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그런데 많은 논문을 읽을때 Total(grain+grain boundary)와 grain , grain boundary 전도라는 말이 많이 언급됩니다. 두가지의 측정법이 다른것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이유가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grain과 grain boundary의 개념은 알고있습니다. kosen전문가님들의 설명을 듣고싶습니다^^
- conductivity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답변
이시우님의 답변
2011-04-28- 0
>conductivity를 측정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많은 논문을 읽을때 Total(grain+grain boundary)와 grain , grain boundary 전도라는 말이 많이 언급됩니다. 두가지의 측정법이 다른것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이유가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grain과 grain boundary의 개념은 알고있습니다. kosen전문가님들의 설명을 듣고싶습니다^^ 일반적으로 다결정(polycrystal)에서 입내(grain)과 입계(grain boundary)에서의 전기적 저항이 다릅니다. 두 영역의 결정격자구조와 전기적 상태가 다르고 입계에는 불순물이 편석되기도 쉽기 때문입니다. 고체전해질의 경우, 일부 이견이 있지만 대체적으로 입내전도가 빠른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측정방법으로는, DC법으로는 구분이 안되며 AC 임피던스를 이용해야 합니다. 입내저항은 고주파영역 아크로부터, 입계저항은 저주파영역의 아크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김대영(kimvsyoung) 2011-04-28그렇다면 주파수에 따라 grain의 저항 boundary의 특성을 구분한다는 말씀이신데. 그렇다고 하면 주파수의 기준점은 어디인지 알고싶습니다. 특성주파수 이상이되면 다른양상의 저항이 생기는 구간이 있어 그것을 기준으로 하면 되는것인지요.
김대영(kimvsyoung) 2011-04-28그렇다면 주파수에 따라 grain의 저항 boundary의 특성을 구분한다는 말씀이신데. 그렇다고 하면 주파수의 기준점은 어디인지 알고싶습니다. 특성주파수 이상이되면 다른양상의 저항이 생기는 구간이 있어 그것을 기준으로 하면 되는것인지요.
김대영(kimvsyoung) 2011-04-28그렇다면 주파수에 따라 grain의 저항 boundary의 특성을 구분한다는 말씀이신데. 그렇다고 하면 주파수의 기준점은 어디인지 알고싶습니다. 특성주파수 이상이되면 다른양상의 저항이 생기는 구간이 있어 그것을 기준으로 하면 되는것인지요.
이시우(crater) 2011-04-28Frequency range of each semi-circle depends on materials. Please refer the following paper for more information. Thanks.
C.Haavik et al., "Temperature dependence of oxygen ion transport in ~," Solid State Ionics, 174 (2004) pp 233-243. -
답변
오영제님의 답변
2011-05-25- 0
>conductivity를 측정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많은 논문을 읽을때 Total(grain+grain boundary)와 grain , grain boundary 전도라는 말이 많이 언급됩니다. 두가지의 측정법이 다른것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이유가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grain과 grain boundary의 개념은 알고있습니다. kosen전문가님들의 설명을 듣고싶습니다^^ 덧글에 대한 보완설명 이전에 설명된 grain 전도도와 grain boundary 전도도 외에 전극이 있는경우 세번째의 semi circle이 나타 날 수 있습니다. 세개의 semi circle에 대한 변곡점은 물질에 따라 다르게 나탄는 변곡점들입니다. 즉, 변곡점들이 나타나는 주파수가 일정하게 정해 진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주파수에 따라 grain의 저항 boundary의 특성을 구분한다는 말씀이신데. 그렇다고 하면 주파수의 기준점은 어디인지 알고싶습니다. 특성주파수 이상이되면 다른양상의 저항이 생기는 구간이 있어 그것을 기준으로 하면 되는것인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