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1. HPLC 분석 시에 Free form 과 HCl salt form 이
같은 retention time 을 가진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어떤 원리에서 그리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mass 에서도 free form 분자량만 검출되는데 이 원리도 궁금합니다.
2. Chial 분석시에도 Free form 과 salt form 이 간은 rt 를 갖나요??
3. 그리고 chiral column은 순상인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Salt form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1-07-20- 2
-------------------------------------질문-------------------------------------
1. HPLC 분석 시에 Free form 과 HCl salt form 이
같은 retention time 을 가진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어떤 원리에서 그리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mass 에서도 free form 분자량만 검출되는데 이 원리도 궁금합니다.
2. Chial 분석시에도 Free form 과 salt form 이 간은 rt 를 갖나요??
3. 그리고 chiral column은 순상인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free form이나 salt form이나 이동상에서 equilibrium이 되면 같은 형태를 띄게 됩니다. 따라서
같은 RT를 갖는것은 당연합니다. MS상에서 같은 분자량만 검출되는 원리도 이와 같기 때문이죠..
free form과 salt form은 시약 제조시에 시약의 안정성과 제조과정상에서 형성되는 것이지 실제로 분석시에는 같은 형태를 띄게 됩니다.
2. Chiral 분석시에도 같은 RT를 갖게 됩니다.
3. 순상 또는 역상에서 모두 분리 할 수 있는데, 사용되는 컬럼과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에 따라서 순상 또는 역상 모두 가능합니다.
이상후(sprout30) 2011-07-20Free로 해리되기도 하지만 사용하는 이동상에 존재하는 버퍼들의 salt(ion)와 평형상태를 이루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RT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free form이나 salt form이나 모두 평형상태를 이루기 때문이죠..마치 이온교환수지의 원리와 비슷합니다.
님께서 사용하는 키랄 컬럼은 순상 컬럼이 맞습니다. 순상 컬럼은 극성기를 고정상으로 가진 컬럼과 시료의 극성작용기와의 작용으로 물질 분리하는 컬럼입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07-20- 2
-------------------------------------질문-------------------------------------
1. HPLC 분석 시에 Free form 과 HCl salt form 이
같은 retention time 을 가진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어떤 원리에서 그리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mass 에서도 free form 분자량만 검출되는데 이 원리도 궁금합니다.
==> HPLC분석에서 항상 free form과 salt form의 RT가 같지는 않습니다. 같은 RT에 나오는 경우는 이동상에 완충용액을 사용해서 화합물이 일정한 형태가 되도록 해주었을 때만 그렇습니다. 예를 들어 아민을 분석한다고 치면 완충용액을 이동상으로 사용해서 아민이 free form으로 존재하는 pH를 맞춰주면 이동사에 녹았을 때 salt form, free form 모두 free form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같은 분석결과를 나타냅니다.
이때 이동상의 pH는 화합물의 pKa를 기준으로 설정하게 됩니다. 만약 pH가 어중간한 값으로 설정되면 일부는 free form으로 존재하고, 또 일부는 salt form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피크가 숄더 형태로 갈라져 나오기도 합니다.
2. Chial 분석시에도 Free form 과 salt form 이 간은 rt 를 갖나요??
==> 1번 질문의 답변으로 가름합니다.
3. 그리고 chiral column은 순상인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 키랄 컬럼이라고 해서 순상만 있지는 않습니다. 최근에는 역상도 많이 개발되어 나오고 있습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권정희(buny89) 2011-07-20HCl salt form이면 이동상(buffer를 사용할 지라도)에서 평형상태를 이루면 sholulder peak가 나올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brmdolee님이 설명하는 것은 아주 특수한 경우인거 같은데, HCl salt가 아니라 좀 더 덩치가 큰 salt(mesylate 같은)가 결합될 때라는 것을 분명하게 명시를 해줘야지 아주 일반화 시켜서 설명하면 오해를 할 소지가 있어 보이네요..
조윤환(brmdolee) 2011-07-22오해의 소지가 있긴 하네요. 이온성물질의 경우 peak shape과 RT가 이동상의 pH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강조한건데.....하지만 제가 A = B+C 라는 수학공식처럼 일반화시켜서 말씀드린 것은 아니었습니다. 조금은 오해가 있으신듯^^ 하지만 전 경험과 사례를 바탕으로 답변을 드렸다는 점을 이해바랍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07-20- 2
첨부파일
순상 또는 역상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컬럼입니다. 가장 최신 버젼의 컬럼 중 하나이기도 하죠.
Chialpak IC 컬럼은 실리카 베이스에 다당류 유도체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컬럼으로 화학적 구조만 가지고 따지면 극성이 높은 역상컬럼으로 볼 수 있겠으나 실제 컬럼의 성질은 역상과 순상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이동상도 역상계 컬럼에서 사용가능한 이동상 조성 뿐만 아니라 순상계 컬럼에 사용가능한 이동상 조성(예:수용액 및 완충용액)을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HPLC 분석을 잘 하시려면 정확한 개념을 가져야함은 물론이고...... 컬럼의 특성도 정확히 파악하고 계셔야 합니다.
LC/MS의 경우 MS는 검출기 역할만 하는 것이고 실제 분리는 LC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mass에 대한 질문은 HPLC분석에 대한 답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질문-------------------------------------
1. HPLC 분석 시에 Free form 과 HCl salt form 이
같은 retention time 을 가진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어떤 원리에서 그리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mass 에서도 free form 분자량만 검출되는데 이 원리도 궁금합니다.
2. Chial 분석시에도 Free form 과 salt form 이 간은 rt 를 갖나요??
3. 그리고 chiral column은 순상인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Mass, HPLC, chiral 분석시에 모두 물질이 salt에서 free 로 해리가 된다고 봐도 되는건가요??
제가 사용하는 chiral column은 Chialpak IC는 sillica로만 되어있는 순상이 맞나요?