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2-14
org.kosen.entty.User@65970e22
김주동(syncn310)
- 1
이번에 처음으로 t cell을 proliferation시켜보는 실험을 하는데요.
마침 실험실에 CD3/CD28 human t cell activator가 있더라구요.
invitrogen 제품이고 따로 되어있는것이 아니라 bead형식으로 같이 석여있었습니다.
그래서 메뉴얼에 나와있는 expansion of human t cell 프로토콜데로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오늘 와서 플래이트를 보니 contam된걱 처럼 cell들이 여기저기 뭉쳐있었습니다.(bead넣고 이틀이 지난상황) 그것도 꽤 많이요.
처음에는 정말 contam이 되었나? 싶었는데 마침 실수로 cd3/cd28 bead를 넣지 않은 well이 있었거든요. 그래서 그 well을 보니 거긴 멀쩡한 겁니다. (참고로 bead는 사용전 메뉴얼에 나와있는 방법대로 washing하였습니다.)
원래는 rIL-2도 같이 넣어주라고 되어있었지만 아직 실험실에 없는 관계로 CD3/CD28만 넣어주었습니다. 그래도 아주 잘 자란다고 하더라구요.
혹시 제가 무슨 실수를 한걸까요? 주위에 t cell proliferation을 하신 분들이 없어 참고도 할 수 없고~ ㅠㅠ
여기저기 읽어보니 보통 CD3를 먼저 plate에 coating한 후 soluble한 cd28을 넣고 실험에 맞게 culture한다고 하시더라구요. 전 bead를 넣어서 이렇게 된걸까요? 감이 잘 잡히지 않습니다.
경험이 있으신 선생님들이 계시다면 답변부탁드리겠습니다.
- t cel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두영님의 답변
2011-02-19- 0
묘사하신 상황만을 보면 T cell stimulation과 expansion이 잘 되는 것 같은데요! T cells이 proliferation할때 세포의 변화 (예를 들면, 인테그린 LFA-1의 발현증가) 로 세포들이 군집을 형성합니다. 당연한 결과이고요, 잘 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pipetting으로 약하게 shear를 가하면 쉽게 breakdown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속한 실험실에서도 invitrogen beads를 이용해 같은 방법으로 T cell activation을 하고 있으며 말씀하신 것과 같이 세포들이 뭉치게 됩니다. culture plate에 CD3/CD28 antibody를 고정화하는 경우나 PHA를 이용하여 활성화해도 같은 현상이 관찰됩니다. IL-2는 beads 처리 후 2-3일 후에 넣어주면 (보통 이후에 첨가합니다 ) 세포들이 지속적으로 proliferation할 것입니다. 혹시나 pipetting을 해도 세포군집이 breakdown하지 않는다면 contamination이 되었을수도 있겠네요. CD3/CD28 beads를 이용한 T cells proliferation에 관한 초기 논문을 첨부합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