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07
org.kosen.entty.User@197b485e
윤숙연(ysy7042)
- 2
안녕하세요?
Escherichia coli의 표준균주를 이용하여 분석법 세팅을 하려고 합니다.
미생물 자원센터에서 표준균주를 찾아보니 종류가 엄청 많아 어떤걸 써야 될지 모르겠어요
분자생물학적으로 세팅하는건 아니고 그냥 대장균 배지실험을 하려고 하거든요
그리고 대장균의 mpn(최확수법)에 대해서 가르쳐주세요
부탁드립니다*^^*
Escherichia coli의 표준균주를 이용하여 분석법 세팅을 하려고 합니다.
미생물 자원센터에서 표준균주를 찾아보니 종류가 엄청 많아 어떤걸 써야 될지 모르겠어요
분자생물학적으로 세팅하는건 아니고 그냥 대장균 배지실험을 하려고 하거든요
그리고 대장균의 mpn(최확수법)에 대해서 가르쳐주세요
부탁드립니다*^^*
- Escherichia coli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11-04-07- 0
대장균에 대한 일반적인 생화학적 실험법은 Bergey's manual을 참고하시면 되고 MPN에 관한 관한 사항은 다음의 웹사이트를 참고하세요. http://www.fda.gov/food/scienceresearch/LaboratoryMethods/BacteriologicalAnalyticalManualBAM/ucm064948.htm >안녕하세요? > >Escherichia coli의 표준균주를 이용하여 분석법 세팅을 하려고 합니다. > >미생물 자원센터에서 표준균주를 찾아보니 종류가 엄청 많아 어떤걸 써야 될지 모르겠어요 > >분자생물학적으로 세팅하는건 아니고 그냥 대장균 배지실험을 하려고 하거든요 > >그리고 대장균의 mpn(최확수법)에 대해서 가르쳐주세요 > >부탁드립니다*^^*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2011-04-21- 0
>안녕하세요? > >Escherichia coli의 표준균주를 이용하여 분석법 세팅을 하려고 합니다. > >미생물 자원센터에서 표준균주를 찾아보니 종류가 엄청 많아 어떤걸 써야 될지 모르겠어요 > >분자생물학적으로 세팅하는건 아니고 그냥 대장균 배지실험을 하려고 하거든요 > >그리고 대장균의 mpn(최확수법)에 대해서 가르쳐주세요 > >부탁드립니다*^^* -본인이 어는 목적에 저?는야 따라 균주의 STRAIN이 다르지만 우선 병원세균에 할것임ㄴ가 아님 유전적인 GENOTYPE에 근거할것인가를 먼저 설정하고 여기에 병원성이나 일반 유전실험에 근거하는지를 판정할수 잇음. 유전족보를 파악할 필요가 잇음 유당에 배양시 가스발생하는 양성관의수를 확률적인 수치인 최적 확수로 표시하는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