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4-25
org.kosen.entty.User@4d98aea2
김방진(pado3607)
- 2
줄기세포로 부터 분화된 심근세포를 대상으로 질환모델동물로의 이식후 생착에 관한 연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현재 줄기세포로 부터 분화된 심근세포를 만드는데는 어느정도 성과를 보여 다음 단계로서 질환모델동물로의 이식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heart disease model 혹은 Ischemic heart mouse model 을 만드는데 있어서 어떤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필요한 것들이 어떤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는 관련 논문이나 프로토콜을 알고 계신지요..
고수님들의 답변기다리겠습니다.
- heart disease model
- differentiation
- Stem cell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동현님의 답변
2011-04-26- 2
>줄기세포로 부터 분화된 심근세포를 대상으로 질환모델동물로의 이식후 생착에 관한 연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 >현재 줄기세포로 부터 분화된 심근세포를 만드는데는 어느정도 성과를 보여 다음 단계로서 질환모델동물로의 이식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heart disease model 혹은 Ischemic heart mouse model 을 만드는데 있어서 어떤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필요한 것들이 어떤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는 관련 논문이나 프로토콜을 알고 계신지요.. > >고수님들의 답변기다리겠습니다. Apoe KO Mice를 쓰시거나 rat coronary ligation model을 쓰면됩니다. Apoe KO의 경우, high cjolesterol chow로 ischemia를 유발 할 수 있지만 heart specific은 쉽지 않습니다. rat coronary ligation model은 Am J Physiol. 1998 Jul;275(1 Pt 2):H250-8.에 잘 나와 있습니다. MSC의 transplantation도 단순히 injection하는 것은 고려되야 할 것입니다. 첨부 참고 바랍니다. 그럼 건투를 빕니다.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2011-05-02- 0
>줄기세포로 부터 분화된 심근세포를 대상으로 질환모델동물로의 이식후 생착에 관한 연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 >현재 줄기세포로 부터 분화된 심근세포를 만드는데는 어느정도 성과를 보여 다음 단계로서 질환모델동물로의 이식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heart disease model 혹은 Ischemic heart mouse model 을 만드는데 있어서 어떤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필요한 것들이 어떤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는 관련 논문이나 프로토콜을 알고 계신지요.. > >고수님들의 답변기다리겠습니다. .동물모델중 심혈관에 직접적인 모델인 B6.129S4/SvJae-Pparα, B6.129S4-Nos1t 동맥경화에 관련모델인 B6.129P2-Agtt, 동맥경화,고지혈증에 관련된 B6.129P2-Apoe, B6.129-Ldlr을 이요하면 좋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