10mer ---------- ---------- 200 nM > >저는 경우2라고 생각했는데 박사님이 아니라고 아보가드로의 수로 계산해서 달라고 하셔서요...ㅡㅡ;;; > >break되는 개수 만큼 몰수가 증가한다고 봐야하나요? >그러면 20mer가 1mer로 전부 break되면 1mer의 농도는 2000 nM이 되나요?? > >제 생각에는 break가 되더라도 농도는 변화가 없을 것 같은데.. 아닌가요??ㅜ0ㅜ 농도는 "진하기"의 개념입니다. 즉, 부피가 일정하다면 같은 부피에 들어있는 용질의 갯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농도가 진하다 또는 묽다라고 말합니다. DNA의 예를 들어서, 20mer가 1개 있을때하고, 20mer가 잘려져서 10mer가 2개 생기게 되게 되면 갯수가 그많큼 늘어나기 때문에 농도도 늘어나게 됩니다. 아보가드로수는 용질 1몰속에 들어있는 용질의 갯수, 즉 6.022x10^23이므로 20mer가 잘려서 10mer가 2개 생길경우 2x6.022x10^23가 됩니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몰농도가 증가되게 되겠죠..참고하세요..
    >경우1이 맞는건지 경우2가 맞는건지 이론적으로 아보가드로의 수를 적용해서 설명해주세요.ㅜ0ㅜ > >경우1. 20mer의 single strand DNA를 break 시켰을때 10mer의 농도는 2배가 된다 > >20mer -------------------- 200 nM >10mer ---------- ---------- 400 nM > >경우2. 20mer의 single strand DNA를 break 시켰을때 10mer의 농도변화는 없다 > >20mer -------------------- 200 nM >10mer ---------- ---------- 200 nM > >저는 경우2라고 생각했는데 박사님이 아니라고 아보가드로의 수로 계산해서 달라고 하셔서요...ㅡㅡ;;; > >break되는 개수 만큼 몰수가 증가한다고 봐야하나요? >그러면 20mer가 1mer로 전부 break되면 1mer의 농도는 2000 nM이 되나요?? > >제 생각에는 break가 되더라도 농도는 변화가 없을 것 같은데.. 아닌가요??ㅜ0ㅜ 농도는 "진하기"의 개념입니다. 즉, 부피가 일정하다면 같은 부피에 들어있는 용질의 갯수의 많고 적음에 따라 농도가 진하다 또는 묽다라고 말합니다. DNA의 예를 들어서, 20mer가 1개 있을때하고, 20mer가 잘려져서 10mer가 2개 생기게 되게 되면 갯수가 그많큼 늘어나기 때문에 농도도 늘어나게 됩니다. 아보가드로수는 용질 1몰속에 들어있는 용질의 갯수, 즉 6.022x10^23이므로 20mer가 잘려서 10mer가 2개 생길경우 2x6.022x10^23가 됩니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몰농도가 증가되게 되겠죠..참고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