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08
org.kosen.entty.User@31a6e5a6
소은미(soeunmi)
- 4
시료(용액)를 HPLC로 분석하려고 하는데...
당성분을 제거하는 전처리방법이 혹시 있나여??
- 당
- 분석
- HPL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06-09- 0
HPLC 분석시료의 전처리 방법은 제거할 성분만 고려해선 않됩니다. 분석할 성분이 무엇이냐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따라서 답변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네요. 당성분은 수용성 성분이므로 추출법을 이용하면 비교적 손쉽게 제거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분석할 성분도 수용성 성분이라면 문제는 달라지죠. 추출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고전적 추출법도 있겠고.... SPE 같은 흡착제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더 고려해야할 부분은 검출기 입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UV검출기의 경우 당성분을 검출하기 어렵습니다. 때문에 당성분이 존재한다고 해도 분석에 영향이 없을 수도 있죠. 당성분의 경우 UV 발색단이 없기 때문에 보통은 RID를 사용해 분석합니다. 참고하시길...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1-06-09- 0
>시료(용액)를 HPLC로 분석하려고 하는데... > >당성분을 제거하는 전처리방법이 혹시 있나여?? 용액속에 존재하는 당성분을 제거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 ethanol 침전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당 성분이 다당류인지, 올리고당인지, 단당류인지에 따라서 첨가하는 에탄올의 %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다당류이면 시료용액의 부피보다 3~4배 정도 EtOH을 더 첨가해 주면 대부분의 다당류는 침전이 됩니다. 침전은 3 vol의 에탄올을 첨가해 주면 눈으로 하얗 침전물을 볼 수 있습니다. 제거할 당이 올리고당류이면 8~10 vol의 EtOH를 가해주면 올리고당류가 제거됩니다. 단당류의 경우는 에탄올 침전법으로는 힘들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과 같이 좀 더 기술적인 분리가 필요하나 HPLC-UV상에는 단당류는 검출이 안되기 때문에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될 거 같습니다. 위 단계에서 당 제거 확인은 TLC같이 간단한 크로마토그래피로 표준물질을 함께 로딩해서 확인해 보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단당류 표준, 올리고당 표준, 다당류 표준 등을 사용해서..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2011-06-14- 0
>시료(용액)를 HPLC로 분석하려고 하는데... > >당성분을 제거하는 전처리방법이 혹시 있나여?? >당성분을 제거하는데는 산을 처리하거나 열변성을 유도하는방법이 잇음 -
답변
김경록님의 답변
2011-06-17- 0
무슨 시료인지가 없어서 막막하지만 일반적으로 당 농도가 높으면 Celite라는 것을 사용해서 제거하거나 유기용매로 추출하면 됩니다. 당은 대부분 물에만 녹으니까요 >시료(용액)를 HPLC로 분석하려고 하는데... > >당성분을 제거하는 전처리방법이 혹시 있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