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08
org.kosen.entty.User@2253cb90
김종훈(kjh171209)
- 2
TAG(TriAcetylGlycerol)를 GC로 분석하려고 합니다.
아직 초보자라 궁금한게 있어서 여쭙니다.
분석 메뉴얼을 웹상에서 구했는데 캐리어가스로 헬륨을 사용하라고 되어 있네요.
캐리어가스로 왜 질소가 아닌 헬륨을 쓰는지 궁금합니다.
캐리어가스로 사용할 시 질소와 헬륨의 차이가 뭔가요??
- GC
- TAG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06-09- 0
일반적으로 GC분석에 사용하는 carrier gas를 선택할 때 첫번째 고려 기준은 검출기를 기준으로 선택하게 됩니다. 그 다음은 분석하려고하는 시료의 조성이죠.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출기인 FID의 경우엔 사실상 케리어로 헬륨을 쓰던, 질소를 쓰던지 별 차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DID의 경우엔 반듯이 헬륨을 사용해야 합니다. TCD 같은 경우엔 질소보다는 헬륨이 감도가 좋게 나오죠. 이는 검출기의 작동 메커니즘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TAG(TriAcetylGlycerol)는 HPLC와 GC로 분석 가능합니다. 제가 알기로 GC로 분석하려면 일반적인 경우보다 고온의 분석조건이 필요한 것으로 압니다. 때문에 기기가 분석조건을 써포팅 할 수 있는지, 특히 분석용 컬럼이 적합한 온도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GC가 HPLC에 비해선 여러모로 손쉬운 점이 있지만 HPLC분석도 고려해 보시길 권합니다. >아직 초보자라 궁금한게 있어서 여쭙니다. >분석 메뉴얼을 웹상에서 구했는데 캐리어가스로 헬륨을 사용하라고 되어 있네요. >캐리어가스로 왜 질소가 아닌 헬륨을 쓰는지 궁금합니다. >캐리어가스로 사용할 시 질소와 헬륨의 차이가 뭔가요??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1-06-10- 0
>TAG(TriAcetylGlycerol)를 GC로 분석하려고 합니다. >아직 초보자라 궁금한게 있어서 여쭙니다. >분석 메뉴얼을 웹상에서 구했는데 캐리어가스로 헬륨을 사용하라고 되어 있네요. >캐리어가스로 왜 질소가 아닌 헬륨을 쓰는지 궁금합니다. >캐리어가스로 사용할 시 질소와 헬륨의 차이가 뭔가요?? 윗분의 설명처럼 검출기에 따라서도 carrier gas를 선택할 수도 있지만 보다 더 근본적인 차이는 carrier gas의 물리적 성질, 즉 확산도와 점도에 있습니다. 실제로 수소와 헬륨의 경우는 5.5 ~ 6 x 10(-6) 정도로 확산도가 비슷합니다. 그런데 질소는 1.5 x 10(-6) 정도로 낮습니다. 이 의미는 결국 시료의 분리 속도를 결정하게 됩니다. 아마도 TAG 시료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근거해서 분리할 때, 확산도가 좋은 헬륨가스를 선택한것으로 판단됩니다. 물론 검출기를 고려했겠지만, 윗 분이 설명한 예외적인 것도 있지만 실제로 대부분 검출기에서 수소, 헬륨, 질소를 다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참고적으로 검출기별 사용할 수 있는 carrier gas와 makeup gas 표를 첨부합니다. 그리고 carrier gas의 특징과 자세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는 사이트를 링크시켜드리니 참고하세요.. http://www.restek.com/Technical-Resources/Technical-Library/Editorial/editorial_A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