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Mas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LC/MS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직 공부하는 중이라 잘을 다루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온화 souce가 ESI, APCI, APPI 를 보유하고 있고, mass는 Ion trap 입니다. 그런데 선배들이나 박사님들과 얘기를 하다보니, 이건 mass에서 잘 안나오는 놈들이지. positive 에서 분석할 것이냐 Negative에서 분석할 것이냐를 척척 얘기해주시더라구요. 전 화학을 잘 하지 못해서그런지 구조만 보고는 잘 모르겠더라구요 구조를 보고 mass에서 검출이 되는지 여부를 알려면 구조에서 어떤 것들을 살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어디서부터 공부를 해야 그런것들을 알수있는지도 막막하여 이렇게 도움을 청합니다. 그럼 많은 답변부탁드리겠습니다.
  • mas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최규석님의 답변

    확실한 답은 없지만 아래와 같습니다. - OH기 많으면 많을수록 이온화가 잘되니까 negative로 주로 하고요 - N 있으면 positive로 주로 합니다. mass 쓰고 계시니까요 다이렉트 인젝션하면서 positive, negative 바꿔가면서 실험해서 보는것이 제일 좋습니다.
    확실한 답은 없지만 아래와 같습니다. - OH기 많으면 많을수록 이온화가 잘되니까 negative로 주로 하고요 - N 있으면 positive로 주로 합니다. mass 쓰고 계시니까요 다이렉트 인젝션하면서 positive, negative 바꿔가면서 실험해서 보는것이 제일 좋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현재 LC/MS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직 공부하는 중이라 잘을 다루지 못하고 있습니다. > >이온화 souce가 ESI, APCI, APPI 를 보유하고 있고, > >mass는 Ion trap 입니다. > >그런데 선배들이나 박사님들과 얘기를 하다보니, >이건 mass에서 잘 안나오는 놈들이지. > >positive 에서 분석할 것이냐 Negative에서 분석할 것이냐를 척척 얘기해주시더라구요. > >전 화학을 잘 하지 못해서그런지 구조만 보고는 잘 모르겠더라구요 > >구조를 보고 mass에서 검출이 되는지 여부를 알려면 구조에서 >어떤 것들을 살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어디서부터 공부를 해야 그런것들을 알수있는지도 막막하여 >이렇게 도움을 청합니다. > >그럼 많은 답변부탁드리겠습니다. > 사실 정도는 없습니다. 하지만 경험상 구조상으로 몇몇 작용기가 있는 물질들은 추론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서, amine group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쉽게 protonation이 되기 때문에 positive mode로 분석이 가능하며, -OH group을 가지고 있는 분자의 경우는 deprotonation으로 partial O-(M-H)- 형태를 만들 수 있어서 negative mode로 분석이 쉬울거 같다고 추론합니다. 또한 carboxyl group(COOH)을 가지고 있는 분자는 쉽게 deprotonation이 일어나므로 negative mode로 분석을 합니다. 한편, 위의 언급한 작용기가 없으면서 산성이나 알카리성을 갖지 않는 중성 지방 구조 같은 경우는 APCI나 APPI로 측정하는 경우도 있고, 특히 이온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특정 분자를 유도체화 시켜서 이온화 강도를 향상시켜 분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유도체화 시킬 경우는 유도체화 물질이 protonation 또는 deprotonation 경향을 보고 이온화 모드를 결정합니다. 님께서는 화학 전공을 하지 않아서 화학 구조가 익숙하지 않을 수 있겠지만 경험이 어느 정도 쌓이게 되면 감이 잡히는 날이 올거라 여겨집니다.
    >현재 LC/MS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직 공부하는 중이라 잘을 다루지 못하고 있습니다. > >이온화 souce가 ESI, APCI, APPI 를 보유하고 있고, > >mass는 Ion trap 입니다. > >그런데 선배들이나 박사님들과 얘기를 하다보니, >이건 mass에서 잘 안나오는 놈들이지. > >positive 에서 분석할 것이냐 Negative에서 분석할 것이냐를 척척 얘기해주시더라구요. > >전 화학을 잘 하지 못해서그런지 구조만 보고는 잘 모르겠더라구요 > >구조를 보고 mass에서 검출이 되는지 여부를 알려면 구조에서 >어떤 것들을 살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어디서부터 공부를 해야 그런것들을 알수있는지도 막막하여 >이렇게 도움을 청합니다. > >그럼 많은 답변부탁드리겠습니다. > 사실 정도는 없습니다. 하지만 경험상 구조상으로 몇몇 작용기가 있는 물질들은 추론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서, amine group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쉽게 protonation이 되기 때문에 positive mode로 분석이 가능하며, -OH group을 가지고 있는 분자의 경우는 deprotonation으로 partial O-(M-H)- 형태를 만들 수 있어서 negative mode로 분석이 쉬울거 같다고 추론합니다. 또한 carboxyl group(COOH)을 가지고 있는 분자는 쉽게 deprotonation이 일어나므로 negative mode로 분석을 합니다. 한편, 위의 언급한 작용기가 없으면서 산성이나 알카리성을 갖지 않는 중성 지방 구조 같은 경우는 APCI나 APPI로 측정하는 경우도 있고, 특히 이온화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특정 분자를 유도체화 시켜서 이온화 강도를 향상시켜 분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유도체화 시킬 경우는 유도체화 물질이 protonation 또는 deprotonation 경향을 보고 이온화 모드를 결정합니다. 님께서는 화학 전공을 하지 않아서 화학 구조가 익숙하지 않을 수 있겠지만 경험이 어느 정도 쌓이게 되면 감이 잡히는 날이 올거라 여겨집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